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를 뒤흔든 16인의 화랑
이수광 지음 / 풀빛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반도의 동남부에 자리하고 있던 신라는 삼국 시대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국가 이면서도 가장 늦게 발달한 국가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키고 한반도 최초의 통일국가가 되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한반도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었던 주요인은 화랑의 역할을 빼놓고 이야기 할 순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학교에서 통일 신라의 역사를 배우며 익히 알던 화랑 출신의 인물들은, 김유신 사다함, 관창 등 몇몇을 제외 하면, 그다지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선덕여왕이라는 TV 사극을 통해, 화랑에 대한 이야기가 상세하게 그려지면서, 그 동안 역사 교과서로 단순하게 넘겨 왔던, 화랑들의 이야기가 요즘 많은 사람들에 의해 한동안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그렇지 않아도 방송을 보며 화랑에 대한 여러 가지 새로운 이미지와, 실제 그들의 활약상이 궁금했었는데, 우연한 기회로 이 책을 읽는 계기를 얻게 되었다.

신라는 삼국 중에서 특이하게도, 골품제도와 화백제도를 정치의 근본적인 뼈대로 삼으면서, 국가 안정을 취해온 나라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로 인해 왕권의 약화가 심해지자, 화랑이라는 강력한 집단을 만들게 되는 계기가 생기는데, 이는 씨족사회의 연맹체에서 하나의 부족국가로 나아가면서, 신라가 왕권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인 결속이 무엇보다 간절했기에 필연적인 그들의 선택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더군다나 가야국과 삼한의 일부를 복속 시키면서, 부강한 신라를 꿈꾸던 그들에게 그러한 통치제도는 어찌 보면 그 시대에 당연한 산물이었을 것이다. 삼국시대의 역사가 그렇듯이 신라역시도 왕을 중심으로 한 역사만이 우리에게 알려져 있지만, 그 내부를 조금만 들여다보면 그 이면에는 화랑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음을, 이 책은 말하고 있다. 화랑의 자세한 역사는 화랑세기와, 삼국사기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 책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화랑의 우두머리 즉, 풍월주 중에서 많은 활동과, 신라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16명의 화랑 이야기를 두루두루 담아낸 책이다.

화랑은 알다시피 귀족의 자제만 들어 갈수 있는 일종의 특수 집단이다. 그런데 좀 의아한 것은, 원래 화랑의 모태는 원화였는데 원화의 리더가 여자라는 점이고, 이들에게는 강력한 병권이 주어져 그 힘이 막강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신라는 초기에 부계 중심의 왕위 계승이 아닌 모계 혈통에 따라 왕위가 결정되는데, 이 왕위 결정권을 놓고 대원신통, 진골신통이라는 두 세력 간의 다툼이 치열 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그 세력의 기반을 튼튼하게 하기 위함과, 혈통의 보존을 위해 근친을 서슴지 않는 성 풍속도가 허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모계사회의 단점중 하나는 부계를 인정 하지 않기에, 모계의 수장에서 낳은 자식만 있을 뿐이어서 신라 후기로 가면 갈수록 점점 그 세력이 약해지게 되고, 화랑 역시 그 세력들에 따라 서로 반목하고 갈등하기를 반복 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화랑의 모습이 되어 갔던 것으로 보여 진다.

이 책에서 나오는 화랑의 16명중 특히 눈에 띄는 화랑은 사다함과, 문노의 이야기다. 사다함은 총명하게 태어나 사생활이 문란한 어머니(금진낭주)로부터 심적인 고통을 받으면서도, 국가적인 공을 세우고, 부모의 효를 다하는 모범적인 화랑의 본보기가 된다, 또한 미실과 세종과의 삼각관계에 얽히면서도 풍월주로서의 자태를 잃지 않으며, 순수한 사랑을 끝까지 지켜내고, 더불어 친구의 죽음을 애통해 하다 젊은 나이에 요절하게 되는데, 그는 화랑 중에서도 화랑도의 정신을 가장 잘 지켜낸 인물로, 삼국사기에도 그의 내용의 기록 되어 있다 한다. 또 하나는 문노의 이야기인데, 어려서부터 학문과 무예에 뛰어난 실력을 보여 왔으나, 그가 가야파 출신성분이라는 점과, 외할머니가 왜국의 여자라는 이유 때문에 번번이 큰 공을 세우고도, 골품제라는 제도에 의해 배척당한다. 하지만 워낙 무예가 뛰어나고 그를 따르는 낭도들이 많아, 결국 그는 풍월주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되는 신라의 입지전적 인물이 된다. 이 당시 귀족들은 문란한 생활을 영위 하였으나, 문노는 자신의 사생활에 엄격 하고 대의에는 강직했으며, 그의 부인 윤궁낭주와의 애틋한 금슬은, 신라인들에게 가장 닮고 싶어 하는 부부상이 될 정도로 모범적 이었다고 한다.

이 책은 이 외에도 화랑들의 여러 가지 개개인의 역사를, 자세하고 재미있게 그려내어 독자들이 화랑을 이해하는데 있어 한층 흥미 있고 쉽게 다가 갈수 있도록 엮어놓은 책으로 보여 진다. 이 한권의 책으로 모든 신라 화랑의 내용을 알 수는 없겠으나, 화랑들을 통한 신라의 권력 역사와 그 내부의 투쟁 과정이 어떻게 전개 되어 가는지에 대한, 많은 부분들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으며, 또한 이제껏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화랑의 역할이, 신라의 역사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침으로서, 신라의 왕실사도 더불어 살펴 볼 수 있기에, 이점 또한 이 책을 읽을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지 않나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