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부관계 수업
정다원 지음 / 모티브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전달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ㅇ
최근에 정말 명언 중의 명언을 들었다. 가수 션이 아이들을 어떻게 하면 잘 키울 수 있냐는 질문에 아이들이 되고 싶어 하는 사람이 되면 된다 라는 대답을 하더라. 그리고 또 한 마디, 아이들이라는 열매는 어머니라는 나무에서 열리기 때문에 아내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다는 말이었다. 이 말은 나에게 큰 울림을 주었고, 마침 읽은 부부관계 수업이라는 책의 메시지와도 정확히 맞아떨어졌다.
책을 받았을 때부터 마음가짐을 단단히 하고 읽었다. 단순히 결혼 생활의 기술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청소년 상담 경험을 통해 아이들의 마음 건강이 부모의 언어와 부부 관계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부모가 아이들에게 아무리 좋은 말을 하고 싶어도, 부부 사이가 불안정하면 아이 정서 건강도 고스란히 불안하다는 것. 결국 아이의 행복은 부부의 관계 속에 있다는 진리가 정곡을 찔렀다.
책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부분은 사람의 성향을 여덟 가지로 분석해 놓고 부부가 서로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주었다는 점이다. 나는 소금산과 사막이라는 성향으로 진단되었는데, 소금산 성향은 질서와 원칙을 중시하고 타인에게도 높은 기준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런 성향은 진지함과 성실함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타인에게 엄격하고 여유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관계를 힘들게 만들 수 있다는 지적은 내 모습 그대로라 뜨끔했다. 또 사막 성향은 일 중심적이고 책임감을 강하게 지니는 반면, 휴식이나 여유로움을 즐기지 못한다는 점도 너무 맞아 떨어졌다. 나를 돌아볼 수 있는 거울 같은 설명..
관계 속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 성향만 아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성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과정이라는 점이다. 화산처럼 감정을 뜨겁게 표현하는 성향, 섬세하고 민감한 호수 성향의 사람, 논리를 중시하는 고독한 에베레스트 성향까지, 각 성향이 다 다르기 때문에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라는 시선으로 배려해야 관계가 건강해진다는 메시지는 관계의 본질 아닐까.
결혼이란 단순히 행복을 얻기 위한 제도가 아니라, 서로를 성장시키는 과정이다. 나는 최선을 다했는데 왜 상대가 사랑으로 받아들이지 않을까라는 의문도, 사실은 상대방의 성향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는 상대를 고치려 하기보다 나를 먼저 이해하고,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며 채워 줄 때 진정한 부부의 행복이 가능하다는 건 정말 중요한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