홍도 - 제3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김대현 지음 / 다산책방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이 흔히 사용하는 말들 중에 만약에 라는 말이 있다. 이랬다면 혹은 저랬다면 하는 식의 가상적인 구성과 전개를 통해 실제와는 다른 결과를 예상해보는 식의 이야기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은 상당히 의미 없는 말처럼 보이기는 해도, 다양한 상상의 가능성을 유추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또 그로 인해 색다른 결론과 결과물을 얻어낼 수도 있어서 그저 마냥 쓸데없다고 치부하기에는 조금 애매모호함이 있는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다. 그래서 이 부분과 관련하여 개인적으로, 어떤 이야기가 펼쳐져 있을지 괜한 호기심과 함께 흥미롭고 관심 있게 느껴지는 것이 바로 역사 팩션에 관한 것이다. 물론 과도한 역사왜곡이 의심되는 경우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그동안 많은 역사 팩션을 읽어온 것은 아니지만, 이와 같은 부류의 책을 읽으면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것 중 하나를 꼽는다면, 전반적인 줄거리 전개에 따른 상당한 흡인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번 제3회 혼불 문학상을 수상한 이 작품을 읽으면서, 책을 읽는 내내 다음 페이지는 과연 어떤 내용이 펼쳐져 있을까 하는 기대감과, 팩션이 주는 색다른 묘미를 한껏 즐길 수 있었던 좋은 작품으로 기억 된다. 따라서 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 독자들이 있다면, 관심을 가지고 한번 주목해볼만 하지 않나 싶다.


이 작품은 비행기 안에서 우연한 만남을 하게 되는 두 남녀의 이야기로 시작 된다. 그리고 이들의 만남을 바탕으로 하여, 이야기는 다시 과거로 돌아가 붕당정치가 시작 되었던, 조선 선조 때의 정여립의 모반사건을 배경으로 하는 폭 넓은 서사구조로 이루면서 흥미롭게 전개되어 진다. 작품 속 내용을 보면, 정여립의 외손녀 홍도라는 가상적인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전면에 내세워, 그녀의 지나온 과거사를 회고하는 형식의 흐름으로 전개되는데, 그 범위가 상당히 확대되어 있음에도 매끄러운 구성과 놀라운 흡입력으로, 독자로 하여금 눈을 떼게 하지 못하는 매혹적인 끌림이 있다. 현실과 과거를 교차하며 흥미롭게 펼쳐지는 이 작품에서 우선 눈길을 끌었던 것은, 정여립이란 인물을 등장시켜 이를 모티프로 삼았다는 점이다. 정여립은 당시 황해감사였던 한준이 올린 비밀 장계를 빌미로 역모를 꾸몄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죽임을 당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가 정말 역성혁명을 일으켜 권력을 획책하려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역사사료의 실제적인 내용이 없어, 아직까지도 그의 죽음에 대해 풀리지 않는 의문의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정여립은 어찌 보면 당시 당리당략에 따른 모함에 의해 억울한 죽음을 맞이한 인물로 추측할 수도 있는 일이다.


그래서 전체적인 줄거리를 읽다보면 이 작품의 이면에, 한 가지 깊게 베여 있는 뚜렷한 정서 하나를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만의 고유한 민족의 애환이라 할 수 있는 ‘한’이 바로 그것이다. 작품 속에서 자신의 의도와는 달리 모함을 받아 스스로 목숨을 끓게 되는 정여립의 가슴에 맺힌 ‘한’은 고스란히 주인공 홍도에게로 옮겨지고, 또한 그녀가 걸어왔던 고단한 삶의 여정에 닮긴 ‘한’의 모습은 은연중 또다시 독자의 마음속으로 전해지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눈에 띠는 몇 가지를 살펴보자면, 먼저 겉으로 확연히 드러나는 아름다운 우리 한글의 표현력을 들 수 있겠다. 이 작품에는 미디어를 통한 영상물에서는 결코 느낄 수 없는, 섬세하면서도 독자의 가슴을 절절하게 만드는 독특하고 수려한 문장들을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데, 이 점은 우리의 정서와도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어서 작품 내용의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크게 한 몫을 하고 있지 않나 싶다. 또 한 가지는 전개되는 줄거리 속으로 독자들을 몰입하게 만드는 굉장한 흡입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연유로 독자로 하여금 책을 읽는 즐거움을 맛보는데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하겠다.


물론 이 작품을 읽다보면 논리적 비약이라든지 작위적으로 보이는 우연의 일치가 너무 자주 등장한다는 것, 그리고 한편으로 통속적인 느낌이 들게 하는 아쉬운 부분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대중적인 흥미의 요소들을 작품 속에 적절하게 구성하고 녹여내어, 독자들이 즐겨 읽을 수 있는 또 하나의 대단한 역사팩션을 품어낸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더불어 그 기저에 우리의 민족적 정서중 하나인 ‘한’의 이미지를, 작품 속 주인공 홍도의 고단한 삶에 견주어 비장하면서도 애절하게 담아내어, 치유되지 못한 과거 우리 선조들의 아픔의 상처들을, 오늘날 다시금 되살펴 보게 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독자의 입장에서 이 작품이 애초 가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이야기라는 것을 인식했음에도, 왠지 주인공이 겪었던 일들이 마치 실제 일이었던 것처럼 생생하게 읽혀지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감정이 메말라 있던 탓은 아니었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면서 또 한 페이지가 남아 있기를 바랐을 정도로, 오랜만에 강한 흡인력을 지닌 작품을 감상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러한 문학작품들이 종종 나왔으면 싶고, 이와 같은 작품을 통해 많은 독자들이 즐거운 독서의 시간을 보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