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형? 학습법! - 소크라테스에서 빌 게이츠까지 '천재들의 공부 습관'
이영직 지음 / 스마트주니어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중매체를 통해서보는 여러 가지 통계표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교육열이 높은 대표적인 나라중의 하나라고 한다.
게다가 교육열이 많은 나라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는 교육량이 많고 또한 그 수준까지도 상당히 높다고 한다.

교육은 백년지계라고 말한다.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계획을 세워야한다는 것이기에 교육은 그만큼 중요한 것이라는 말이다. 자녀를 둔 부모들 중에서 자녀교육에 관심이 없는 부모가 있을까마는, 사실 교육에 많은 관심이 있다하더라도 자녀의 교육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피상적으로 알고 있거나, 학교 공교육에만 맡겨두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아는 부모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그러한 부모들을 위해서 구체적인 대안과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을 해놓아 그 해결책을 제시한 책 이라 할 수 있겠다.

아이와 질문을 통해서 아이의 상상력을 키워가는 부모가 되라.

유년기의 아이들은 자기 앞에 펼쳐진 세상에 대해 호기심이 무척 많은 시기다.
가정이나 학교 그리고, 인터넷이나 TV는 물론이고 세상 돌아가는 모든 것들이 아이들의 눈에는 모든 것이 새롭고 때로는 신기하게 보이기도하고 의아해 하기도 한다.
아이들은 세상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 없기에 머릿속에는 늘 왜 그럴까? 왜 그렇지? 라는 의문부호가 항상 따라다니기 마련이고, 그래서 늘 아이들은 질문이 많다.

만약 이런 아이들의 질문에 부모가 무심코 생각 없이 지나치거나 설사 대답한다 하더라도 아무런 구체적인 설명 없이 단답형 형태의 대답하지 말고,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서 왜 그렇게 되는지 또한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이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준다면 아이들은 그 사실을 통해 스스로 새로운 논리적 사고력이 점점 깊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의 질문에는 사소하게 지나칠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설명해줌으로서
아이의 질문이 더 활발하게 생성 할 수 있게 부모들은 도와주어야 한다.
뉴턴의 만유인력이 그렇고, 에디슨의 전구발명이 그렇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이러한 사소한 의문에서 시작 되었다.

아이들 스스로가 학습 주관자가 되도록 만들어라.

아이들이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수업 받는 방식은 보통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인 경우가 많다. 주입식 교육의 가장 큰 단점은 그 내용이 아이의 머릿속에 오래 기억 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이의 머리속에 지식을 평생 동안 남겨두는 좋은 방법은 아이 스스로 질문을 하게하여 주입식의 단순 기억이 아닌, 아이 스스로 능동적인 질문을 통해 아이가 이해함으로서 완전하게 아이의 것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질문과 그에 대한 대답을 선생이나 부모를 통해서 아이가 가졌던 의문점을 이해하게 된다면 아이들은 스스로 학습 주관자가 되어 학습활동에 보다 흥미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으로 힘든 경우에는 아이와 함께 부모가 실제 간단한 실험이나, 여러 가지 꾸미기나 만들기 또는 현장학습의 체험을 통해서 체득하게 된다면 아이들은 더욱더 자기주관적인 학습자로서 커가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맞는 교육법을 찾아 실천 하라.

아이큐가 높다고 해서 모두 천재가 되는 것도 아니고, 극히 평범한 아이라고 해서 나중에 천재나 영재가 되지 못하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이는 후천적으로 아이가 어떻게 학습해나가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아이들은 태어나서부터 보통 가정에서 아빠보다는 엄마와 함께하는 시간이 많다.
따라서 자녀교육에 있어서 엄마의 역할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엄마는 아이의 재능을 살피고 아이가 꿈과 희망을 갖게끔 아이의 숨은 잠재능력 키워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부모는 아이의 재능이 보이지 않는다고 실망해서는 안된다. 평범하거나 정규교육에서 낙제생이었던 아이들이 나중에 큰 인물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기에, 부모들은 늘 아이들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의 칭찬과 격려 그리고 사랑으로 키운다면 얼마든지 인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에디슨.아인슈타인,프로이트,록펠러,스필버그,빌게이츠 등등 이들의 공통점은 유대인이다.
유대인은 민족 자체가 우수해서 이런 인재들이 배출 되는것이 아니라, 그들의 철저한 교육 때문이라고 한다.
유대인의 엄마들은 어릴때 부터 아이들에게 왜? 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반복하게 하여 아이들의 창의적인 사고의 형성에 토대를 만든다고 한다.

보통 부모들은 아이들 교육에 관심은 많이 있지만 어떻게 교육 시켜야 할지 그 방법을 모르거나, 또는 학교 교육에만 의지하여 부모로서 책임감을 소홀히 하여 아이의 재능을 방치하는 건 아닌지, 이 책을 통해서 지금이라도 아이와 함께 잠깐 동안 이라도 틈을 내서
각자 아이에게 맞는 교육법을 찾아 아이의 숨은 재능을 찾아주고 그들이 나중에 인재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도와준다면 좋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