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결이 바람 될 때>. 원제는 When breath becomes air.
워낙 베스트셀러이기도 했고, 주변에 읽어본 사람들의 감탄사와 추천사를 많이 들어본 터라 그 누구보다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다. 하지만 우리 가족에게 두 번이나 아픈 상처를 준 '암'이란 단어가 소름끼치도록 싫었다. 그래서 표지를 열기가 두려웠다.

이 책은 꽤 오랜 기간에 걸쳐 읽었다. 남은 페이지가 줄어들수록 나는 속으로 '안 돼, 결국 이렇게 해서 떠난 거잖아. 좀 더 시간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중간중간 책 읽기를 멈추었다. 방금 마지막 장을 덮고나서 한참 아무 말도 못하고, 어떤 글도 쓸 수 없었다.

폴 칼라니티. 1977년생. 스탠포드에서 영문학과 생물학을 전공하고, 영문학 석사. 이후 예일대 의학대학원에서 의학을 전공하며, 신경외과 레지던트 마지막을 마치며, 꽃길만 남은 그에게 다가온 암이란 존재. 서른 여섯에 폐암에 걸린 것을 알고 투병을 하다가 서른 여덟, 짧은 생을 살다 떠났다.

이 책이 마음을 울린 건 화려한 스펙의 전도유망한 의사가 암에 걸려서 세상을 떠났다는 팩트가 아니다. 투병기간 동안 뜨거운 열정을 담아 써내려간 이 책에는,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현장에서 살다간 한 젊은 의사의 인생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죽음의 문턱에 서 있는 환자들에게 생명과 희망을 불어넣어주던 그였기에, 누구보다 환자들의 마음을 잘 알았다. 그래서인지 '왜 하필 내가...'라는 원망보다는 죽음을 받아들이는 덤덤한 그의 자세에 존경스런 마음까지 들었다. 물론 그에게도 살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 아니, 그 누구보다 컸다.

항암치료를 하면서 차도가 보이자, 다시금 병원 현장으로 와서 온 마음을 다해 수술에 임했다. 하지만 다시 종양이 생기고 커졌다는 글을 보고 내 마음이 다 아려왔다.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건강하게 해주시지, 왜 또 다시 아프게 하는가, 감정이 격해졌다.

하지만 오히려 폴이 차분하고 담담하게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마치 나를 위로해주는 것 같았다. 어렵게 얻은 딸 케이디와 아내 루시를 두고 폴은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마지막까지 불태웠던 열정의 씨앗은 갓난 아기의 마음에 뿌리를 내려 평생 그 마음 속에서 열매를 피웠으면 좋겠다.

얼마 전 친한 친구가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고, 엊그제는 배우가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인지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이 많아진다.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지 못한 채 떠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어떻게 사는 게 후회하지 않는 삶인가. 매순간 가장 행복하게 사는 것 말고는 달리 답이 없을 듯하다.

맨 마지막 부분에 폴의 글을 보고 눈물을 쏟을 수밖에 없었다. 작년 여름, 세상을 떠나신 내 아버지가 마치 나에게 보내는 편지 같았다. 가정적이고 자상했던 우리 아버지, 아니 아빠에게 내가 더 없는 기쁨이 되었기를. 그래서 더 많은 것을 바라지 않고 만족하며 편히 쉬시기를.

깊어지는 가을만큼 생각도 깊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