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것은 맨 처음 어둔 땅을 고 나온 잎들이다

         아직 씨앗인 몸을 푸른 싹으로 바꾼 것도 저들이고

         가장 바깥에 서서 흙먼지 폭우를 견디며

         몸을 열배 스무배로 키운 것도 저들이다

         더 깨끗하고 고운 잎을 만들고 지키기 위해

         가장 오래 세찬 바람 맞으며 하루하루 낡아간 것도

         저들이고 마침내 사람들이 고갱이만을 택하고 난 뒤

         제일 먼저 버림받은 것도 저들이다

         그나마 오래오래 푸르른 날들을 지켜온 저들을

         기억하는 손에 의해 겨울을 나다가

         사람들의 까다로운 입맛도 바닥나고 취향도 곤궁해졌을 때

         잠시 옛날을 기억하게 할 짧은 허기를 메꾸기 위해

         서리에 맞고 눈 맞아가며 견디고 있는 마지막 저 헌신

 

 

                                                        -<시래기>- 도종환.

 

 

 

 

B에게.

 

 

 

 저녁으로, 무화과브래드에 딸기크림치즈를 잔뜩 발라 먹고..또..카스테라가루가 어찌나 탐스럽게 뿌려졌는지, 풍만한 자태을 뽐내고 있던 케익도넛을 또 하나 먹어 주고..그리고 자기만 빼놓으면 괜히 서운해 할까봐 '예의상', 하나 남은 생크림이 바삭한 파이에 잘 숨겨져 있는 '초코쇼콜라'까지 마저 먹고 헤즐럿커피를 머그컵 가득 뜨겁게 담아 마시고 있는..거의 '식신(食神)'의 경지에 올라..이 겨울 이후 부쩍 심하게 몸이 난 스스로에 대한 민망함을 ...(흐흑)

 

 세발가락나무늘보에 대해서는, 김영하의 -랄랄라 하우스-를 읽다가 '생존의 기술'이란 챕터에서 알게 됐는데 쫌 재밌다는 생각이 들어 옮겨 봅니다.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라는 소설에 보면 세발가락나무늘보 이야기가 잠깐 나온다. 늘 잠만 자고 게으르고 동작이 굼뜨기로 유명한 이 동물은 몇 번을 건드려야 겨우 졸린 눈으로 물끄러미 사람을 쳐다본다고 한다. 귀도 어두워서 총소리쯤 돼야 겨우 반응을 보이고 그나마 낫다는 후각도 나뭇가지가 썩었는지 안 썩었는지 판별하는 수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동물학자 블록에 의하면 적지 않은 나무늘보들이 썩은 나뭇가지에 매달렸다가 땅으로 떨어진다고 한다.

그럼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바로 그 어찌할 수 없는 수면벽과 천성적인 게으름이 나무늘보 생존의 비밀이다. 너무 느리다 보니 위험한 길은 아예 가지를 않고, 늘 가만히 잠만 자고 있으니 제규어나 표범, 독수리 같은 포식동물의 주의도 끌지 않는다는 것이다. 털도 무성하여 멀리서 보면 꼭 흰개미집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그냥 대수롭지 않은 나무의 한 부분처럼 보인다고 한다. 그들은 평화를 사랑하는 '채식주의자'이며 자연과 완벽하게 동화되어 살아간다.

항상 흐믓한 미소를 짓고 있다는 그 세발가락나무늘보. 가끔 어떤 사람은 너무 바쁘게 살아서 문제다. 그가 바쁘면 바쁠수록 세상은 어지럽고 어수선해진다.-

 

 

 오늘 같은 날은 문득, 독일 슈투트가르트쳄버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Bach의 -골드베르그변주곡 Bwv 788-이 듣고 싶어지고, 문득 음악을 잊은지 오래됐다는 기억이 되살아나고...고요하고 서늘한 실내에 앉아..자신과 내면의 대화를 手話로 나누며 ,적요하고 다정한 時間을 삶의 쉼표처럼 나눌 수 있게 해주던,,글렌골드가 치는 피아노연주도, 여름날의 비내리는 저녁처럼 그립고요.

 같은 곡의 音樂이라도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그 느낌이 다 다르고, 그것은 그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의 내면이나 삶의 지향, 테크닉에 따라 다 달라서 이겠지요.  -양들의 침묵-, OST에 나오는 안소니 망길라의 골드베르그변주곡은 제게 왠지 밋밋한 느낌이 들어 맘에 들지 않았습니다.

 가장 많은 연주자들이 연주한 곡으로는, 역시 Bach의 무반주첼로조곡이겠고..1악장의 -프롤류드-가 갑자기 듣고 싶네요.

 천의무봉(天衣無縫)이라는, 파블로카잘스의 장중하고 심오한 연주, 엄격하고 적요한 피에르 푸르니에의 연주, 화려하고 세련된 미사 마이스키의 연주, 다정하고 부드러운 요요마의 연주等等..音樂을 食糧처럼 들었던..수많은 時間들이, 지금 이 時間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처럼 악수를 請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