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디지털 리터러시 ㅣ 서울대 석학이 알려주는 자녀교육법
조영환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4년 6월
평점 :

'서울대 석학이 알려주는 자녀교육법' 시리즈를 재미있게 읽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아이들을 어떻게 양육해야 하는지 순간마다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명쾌한 답을 주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에 읽은 책은 요즘 가장 큰 고민인 'AI, 디지털 리터러시' 편이다.
서울대 교육학과 조영환 교수가 쓴 <서울대 석학이 알려주는 자녀교육법(AI, 디지털 리터러시)>(조영환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4)은 아이들이 자주 접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 잘 알려주는 책이다.
초등학생, 중학생 두 자녀가 워낙 스마트폰을 가까이 하다 보니 엄마로서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고민이 크다. 숏폼, 게임, SNS 등 스마트폰을 보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면서 혹시 중독된 건 아닌가, 더 깊이 빠져들면 어떡하나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던 차에 이 책에서 궁금한 점을 시원하게 잘 알려주었다.
우선, 디지털 리터러시가 무엇인지 궁금했다.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일어나면서 우리 모두에게 디지털 세상에 맞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때 필요한 역량을 디지털 리터러시라고 부른다. 즉, 디지털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새로운 문해력을 배워야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세상에 필요한 역량을 의미한다.
이 책에는 스마트폰을 몇 살부터 사용해야 하는지, 가짜 뉴스의 폐해, SNS 건강하게 사용하기, 개인정보 보호, 게임중독, 유튜버, 인공지능, 코딩교육 등 디지털 환경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방식을 교육학 차원에서 상세하게 안내해준다. 중요한 건 훈계나 절제를 강요하기 전에 부모가 솔선수범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가 오랜 시간 스마트폰 게임을 하면서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그 행동을 기억했다가 모방할 가능성이 높다.(중략)
아이가 직접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전 부모나 친구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학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들에게는 부모가 전부이고 우주이기 때문에 부모가 먼저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줘야 아이들에게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너무도 당연하지만 평소에 잊고 지내고 있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유튜브와 게임에 빠진 아이들을 무조건 통제하거나 마냥 방임을 하기보다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디지털 환경의 장단점을 이야기하고, 다른 취미 등으로 생활 반경을 넓히는 것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스마트폰에 빠지다 보면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르고 도파민 때문에 점점 더 강한 자극을 요구하게 되는 부작용이 생긴다.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서라도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아이와의 대화가 필요하다.

AI와 디지털 환경이 나날이 발전할수록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는 아이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 점점 중요도가 커진다. 빈익빈 부익부가 생기지 않도록 균형 있는 교육이 필요하고, 무조건 막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절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꾸준한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아이들 세대에는 지금보다는 훨씬 더 큰 디지털 환경이 기다리고 있다. 아이들에게 디지털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궁금한 부모라면 꼭 한번 읽어볼 책이다. 진정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알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