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들의 결탁 - 퓰리처상 수상작
존 케네디 툴 지음, 김선형 옮김 / 도마뱀출판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이런 생각을 해보았다. 천재와 바보라는 이 두 객체를 놓고 가만 보노라면 평범하지 않다는 점에서 때로는 이들의 존재는 그다지 차이가 없는, 아니 어쩌면 동일한 대상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누군가 아무리 기상천외한 생각과 번득이는 기지를 가졌다 해도 이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여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 아니거나, 혹은 어눌해서 비현실적인 느낌이 강하게 우리를 압박하게 된다면 아마도 그러한 사실에 우리는 상당히 당황스럽거나 황당하게 여겨질 것이라는 것을 말이다. 그렇다면 천재와 바보들의 눈에는 우리가 어떤 모습으로 비춰지는 것일까. 모르긴 몰라도 아마 그 반대의 상황이 되는 것은 아닐까 싶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이 책이 과연 어떤 독창성을 지닌 코미디를 다룬 이야기일까에 그 무게를 많이 두었었다. 물론 이 작품을 읽은 독자들마다 저마다 다양한 생각과 느낌이 있겠지만, 나의 경우 완독 후 느낌은 솔직히 혼란스러울 정도의 황당함과 당황스러움을 안겨준 그러면서도 딱히 그 무엇이라고 표현하기 힘든 이상하고도 묘한 매력을 지닌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희극의 표면에 애처로운 비극이 은근이 담겨 있고, 타락한 자본주의 현실에 냉소적인 조롱과 멸시가 거칠게 다루어져 있지만 지적인 품위를 결코 잃지 않으려는 저자의 노력이 매우 돋보이는 작품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 책 주인공의 엉뚱하고도 발칙한 행동들을 보면 마치 스페인의 작가 세르반테스에 나오는 돈키호테의 모습을 보는듯하지만, 그의 생각 속에서 나오는 이 책의 여러 표현들을 빌리면 또 그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 이 책 후반에 나오는 역자 설명에 따라 저자의 생을 잠시 들여다보면 이 책 주인공의 이야기는 그의 실제적인 삶이 많이 반영된 소설이 아닌가 싶다. 주인공 이그네이셔스는 언제나 남들에게는 좀 독특하게 보이는 옷차림새를 고집하여 입고 자기 한 몸 가누기도 힘든 비대한 몸무게를 지닌 다소 기이하고 게으른 성격의 소유자다. 그의 어머니는 남편과 일찍 사별하여 얼마 되지 않는 연금과 남편의 보험금으로 그를 애지중지하여 키웠지만 사사건건 말썽과 사건을 일으키는 아들 때문에 언제나 대립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매일 쏟아지는 엄마의 잔소리와 강요를 이기지 못해 사회생활을 거부한 채 자신의 방에서 글을 쓰며 한가로이 지내던 주인공은 결국 일자리를 찾아 거리로 나오게 된다. 배회 끝에 그는 몇 개의 일자리를 얻게 되지만 그때마다 자신의 주장과 의견만을 강조하며 감당하지 못하는 일들을 크게 벌이며 곤혹스런 낭패에 빠지게 된다. 공장의 흑인 노동자를 자극하여 시위대를 조직하거나 동성애자들의 이익을 위해 사회운동에 앞장서는 등의 현실과는 괴리된 그의 행동에 사람들은 그를 바보로 취급하기에 이르지만 그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진정한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세상 사람들이 어리석다고 생각한다.

책 속에는 60년대의 미국의 사회 전반에 관한 많은 이슈적인 내용들이 등장 하는데, 아마도 저자는 조금은 엉뚱한 주인공을 등장시켜 당시 사회의 여러 부조리적인 것과 퇴폐적인 것 등을 간접적으로 풍자하거나 비판하려 하지 않았나 싶고,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중간 중간 주인공이 노트에 독백처럼 써놓은 글들을 보면 단순이 웃고 넘길 수 없는 진지한 내용들이어서 독자들이 한번 눈여겨 볼만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다. 또한 이 책에는 거의 모든 부분이 희극적인 것으로 가득 차있는데, 배경 설명에서도 그렇고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주고받는 대화 내용을 보면 하나 같이 실소를 금치 못할 정도의 웃음을 자아내고 있어 두꺼운 분량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는 재미를 더해준다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희극의 줄거리 안에는 왠지 모를 서글픔들이나 씁쓸함이 느껴지기도 해서 때로 안타까운 생각이 들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보면 이 책은 여러 가지 면에서 상당히 의미 있게 다가오는 책으로 여겨지기는 하나, 다루고 있는 일부의 내용이 조금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고, 간혹 너무 오버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근래에 보기 드문 좋은 희극 작품을 읽었다는 느낌이 들게 하는 책이어서 많은 독자들에게 한번 읽어 보기를 조심스럽게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