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실의 열쇠를 빌려 드립니다 ㅣ 이카가와 시 시리즈
히가시가와 도쿠야 지음, 임희선 옮김 / 지식여행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은 최근 국내에서 ‘수수께끼 풀이는 저녁 식사 후에’라는 작품으로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은바 있는 히가사가와 도쿠야의 새로운 작품이다. 국내 독자들에게는 그의 작품들이 많이 소개되지 않아 아직은 생소하게 느껴지기는 해도, 그의 작품 경향으로 볼 때, 기대를 해도 좋을 만한 미스터리 작가로 기억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다. 이는 기존의 미스터리 장르와 관련한 많은 작품이 스릴과 공포의 분위기를 밑바탕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보면, 그의 작품 내용에서 눈에 띄는 것은 전개되는 미스터리의 사건의 배경에 그러한 요소들을 가급적 배제하고, 사건 외적인 대부분 내용을 작가 특유의 유머로 채워가고 있어서 조금은 색다른 면을 보여주는 듯하다. 그래서 독자로 하여금 치밀하게 구성된 미스터리와 함께 유쾌한 웃음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데 선입관에서인지 몰라도 사실 본격추리와 유머의 결합은 어떻게 보면 전혀 맞지 않을 것 같은, 그래서 왠지 어색해 보이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막상 그의 작품을 읽고 있노라면 추리는 추리의 내용대로 재미있고, 이야기 도중 불쑥 튀어나오는 유머는 사건 본질에 대한 흐름을 흩트리지 않으면서도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작가만의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어 장르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이 한번 관심을 두고 주목해 볼 만하지 않나 싶다.
이 작품은 내용을 잠시 살펴보면, 한때 오징어가 많이 잡히면서 도시로의 번성을 구가했지만, 이제는 과거의 그러한 활기찬 모습을 찾을 수 없어 날로 퇴색해져 가는 이카가와 라는 어느 지방도시를 배경으로, 밀실에서 벌어진 두 건의 미스터리 살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 류헤이는 이 도시에 자리 잡고 있는 시립대학에 영화학과 학생으로, 이제 취업을 걱정해야 하는 3학년 학생이다. 특별한 재주도 없고 그렇다고 영화학도로서의 포부도 접은 지 오래여서 진로를 고민하던 차에, 그는 운 좋게도 자신에 선배의 도움으로 중소 업체의 영화사에 취직자리를 알선받게 된다. 그러나 이런 자신의 진로 방향에 실망을 느낀 그녀의 여자 친구는 그와 갑작스러운 결별을 선언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우울한 시간을 보내던 중 류헤이는 자신의 선배 집에서 영화를 보자는 제의를 받고, 자신이 감상하고 싶어 했던 미스터리 영상물을 대여하여 함께 영화를 보게 된다.
본격적인 사건은 주인공 류헤이가 그의 선배와 함께 2시간 동안의 즐거운 영화 감상을 마치고 난 후 불과 얼마 안 되어 발생한다. 선배는 영화관람 후 류헤이와 몇 잔의 가벼운 음주를 즐기다가 잠깐 샤워를 하러 간 뒤,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이상한 기운을 느낀 류헤이는 욕실로 향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선배가 흉기에 찔려 살해된 선배를 발견하고는 그 충격으로 기절해 버린다. 다음 날 아침 정신을 차리게 된 그는, 자신이 누군가에 의한 함정에 빠져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한때 자신의 매형이었으며 현재는 사립탐정 사무소를 운영하는 우카이에게 연락을 취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여자 친구도 선배가 사고를 당했던 것처럼, 비슷한 시간대에 누군가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놀라운 소식을 듣게 되기에 이른다. 그런데 문제는 두 건의 살인 사건의 피해자가 모두 자신과 깊은 관계가 있는 사람들이며, 특히 선배의 죽음은 아무런 외부 침입이 불가능한 밀실에서 발생한 것이라서, 류헤이의 처지에서는 사건의 여러 정황상으로 볼 때 자신이 범인이 아님에도, 이미 이 사건에 유력한 용의자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은 별개의 장소지만 불과 10 여분 사이에 같은 흉기에 의한 두 건의 살인 사건이 발생했고, 더구나 이중 하나의 사건은 외부의 침입이 없는 밀실에서 진행된 것이라, 사건의 내용만 보더라도 범인이 누구일지에 대한 관심도를 증폭시키고 있어서, 독자의 관심을 사로잡을 만해 충분해 보인다. 또 하나 이 작품이 조금 특이해 보이는 것은, 끔찍하고 연속된 두 건의 살인 사건이 발생했음에도 공포와 스릴이 주는 긴장감보다는, 중간마다 등장하는 인물들에 의한 코믹한 내용에 의해 부담감 없이 읽힌다는 점이다. 더불어 사건 속에 숨어 있는 대담한 트릭들을 바탕으로, 작품의 구성면과 추리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치밀하게 엮어져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이 작품은 범죄자의 살해 동기와 같은 사건의 개연성 부분에서 조금은 이해하기 어려운 애매한 점이 있다는 것과 또한 살해 사건을 다루고 있음에도, 독자에게 있어 범죄를 바라보는 시각을 너무 단순하고 안일하게 다루고 있지 않나 싶기도 하다. 그럼에도 이 작품이 긍정적으로 생각되는 것은, 미스터리 추리에 유모를 적절하게 조화시킴으로써, 기존의 미스터리 작품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결말의 끝을 알 수 없는 미스터리 전개, 그리고 그 안에 교묘하게 장치되어 있는 트릭의 부분을 유머러스한 이야기와 함께 풀어간 이 작품에, 독자들의 관심이 있기를 바라며 그의 새로운 작품이 조만간 등장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