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폐 기술의 미래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돈의 미래와 무한한 진화
한국조폐공사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얼마 전 유퀴즈에서 한국은행 직원이 나와서 위조지폐 구분법을 설명해 준 내용을 흥미롭게 봤다. 현금이 사라져가는 시대라고 하지만 여전히 지폐와 동전은 우리 생활과 뗄래야 뗄 수 없는 필수 지불 수단이다.
그러던 차에 한국조폐공사에서 쓴 <화폐 기술의 미래>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매일경제신문사 / 2025).
지폐, 신용카드, 간편결제, 가상화폐로까지 지불 수단이 확대되면서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화폐 기술의 미래>는 한국조폐공사에 재직 중인 직원들이 함께 쓴 책으로, 74년간 한국조폐공사가 걸어온 길, 현재의 일, 앞으로 계획하는 일 등 다양한 업무를 소개한 책이다. 화폐공사가 돈을 '찍어낸는' 일만 하는 줄 알았는데 오히려 그 외의 분야 업무가 더 많다고 해서 깜짝 놀랐다.

'조폐공사', 화폐를 제조하는 공기업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창립 초기에는 화폐만 생산했지만 점차 화폐에 적용된 각종 보안 기술, 압인 기술을 활용한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해 2020년에 이르러서는 화폐 이외의 제품 매출이 전체의 3/4에 이르게 되었다.
<화폐 기술의 미래>에 따르면, 화폐 이외의 제품 매출이 3/4이라고 하니, 화폐 관련해서는 1/4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3/4 영역이 무엇일지 무척 궁금했다.
그것은 생각보다 무척 다양했다. 상품권과 모바일 신분증, 기프티콘, 지역 화폐, ICT 기반한 돈까지... '이런 분야까지 한다고?'라는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사실 생각해 보면, 상품권 등 위에서 언급한 항목들은 지불을 위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한국조폐공사의 업무가 맞긴 하다. 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아서인지 이런 분야까지 할 줄은 몰랐던 것이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화폐 기술도 변화하는 것이 당연하다. 한국조폐공사는 화폐의 미래를 예측하고, 앞으로의 화폐에 필요한 기술과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런 모습을 <화폐 기술의 미래> 책을 통해 잘 알 수 있었다.

지폐를 위조할 수 없도록 수십 가지의 기술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신분증을 개발하여 이 역시 위조가 어렵도록 철저한 보안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작년에 모바일 신분증 관련해서 글을 쓸 일이 있었다. 자료를 찾아보면서 모바일 신분증의 편리함을 인정하면서도 보안은 괜찮을까 싶었던 적이 있다. 그런데 신원 증명을 암호화하여 누구도 접근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만들었다고 하니 신뢰가 갔다.
화폐는 우리 생활에서 반드시 있어야 할 수단이다. 고도화되는 기술 개발과 함께 화폐 기술의 미래도 더 확장되고 넓어질 것이다. 현재 우리 화폐 기술은 어디까지 왔는지, 또 앞으로 어떤 길을 갈지 <화폐 기술의 미래>를 보면 어느 정도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