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반역실록 -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알아야 미래를 아는 법. 하지만 고백하자면, 사극은 좋아했지만 국사시간은 지루했다. 역사적 사실만 주루룩 읊어주셨던 국사선생님 때문이었을까. 연도와 사람 인물만을 중시했던 국사시험 때문이었을까. 하지만 이 책 <조선반역실록>을 다 읽고 난 지금, 우리나라 역사가 몹시 궁금해졌다. 그리고 또 다른 역사책을 보고 싶은 갈망이 생겼다.

<조선반역실록>.
<한 권으로 읽는~> 시리즈로 유명한 박영규 작가의 최신작이다. 조선왕조실록, 역사이야기의 제목을 달고 나오는 책들은 대부분 왕 중심의, 대세의, 주류 관점의 흐름이었다면, 이 책은 '반역'과 '역적' 관점의 역사이야기다. 제목부터 흥미롭다.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라는 부제가 이 책의 줄기를 말해주고 있다.

조선반역실록의 첫 주인공은 태조 이성계. 박영규 작가는 이성계를 '고려의 마지막 역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고보니 우리는 항상 이성계의 입장에서 '조선을 세운 위대한' 인물로 배워왔고 그렇게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고려인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시대를 무너뜨리고 조선이라는 새로운 나라를 세운 역적일 뿐이다. 한 가지 일을 두고 정반대의 입장이 이렇게 다를 수 있다. 이성계는 반역과 배신, 찬탈, 역모 등등 온갖 술수를 동원해 결국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 나라를 세운 반역자인 것이다. 새로운 관점의 발견이다.

이방원의 반역 행위도 여러 군데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아버지인 이성계의 역적이 되어 왕위를 빼앗고, 정몽주와 정도전, 남은을 죽이고 형들을 죽이고, 자신의 처남들을 죽이고, 자신의 아들인 세종의 장인 집안까지 말살하는 온갖 악행을 저질렀다. 그러는 중에 심리전을 펼치기도 하고, 죄목을 씌워 억울하게 죽이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이 왕권을 지키기 위한 그의 생존 방법이었다.

수양대군과 단종 이야기도 재미있었다. 수양대군 하니 자꾸 영화배우 이정재가 떠올라, 영화속에서 그의 광기서린 눈빛이 생각났다. 그랬구나. 수양대군이 그래서 그랬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책을 보면서 반역을 일으킬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해되었고, 세상을 바꾸고 싶은 그들의 마음이 이해되었다. 하지만, 싸우는 과정은 같을지라도 '역적'과 '영웅'은 결국 결과에 따라 그 지위가 달라진다. '탄핵'이란 단어가 자주 나오고, 어지럽고 어수선한 세상일수록 반역자가 많이 등장했다. 지금 우리 시대와 많이 닮은꼴이다.

아, 역사책이 이렇게 재미있다니. 그간 사극을 역사적 사실보다는 재미 위주로 보아온 게 사실이다. 그런데 역사적 사실을 두고, 반역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니 흥미진진했다. 조선반역실록의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박영규 작가의 통찰력에 감탄했다. 그리고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부터 <한 권으로 읽는 대한민국 대통령실록>까지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역사를 알아야 미래를 알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