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6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은 예전에도 읽은 적이 있다.

그때는 주인공인 '뫼르소'의 심정을 중심으로 읽었지만 다시 읽는 지금은 뫼르소의 심정 외에도 작가인 카뮈가 생각했던 '부조리의 감성', '이방인 감성'을 생각하면서 읽었다. 물론 작중에 등장하는 수많은 주변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나 또한 사회적 '유희'와 '정의'에 휩쓸려 있기 때문에 뫼르소의 심정을 이해하긴 여간 힘든 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았지만 말이다. 그래도 좀 더 발전된 차원에서 세계와 멀어진 듯한 이방인적인 감성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었다(이 정도면 장족의 발전이 아닌가?). 이외에도 매우 짧고 주인공은 말도 거의 없는데다가, 사실상 태양과 땀, 그리고 총소리 같은 사건과 행동 측면으로만 상황을 묘사하는 작품의 특성도 기존의 문학 작품과 다른 이질적인 것 그 자체여서 인상 깊었다.


앞으로 <이방인> 외에도 카뮈의 다른 작품들을 읽어 볼 생각이다. 아마 그의 대표작들을 읽어 본 후에 다시 <이방인>을 읽어보면 그때는 지금보다 (가능한)발전된 감상을 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참고로 몇몇 사람들은 뫼르소가 사이코패스가 아니냐는 식의 불만을 토로하며 이해할 수 없는 책이라고 평하는데, 흠, 개인적인 생각으론 이 책은 짧지만 동시에 엄청나게 많은 걸 말하고 있기 때문에 성급하게 판단하지 말았으면 싶다. 어렵더라도 찬찬히 카뮈에 대해 알아가면서 반복적으로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린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양로원으로부터 전보를 한 통 받았다. ‘모친 사망, 명일 장례식, 근조‘ - P9

나는 일요일이 또 하루 지나갔고, 엄마의 장례식도 이제는 끝났고, 내일은 다시 일을 시작해야 하겠고, 그러니 결국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을 했다. - P32

나는 그렇기는 하지만 결국 이러나저러나 내게는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러자 사장이 생활의 변화에 흥미를 느끼지 않느냐고 물었다. 사람이란 결코 생활을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고, 어쨌든 어떤 생활이든지 다 그게 그거고, 또 이곳에서의 내 생활에 조금도 불만을 느끼지 않는다고 나는 대답했다. 나는 사람의 비위를 거스르고 싶지는 않았으나, 나의 생활을 바꿔야 할 하등의 이유도 찾아낼 수 없었다. 곰곰 생각해 봐도 나는 불행하진 않았다. 학생 때에는 그런 종류의 야심도 많이 있었다. 그러나 학업을 포기하지 않을 수 없게 되면서 그러한 모든 것이 실제로는 아무런 중요성이 없다는 것을 나는 곧 깨달았던 것이다. - P51

나는, 원래 육체적 욕구에 밀려 감정은 뒷전이 되는 그런 천성이라고, 그에게 설명해 주었다. 엄마의 장례식이 있던 날, 나는 매우 피곤하고 졸렸다. 그렇기 때문에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잘 알 수가 없었다. 내가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엄마가 죽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 P75

비록 하느님을 외면하는 사람일지라도, 하느님을 믿는 법이라고 말했다. 그것이야말로 그의 신념이었고, 만약 그것을 조금이라도 의심해야 한다면 그의 삶은 무의미해지고 말리라는 것이었다. ‘당신은 나의 삶이 무의미해지기를 바랍니까?‘하고 그는 외쳤다. 내가 볼 때 그것은 나와는 아무 관계도 없는 일이었다. 나는 그에게도 그렇게 말했다. - P79

단두대를 향해 올라간다든가 하늘로 승천한다는 쪽으로 상상력이 뻗어 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점에 있어서까지도 기계장치가 모든 것을 짓눌러 버리는 것이었다. 그저 좀 수치심을 느끼면서, 대단히 저오학하게, 목숨을 슬그머니 끊어지는 것이다. - P124

사제가 ‘당신은 그럼 아무 희망도 없이, 죽으면 완전히 없어져버린다는 생각으로 살고 있습니까?‘하고 말했을 때, 그 목소리 또한 떨리지 않았다. ‘그렇습니다‘, 하고 나는 대답했다. (중략) ‘그래, 그렇게도 이 땅을 사랑합니까?‘하고 사제는 중얼거렸다. 나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 P132

사제는 ‘아니, 당신 말을 나는 믿을 수가 없습니다. 당신도 다른 생애를 바란 적이 있었으리라고 나는 확신합니다‘ 물론이다. 그러나 그것은 부자가 된다든지 헤엄을 빨리 칠 수 있게 된다든지 더 잘생긴 입을 가지게 되는 것을 바라는 것보다 더 중요할 게 없다고 나는 대답했다. 그것도 그와 같은 종류의 일인 것이다. 그러나 그가 나의 말을 가로막고 그 다른 생애라는 것을 어떻게 상상하느냐고 묻기에, ‘지금의 이 생애를 회상할 수 있는 그런 생애‘라고 외치고 곧, 이어서 이제 그만하라고 말했다. - P132

사제는 또 하느님 이야기를 꺼내려고 했지만 나는 그에게로 다가서며, 나에게는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는 것을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설명하려 했다. 나는 하느님 이야기로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 않았다. ‘보기에는 내가 맨주먹 같을지 모르나, 나에게는 확신이 있어. 나 자신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한 확신, 그보다 더한 확신이 있어. 나의 인생과 닥쳐올 이 죽음에 대한 확신이 있어. 그렇다, 나한테는 이것밖에 없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이 진리를, 그것이 나를 붙들고 놓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굳게 붙들고 있다. - P133

아무것도, 아무것도 중요한 것은 없다. 내가 살아 온 이 부조리한 전 생애 동안, 내 미래의 저 밑바닥으로부터 항시 한 줄기 어두운 바람이, 아직도 오지 않은 세월을 거슬러 내게로 불어 올라오고 있었다. 내가 살고 있는 더 실감 난달 것도 없는 세월 속에서 나에게 주어지는 것은 모두 다, 그 바람이 불고 지나라가면서 서로 아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었다. - P134

별들이 가득한 그 밤을 앞에 두고, 나는 처음으로 세계의 정다운 무관심에 마음을 열고 있었던 것이다. 세계가 그렇게도 나와 닮아서 마침내는 형제 같다는 것을 꺠달으면서, 나는 전에도 행복했고, 지금도 행복하다는 것을 느꼈다. 모든 것이 완성되도록, 내가 외로움을 덜 느낄 수 있도록, 나에게 남은 소원은 다만, 내가 처형되는 날 많은 구경꾼이 모여들어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맞아 주었으면 하는 것뿐이었다. - P136

3월,
이 어두운 방에서 - 갑자기 낯설어진 한 도시의 소음을 들으며 - 이 돌연한 잠 깨임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그리하여 모든 것이 낯설다. 모든 것이. 내게 낯익은 존재 하나 없이, 이 상처를 아물게 해 줄 곳 하나 없이. 내가 여기서 무얼 하고 있는 것인가? 이 몸짓, 이 미소는 무엇과 어울리는 것인가? 나는 이곳 사람이 아니다 - 다른 곳 사람도 아니다. 그리고 세계는 내 마음이 기댈 곳을 찾지 못하는 알지 못할 풍경에 불과하다. 이방인, 그는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한다. 이방인, 내게 모든 것이 낯설다는 것을 고백할 것. -카뮈의 <작가수첩1>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