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제 할 것인가 - 쫓기지 않고 시간을 지배하는 타이밍의 과학적 비밀
다니엘 핑크 지음, 이경남 옮김 / 알키 / 2018년 4월
평점 :

앞서 읽었던 <일만 하지 않습니다>도 그렇고 이 책 <WHEN 언제 할 것인가> 역시 시간에 대한 일맥상통한 견해를 가진 책이다. 모든 것은 타이밍이 가장 중요하고, 그 '시간'을 언제로 할 것인가가 모든 일의 관건이라는 것.
그리고 머리가 맑아지는 '아침' 시간에 주목한 것도, '낮잠'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이 책의 저자인 다니엘 핑크는 전작 <드라이브>, <파는 것이 인간이다>, <새로운 미래가 온다> 등으로 잘 알려진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법학 박사. 그리고 경영과 행동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미래를 제시하는 사람답게 수치에 근거한 과학적인 증빙자료들을 토대로 '타이밍'에 관한 논점을 잡아가고 있다.

사람들은 매일 무언가를 하지만
무얼 하는지는 모른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헛소동> 중에서
첫 장의 첫 줄을 보고 머리가 '댕~'하는 울림이 있었다. 분명 무언가를 늘 하고 있는데, 시간에 쫓기다보니 내가 무얼 하고 있는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모른 채 경주마처럼 무조건 직진만 하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여유로운 때라야 비로소 내가 지금 어디에 와 있고, 뭘 하고 있는 중이구나 깨닫지만, 살면서 그런 순간이 어디 자주 오는가.
취업과 승진, 연애, 결혼, 심지어 이혼까지...언제 하면 좋을지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심리학적, 사회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자신만의 이론을 만들어 가는 저자의 모습에 감탄했다. 휴식을 취하고 난 후의 판사는 좀 더 너그러워지고, 오전에 업무 능률이 오르다가 오후에 저하되다가 다시 초저녁이 되면 기분이 업된다는 객관적인 데이터가 흥미로웠다.
모든 것은 타이밍이라는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그리고 그 '타이밍'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늘 고민해야 한다는 것도 가장 고민스러운 점이자 중요한 부분이다. 요즘 주식을 하면서 '타이밍'의 중요성을 더욱 절실히 깨닫고 있다. 무엇을 하는가보다 '언제 할 것인가'에 포커스를 맞춰본다면, 최상의 타이밍을 마주하게 되리라.
간단히 말해 우리는 모두 하루를 '최고점-최저점-반등'의 세 단계로
경험한다. 그리고 우리 중 약 4분의 3은 하루를 이런 순서로 경험한다.
더 좋은 아침을 위한 네 가지 조언
1. 아침에 일어나면 물을 한 잔 마시자.2. 아침에 눈 뜨자마자 커피를 마시는 것은 좋지 않은 습관이다.
3. 아침 햇살을 온몸으로 느껴라.
4. 상담치료 예약은 오전 시간으로 잡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