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태충(括胎蟲)이라고도 하며, 복족류에 속하는 껍데기가 없는 달팽이이다. 몸길이 4∼5cm, 몸나비 약 1cm이다. 껍데기는 퇴화해 없어지고 연한 갈색의 외투막이 등을 감싸고 있다. 호흡공은 앞쪽의 오른쪽에 열려 있다. 머리에서 꼬리까지 3줄의 검은색 가로선이 있다. 검은색 점이 몸 전체에 불규칙하게 나 있으며 아래의 발부분은 회백색이다. 머리에 2쌍의 촉각(더듬이)이 뿔처럼 나 있어 자유로이 내밀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는데 뒤의 것이 앞의 것보다 길며 거기에 눈이 있다. 또 앞의 1쌍에는 후각기관이 있다.

인가 근처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장독대, 담 등의 습한 곳과 온실 등에 서식한다. 낮에는 돌 밑이나 흙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나온다. 발의 앞끝에 점액선(粘液腺)이 나오는 구멍이 열려 있어 몸이 건조할 때 점액을 분비하여 몸이 잘 미끄러지도록 한다. 식물의 잎에 올라가 먹을 부분을 침으로 축인 후 단단한 위턱으로 물어서 갉아먹는다. 자웅동체이며 초여름에 흰색의 둥근 알을 약 40개 낳는데 약 1년 동안에 완전히 성숙하고 이듬해 알을 낳고 죽는다.

 

 

 

 오! 크리스마스,

 前날인 아침에 화분에 물을 주다

 뭔가..거실벽에 갈색 이파리같은 게 붙어 있음을 포착했다.

 안경을 끼고 자세히 보니 아, 그것은 민달팽이 한 마리. 너는 누구냐??

 문득, 20년전 안동 도산서원을 답사하던 그 여름, 보라색 도라지가 무성하던 그 길 군데군데서 보았던 그 민달팽이들이 떠오르며. 얘가 어디서 생겼을까? 궁금하다가 아 어느 화분에 우연히 알이 붙어와서 생겼나 보군. 흠..식구들은 창밖으로 버리라고 하지만 어림도 없는 일이지. 이 엄동에 어디다 버린단 말인가, 살아있는 그 놈을. 그' 민달'(민달팽이를 줄여 이렇게 이름이 되버렸군.)을.

 손으로 톡 치니 긴 몸이 쏙 짧아졌다. 놈도 아마 크게 당황했을 것이다. 누구도 자신의 몸을 건드린 적이 없었을 테니까. 생각 끝에 마리안느화분으로 옮겨놓으니, 잠시후 사라졌다. 흙속으로.

 봄이 와서 흙이 부드러워지면 바깥 화단으로 갈때까지' 임시 거주'를 허락하노라. (참,,'민달'이 알에서 부화했다면 여기가 집일텐데. 게다가 제 몸뚱아리 하나 숨길 집도 없는 '민달팽이'가.)

 

 

  엘리자베스 토바 베일리의 <달팽이...안단테>를 책장에서 꺼낸다.

  작년 여름 인상깊게 읽었는데 오늘 예기치 않은 '민달'과의 만남으로 다시 읽어 보는구나.

 

 

 달팽이는 화분 벽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서는 호기심 어린 모습으로 시든 꽃들을 이리 저리 살펴보았다. 그러고는 꽃 한 송이를 먹기 시작했다. 먹는 건지 안 먹는 건지 모르는 속도로 꽃잎 하나가 서서히 사라져갔다. 귀를 바싹 기울였다. 달팽이가 먹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것은 누군가가 샐러리를 매우 잘게 끊임없이 씹어 먹을 때 나는 아주 작은 소리였다. 나는 보라색 꽃잎 하나를 저녁밥으로 꼼꼼히 다 먹어 치우는 한 시간 동안 잠시도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보았다.

달팽이가 먹으면서 내는 아주 작고 정겨운 소리는 내게 특별한 동무와 공간을 함께 쓰고 있다는 느낌을 안겨주었다. (26~27쪽)

 

어디에 살든, 그는 홀로 사네. 제 몸을 빼고 가진 것은 아무것도 없어.

자기 자신이 온전히 보물임을 더할 나위 없이 흡족해할 따름이지.

                                     -윌리엄 쿠퍼, <달팽이>/(1731)

 

접힌 부분 펼치기 ▼

 

        나는 어떤 바위까지 가기로 했어.

       그러나 거기에 도착하기 전에.....동이 틀 게 분명해.

       그 바위에 다다르면

       거기 어디 갈라진 틈에 들어가 잠을 자리라.

 

        -엘리자베스 비숍, <왕달팽이>(1969)

 

펼친 부분 접기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12-24 15: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12-24 15:4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