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노동과 인간. 이 불가무한 관계를 과연 누가 말끔하게 청산할 수 있을까. 인간이 노동이라는 고통의 굴레를 진지 오래되었으나 현재 우리 삶의 어느 현장에서도 그 가치는 추락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면 거창한 이념을 떠나 과거 봉건제를 뒤엎은 이유도, 자본주의를 뒤엎은 이유도 좀 더 평등하게 잘 살아보자는 의미에서 혁명(공화국, 사회주의 등)이 발기되었지만, 현 시점에서 보면 그건 어디까지나 윤회를 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 그럼 우린 왜 돌고 돌아 제자리로 온 것일까.
이 물음에 답을 하려면, 먼저 인간의 속성을 깊이 들여다보아야 할 터이다. 인간의 욕망, 타인 위에 우뚝 서려는 인간의 탐욕은 그 종점이 어디인지 모르게 하염없이 치솟기만 한다. 그게 우리네 현실이고 자본주의의 탈을 쓴, 신자유주의를 신봉하는 한국의 현주소다. 무서운 얘기지만 신자유주의는 인간을 잡아먹는, 끝없는 생산의 노예로 인간을 선택한 악마와도 같은 존재다. 우리 인간의 운명 또한 자본주의를 선택한이레 이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었다. 마치 시시포스의 굴레처럼, 무한궤도를 도는 다람쥐처럼.
현재 코로나19로 인간의 행동을 금했더니, 바로 증빙된 게 하나 있다. 사장경제의 맥이 끊어져 돈과 생산의 흐름이 막히다보니 자연히 경제는 곤두박질치고, 인간 없는 세상이 원래 지구가 원한 것처럼 자연이 그 주인이 되어가는 현상이 보인다. 뿌연 황사와 매연으로부터 맑은 공기의 질이 눈에 띄게 좋아지면서 도시에서는 좀체 보이지 않던 동물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는 게 그 증거다. 이와는 반대로 정부는 시장의 흐름을 원래대로 복구하기 위해 재난지원금을 마구 뿌리기 시작했다. 이것은 끝없는 생산을 해야 하는 자본주의의 굴레라고 할 수 있다.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는 생산만을 강조하고 노동의 숭고한 의미를 잊은 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채찍질을 가한다. 철도원으로서 삼대를 이끈 가족사를 빗대어 노사분규, 노동투쟁, 무산계급 등 다소 진부하다고 느껴지는 구어(여기서 말하는 구어라고 하면 한때 유행처럼 번져갔던 옛 세대에서 자주 쓰였던 단어를 의미한다.)들이 나오는데, 이걸 1대 이백산부터 4대 이진오까지 이어져 오는 어느 한 가족의 연대기를 보면서 퇴색해 가고 있는, 아니 진부하다고 생각한 단어들을 다시 떠올려,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 여기에는 과거의 사회병폐가 고스란히 지금도 잔존하고 있고, 오히려 더 심각하게 부풀려 역사의 딜레마를 덧씌우고 덧씌워 장악하려는 어두운 그림자가 있음을 상징한다.
이 책의 주인공인 이진오는 굴뚝농성을 시작으로 자신의 조상들로부터 이어져오는 노동의 의미를 큰 할아버지 이백산, 할아버지 이일철, 작은 할아버지 이이철 그리고 아버지 이지산의 역사적인 경험을 우리에게 신랄하게 전해준다. 일제 강점기 때 식민으로서 노동의 착취를 이백산과 이일철, 이이철의 목소리로 들려주면서 노동의 고통과 숭고함을 부각시키고, 이이철이 사회주의에 물들면서 노동투쟁을 이끄는 대목에서 가제본의 막이 내린다. 실제 원본은 육백페이지가 넘기 때문에 뒷이야기가 궁금하기 짝이 없다. 또한 꿀 팁이 하는 있는데, 르 끌레지오의 「혁명」 가족사와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 가족사를 비교하는 것도 독서의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가족 구성원들이 화자가 되어 파란만장한 인생을 이끄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전쟁과 노동이라는 주제 면에서는 전혀 다른 이야기이다.
마지막으로 이념의 문제를 논하지 않을 수 없는데,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 신자유주의 등 무수히 많은 이념들이 나오지만, 진정 인간을 위한, 인간의 행복을 위한 이념은 없는 듯하다. 오히려 어느 한 특권계층(봉건제, 공상당, 파시즘, 나치즘의 일부 계층 등)의 노리개로 전락한 경우가 역사적으로 증명이 된 셈이라 할 수 있고, 이런 실수를 두 번 다시 할 필요가 없음으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면 도달점은 없을까. 이 세계에는 유토피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진정한 사회주의는 없을까. 유럽의 복지국가들이 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그 모델이 맞는다면 우린 어떻게 해야 할까. 분단체계가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들 한다. 통일이 되어야 이념전쟁에서 벗어나 유럽 그 이상의 복지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점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수긍하면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그 다음에 시간을 가지고 변화해야 한다. “지금의 우리는, 끊임없이 싸워온 우리의 결과다. 어쨌든 세상은 조금씩 아주 조끔씩 나아져간다.” 황석영의 말이다. 혁명은 그렇게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