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의 시대 - 공감 본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위해 진화하는가
프란스 드 발 지음, 최재천.안재하 옮김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쟁, 전쟁, 싸움의 시대에서 '공감'을 만나게 되었다. 싸워서 이기는 종족이 시대를 지배하고, 그렇게 이긴 자들에 의해 세상이 변해왔다고 생각했다. 지금도 그럴까, 과연. 

<공감의 시대>의 저자인 프란스 드 발은 탐욕의 시대가 가고 공감의 시대가 왔다고 말한다. 동물행동학자인 저자는 동물의 행동과 인간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 동물에게도 공감과 일치화, 동정 등 감정의 표현과 행동이 있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다. 동물은 언제나 거칠고 싸우기만 하는 존재라고 생각했는데 그 안에 질서가 있고, 원칙이 있고, 공감이 있고, 보살핌이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물론 그 안에는 치열한 생존경쟁이 있고, 극에 달해서는 서로 죽고 죽이는 상황까지 치닫게 된다. 그건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갈수록 독해지는 승부욕과 경쟁심이 사람을 서로 으르렁거리게 만든다. 저자인 드 발은 그러나, 이러한 내면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공감'이라고 말한다. 동물이든 인간이든 서로 보듬어주고 아껴주는 것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공감과 동정, 연민을 지나 일치화된 감정 전이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

외줄 타는 사람을 보면서 내 마음이 그 사람 마음에 일치화되어 찌릿찌릿 두근두근한 것도 그러한 이유이며, 태어난 지 돌도 지나지 않은 어린 아이가 어른의 표정과 상황을 읽고 그 감정에 동화된다는 것도 그렇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내면에는 이미 '공감'의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저자의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감정이란 누가 가르쳐 주기 전에 이미 마음에 깔려있는 본능적인 것이기에.

책을 보면서 재미있었던 건 '하품 전염'이다. 옆사람이 하품을 하면 전달이 된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 그런데 이게 이론적으로도, 동물학적으로도 가히 증명된 사실이라니 놀랍다. 그리고 삽화로 그려진 유인원의 하품을 보면서, 실제로 책을 읽고 있는 나도 하품을 같이 하고 있었다. (졸려서가 아니라 정말 하품 전염을 경험한 것이다)

이 책을 보면서 인간과 동물의 근원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되었고, 기본적으로 '공감'의 씨앗을 갖고 있으며, 그걸 얼마나 잘 키우느냐가 그 사람의 공감도를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탐욕의 시대에서 공감의 시대로 옮겨간다고 하지만, 이미 공감의 시대는 아주 오래 전 인류가 태어나기 전부터 있었던 건 아닐까 싶다. 그만큼 내면 깊숙히 깔려있는 근본적인 감정일 것이다.

대중적으로도 유명한 최재천 교수님의 번역이라 큰 기대를 갖고 보았고, 그 기대 이상으로 재미있었다. 전혀 어렵지 않고, 교수님 특유의 편안한 목소리로 옆에서 조곤조곤 이야기해주시는 걸 듣는 느낌이었다. 인간과 동물의 행동과 감정에서 오는 동질감과 일치화, 공감과 연민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