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를 읽고 쓰다 - 독서인문교육을 말하다
이금희 외 지음 / 빨강머리앤 / 2023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책을 읽지 않는 현대인'이란 말도 이제 옛말이 되어 버렸다.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나마 최근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전 국민이 책을 기억하는 열풍이 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멀리 찾아볼 것도 없다. 우리집에도 책과 가깝지 않은 중학생, 초등학생이 있다. 아무리 말해도 스마트폰은 손에서 떠날 줄을 모르고, 책은 여전히 먼 그대이다. 그러니 부모로서도 아이의 독서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할 때가 많다. 그런 궁금함을 해결해 줄 한 권의 책을 읽게 되었다.
<공부를 읽고 쓰다>(이금희, 김묘연, 최순나, 이인희, 박정미, 이상철, 임정미, 박미진, 이주양, 박홍진 / 빨강머리앤 / 2024).
독서인문교육 전문가인 10명의 저자가 학교에서 어떤 방식으로 독서교육을 하는지 자신만의 노하우를 생생하게 풀어낸 책이다. 저자 대부분이 대부분 초중고 선생님이고 사서, 장학사까지 아이들을 매일 마주하는 분들이다. 따라서 과거에 경험했던 교육이 아니라 지금 학교에서 하고 있는 독서교육과 글쓰기 교육이 구체적으로 담겨 있었다.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아이들이 많다. 짧은 영상에 익숙하다보니 직접 무언가를 쓴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 아이들을 격려하며 '열 줄만 채우라'는 선생님의 교육방식은 아이들의 닫힌 마음을 열기에 충분할 것이다.
글은 잘 쓰는 게 아니라 막 쓰는 것이다.
이 내용도 기억에 많이 남는다. 보통 글을 쓴다고 하면, 초고를 쓰고나서 전문가를 비롯한 누군가가 빨간펜을 들고 맞춤법부터 윤문, 글의 구성까지 다 손봐줘야 완성된다고 하는 고정관념이 있다. 그래야 어디에도 내놓을 수 있는 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온 선생님들의 교육방식에 따르면, 잘 쓰려고 하기보다 막 쓰게 하고, 쓰고 난 걸 고치거나 바꾸지 않는 공통점이 있었다. 학생들이 쓴 날 것 그대로 두고, 퇴고도 본인 스스로 하게 하는 것. 이를 통해 글쓰기의 부담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쓰게 하는 힘을 갖게 한다는 방식에 적극 동의한다.

글쓰기는 어른들도 어렵다. 글쓰기를 직업으로 삼고 있는 나 역시 매번 어렵다. 갈수록 더 어렵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 말하는 글쓰기 방식은 나에게도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글쓰는 시간이니까 노트를 펼쳐서 글을 쓰라는 것이 아니라 한참 놀다가 마지막 5분 동안 글을 쓰게 하고, 경험을 한 후 방금 그 경험에 관해 쓰게 하고, 쉬운 방식으로 편하게 쓰게 하는 등 아이들이 글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이끌어주시는 선생님들의 모습이 기억에 남았다.

쓰기 활동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진짜 자신을 만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요. 잘 쓴 글은 단지 좋은 문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진짜 자기 삶이 살아있는 글입니다.
매일 글을 쓰면서도 왜 쓰는가, 앞으로 왜 써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멈췄었는데, 이금희 선생님의 글을 보면서 한참 생각을 했다. 그저 필력이 좋은 글이 아니라, 진짜 자기 삶이 살아있는 글. 그런 글을 쓰기 위해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지 고민하게 되었다.

<공부를 읽고 쓰다>에는 독서교육뿐만 아니라 중간중간 선생님들의 교육관과 교육철학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자주 나온다.
'교육은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길 수 있는 경험을 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최순나 선생님의 글을 보면서 진정한 교육의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교육이란, 지식을 배우고 내 꿈을 이루기 위한 과정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길 수 있는 경험을 주는 것'이라니 내 생각이 많이 편협했음을 반성했다.

또한 임정미 선생님의 말씀도 기억에 남았다.
공부는 '실패가 주는 물음표를 느낌표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는 것. 살면서 얼마나 많은 물음표를 만나는가. 공부를 통해 물음표를 느낌표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더 나은 사람이 되어 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공부의 본질일 것이다.
책을 읽지 않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독서교육 시킬 것인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 있을 줄 알았더니, 이 책에는 공부와 교육이 왜 필요한지,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대한 명쾌한 답도 많이 담겨 있었다.
흔히 졸업하고 나면 공부를 안해도 된다고 하지만, 어른이 되어서도 공부는 여전히 필요하다. 이 책을 읽으며 앞으로 아이와 함께 어떻게 공부를 읽고 써야 할지, 나는 어떻게 읽고 써야 할지 밑그림을 그려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무척 유용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