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엉이

 

                                박목월

 

   부엉이가 안경가게를 찾아왔습니다.

  -아저씨, 낮에도 보이는 안경 하나 맞춰주세요.

  부수수한 얼굴로 말했습니다.

  -글쎄, 그런 안경이 있을지 모른다.

  어디,이걸 한번 써봐.

  안경집 아저씨가 새카만 선글라스를 부엉이에게 주었습니다.

  -어라, 참 잘보이네요. 아저씨 고마워요.

  검은 선글라스를 끼고 부엉이는 뒷짐을 진 채 배를 쑥 내밀며

  어슬렁어슬렁 돌아갔습니다.

                        

                                                              -함민복, <절하고 싶다>에서-

  

 

 

 

   함민복의 <절하고 싶다>를 읽다가, -부엉이-라는 박목월詩人의 이 詩를 읽으며  미소가 지어지며 마치 한편의 그림이 곁들여진 童話를  읽고 있는둣한  마음이다. 부엉이는 왜 안경가게를 찾아가 낮에도 보이는 안경 하나를 맞추러 갔을까. 밤에는 잘 보이는데 낮에는 잘 안보이는 것이 답답해서였을까. 이그 그냥 생긴대로 살지. 그렇다고 내가 뭐라할 건 없다, 부엉이 마음이니까. 부엉이에게 밤처럼 새까만 선글라스를 권해 주신 아저씨의 마음이 보이는 듯하고, 나에게는 무슨 안경을 권해 주실런지도 궁금하다. 어쨌든 그는 잘보이네요, 하며 뒷짐을 지고 어슬렁어슬렁 돌아갔으니 해피엔딩이다. 함민복詩人을 떠올릴때면 시인의 순수하고 정갈하고 때묻지 않은 가난한 마음이 우선하고 시인의 '눈물은 왜 짠가'를 비롯해 '미안한 마음' '길들은 다 일가친척이다'를 비롯해 그의 좋은 詩들이 생각난다. 이런 함민복詩人이 시인의 마음으로 시를 읽고 엮은 <절하고 싶다>에는 77편의 주옥같은 좋은 시들이 시인이 느낀 마음과 함께 들어 있다. 한 번에 쭈욱 읽을 책이 아니고 어둠 속에서 불을 밝히듯 그렇게 천천히 가만가만 읽어야 겠다. 밤에만 보는 것이 아쉬워 낮에도 잘 보이는 안경을 맞춘 부엉이. 뭐 낮의 일까지 궁금할까만 역시 그것도 부엉이 마음이고, 나는 이 추운 겨울을 잘 견디기 위해 마음에도 실키하고 따스한 내복이나 하나 구해 입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