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 오은영 박사의 불안감 없는 육아 동지 솔루션
오은영 지음 / 김영사 / 201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임신 출산 육아중인 집집마다 책장에 꽂혀 있는 필독서가 있다. '임신출산육아 대백과'와 '삐뽀삐뽀 119 소아과'가 바로 그것이다. 아이 있는 집엔 없어서는 안될 바이블이다. 여기에 이제 한 권 더 추가를 해야겠다. 바로 방금 읽기를 마친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이다.


기존 필독서가 아이에 초점이 맞춰 있다면, 이 책은 육아를 하고 있는 엄마 아빠의 심리에 맞춰 있다. 기존에 오은영 박사의 아동 심리서를 몇 권 읽은 터라, 가려운 곳을 살살 긁어주는 오박사님의 솔루션이 참 좋았다. 이번에 나온 책 역시 그러한 솔루션을 집대성한, 가히 육아 부모심리 바이블이라고 할 만하다.

육아를 대하는 엄마와 아빠의 심리적 차이와 그에 대한 사례와 대응방법을 차근차근 말해주고 있다. 유아맘에게는 교구와 교재, 교육기관, 식습관, 초딩맘과 아빠에게는 어학연수, 사교육, 공부, 성적, 친구관계, 왕따, 이성친구, 체벌 등 육아를 하면서 겪을 수 있는 갈등의 소재를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중간중간 "어머, 맞아. 정말 이랬는데...이런 경우엔 이래야 하는구나."라며 눈이 번쩍 뜨이는 순간이 많았다. 이 책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로는 '불안'을 들 수 있다. 엄마 아빠의 심리와 행동의 차이가 나는 것은 모두 '불안'을 기저로 나타나는 것이라는 것. 그 불안은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해져 아이도 불안하게 만든다는 것. 엄마가 교육에 지나치게 욕심을 내는 것도 불안이 원인이며, 아빠가 무심하고 거리를 두는 것도 불안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생각해 보니 정말 맞는 말이다. 불안을 감추려고 더 과장하게 되고, 더 닦달하게 되고, 더 감추게 되는 심리가 있는 듯하다. 아이가 무슨 죄라고, 아이에게 화풀이를 하기도 하고, 아이를 들들 볶기도 하니 그 아이 역시 불안해지고, 그 불안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을 보면서 많이 반성하게 되었다. 아직은 아이가 어려서인지, 우리 부부는 아이들을 마냥 놀게 해주고 싶은 자유로운 엄마 아빠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또 마냥 좋은 방법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적당한 긴장감도 주고, 마음을 어루만져주기도 함으로써, 아이에게 가장 친하고 편한 엄마 아빠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보면서 남편에게 중간중간 중요 포인트를 일러주기도 했다. 엄마 아빠가 함께 봄으로써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 생각한다. 책 판형도 일반 도서보다 크고, 두껍기도 하다. 마지막 책장을 덮은 지금, 페이지마다 정말 알차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치 오박사님이 바로 맞은편에서 상담을 해주는 느낌이었다. 진심으로 남편의 말을 '경청'하고 '존중'하여 올바른 가정의 본이 되고 싶다.

엄마와 아빠는 최소 3년에 한 번씩은 가정경제 규모를 확인하여
적정한 교육비의 수준을 정하자. 가정경제가 무너지면, 우리 가족의 존립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보통 경제전문가들은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이가 취학 전일 경우,
사교육비가 총수입의 5~10%는 넘지 않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중고등학교라고 할지라도 10~20%는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가장 필요한 공부는 모국어에 대한 이해다.
영어나 수학이 아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서 모든 과목을
두루 잘하려면 모국어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어렸을 적부터 영어에 죽도록 몰입하는 것은 별로 득이 되지 않는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영어나 수학에만 몰두하다가 다른 과목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나는 상당히 많이 봤다.
영어가 중요하지 않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시간을 잘 배분하지 않으면 자칫 소탐대실할 수 있다

맨 마지막에는 엄마 아빠가 지키고 싶은 목표를 예시로 적어주고 있다. 이렇게 엄마 아빠 딱 나눠서 정리를 한방에 해주니 마음속에 그림이 그려진다. 그리고 나오는 '엄마 아빠 칭찬해 플래너'. 아이들에게 칭찬스티커를 붙여줄 줄만 알았지 우리 부부를 위해 스티커를 붙여주리라곤 생각도 못했는데, 참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벽에 항상 붙여넣고 그에 대한 평가를 남편과 하다보면, 더 나은 부모가 되어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