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벌 - 1659년 5월 4일의 비밀
오세영 지음 / 시아출판사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역사는 과거의 사실들을 기록해놓은 단순한 것에 불과할지는 모르지만, 우리는 그러한 역사를 통해 현재 우리의 모습을 다시 한 번 되새겨보고 향후 미래를 조망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은 조선 효종 때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북벌 정책의 일부 과정을 당시 실존 역사인물들을 등장시켜 사실적으로 재현해 낸 작품이다. 북벌론은 모두 알다시피 오랜 시간을 거쳐 치밀하게 계획되어 실행을 얼마 남겨 두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런 효종의 죽음으로 그 힘을 잃고 중단되면서, 아직까지도 그 진의가 무엇이었는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는 여러 가지 의문을 남긴 하나의 사건으로 남아 있다. 역사를 바라보는데 있어 가정을 생각한다는 것이 어찌 보면 무의미하게 여겨질지는 모르지만,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당시의 북벌 정책이 과연 실효 가능했던 것이었을까, 혹은 명분만을 취한 무리한 정책은 아니었는지, 그리고 효종과 함께 북벌 정책을 주장했던 당시 기득권을 유지하고 있던 서인세력들이 진정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는지 등 여러 가지 면을 깊이 생각해보고자 하지 않았나 싶다. 하나의 역사적 사건은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는가에 따라 여러 견해들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를 보아야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쳤을 때야 비로소 왜곡되지 않은 객관적인 역사관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많은 독자들이 이 소설에서 펼쳐지는 당시 긴박하게 진행되었던 북벌의 과정을 살펴보면서 보다 폭넓고 균형적인 시각을 견지해 보았으면 싶다.

북벌정책이 대두하게 되었던 역사적 배경을 잠시 살펴보면, 임진란 이후 국력이 약해졌던 조선은 서인세력에 의해 인조반정 이후 명나라와의 명분을 중시해 친명배금이라는 외교정책을 유지해오다가, 청나라로부터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이라는 양란을 거치면서 굴욕적인 군신관계를 맺게 되는데, 효종이 등극하면서 조정에서는 청을 배척하고 명나라의 복수를 외치는 척화론이 힘을 받아 서서히 싹트게 되면서부터다. 이 소설은 북벌 계획이 초기 단계를 거쳐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렀던 청의 요청아래 나선정벌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 된다. 나선에서의 성공적인 전쟁을 치른 후 조선의 내부에는 세 부류의 세력이 첨예하게 대립하게 되는데, 하나는 훈련대장 이완과 그의 수하 윤헌을 중심으로 한 북벌 단행 세력, 그리고 이에 맞서 북벌정책을 방해하는 중국의 거상으로 조선 내 친청세력을 이끄는 성명욱 일파, 나머지 하나는 겉으로는 청을 배격하고 북벌론에는 찬성하지만 실질적인 실행에는 반대하는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집권세력인 서인들이다. 나선 정벌에서의 승리와 그동안 군비확충에 만전을 기하며 북벌을 하루빨리 실행하고자 하는 이완과 그의 믿음직한 수하 윤헌은, 북벌 출병을 위한 조정의 명분을 얻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지만, 성명욱 일파에 의해 매사 방해 공작에 휘말리게 되고, 한편 집권세력의 우두머리 송시열은 지금은 이런 저런 이유로 북벌을 반대하며 효종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의 서로가 한 치의 양보도 없는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인다. 하지만 남명의 공격을 받고 조선에 출병 도움을 청하기 위해 청나라가 보낸 칙사가 도착하면서부터 이들의 관계는 서서히 깨져가고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이 소설은 역사의 사실에 근거하여 실존했던 인물들과 가상의 인물들을 함께 배치하여, 허구와 실제의 이야기를 조화롭게 구성해놓았으며, 마치 영상으로 보는듯한 착각이 들게 할 만큼 리얼하게 그려내어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에 쉽게 빠져들게 만든다. 더불어 당시 진행되었던 북벌의 과정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어 다각적이고도 객관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도록 작가의 노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여겨진다. 특히 많은 역사서에 나와 있는 것처럼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노론의 영수 송시열이 효종과 함께 북벌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해왔던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작품 속에서 그는 오히려 효종의 북벌 실행과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는데,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어디에서부터 오는지 독자들이 이 소설의 이야기의 흐름에서 찾아보았으면 싶기도 하다. 작가는 책의 말미 후기에서 당시 대다수의 사대부들이 주장한대로 북벌 정책이 과연 자기 분수를 모르는 무리한 정책이었는지, 혹은 효종의 죽음으로 북벌이 무산되긴 했지만 그 자체로도 조선은 실리를 얻은 것은 아닌가 하는 다양한 논점들을 이야기 하면서, 많은 독자들이 역사 사료의 행간을 보았으면 하는 간접적인 피력을 나타내고 있어, 이 소설을 통해 북벌의 의미를 여러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 그 실질적 의의를 찾아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지난 역사의 사건을 오늘의 시각에서 재조명 해보는 것은, 그것이 옳고 그름을 가리기보다 이를 통해 미래의 발전적인 모델을 찾기 위함일 것이다. 따라서 북벌 정책을 두고 변화보다는 안정을 추구하려는 기득권세력과, 반면에 이를 시행하여 왕권강화를 위한 새로운 국면을 모색하려는 효종, 그리고 신흥국가로 부상하면서 실리적인 외교구축을 꾀하는 청나라 세력 간의, 흥미 있는 대결구도가 펼쳐져 있는 이 책의 이야기에 많은 독자들의 관심이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