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894년 여름 - 오스트리아인 헤세-바르텍의 여행기
에른스트 폰 헤세-바르텍 지음, 정현규 옮김, 한철호 감수 / 책과함께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어느 오스트리아 출신인 외국인이 구한말 조선을 여행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견문록이다.

외국인이 바라본 시선인 만큼 읽는 내내 불편하고 부끄러운 느낌이 든 것은 사실이다. 누구나 자기 나라에 대한 자부심이 있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상황을 봐도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도 들었다.
때는 1894년, 조선이 안 밖으로 위기를 맞아 몰락해 나가던 시기다. 안에서는 세도 정치의 횡포, 밖에서는 일본과 청나라와 같은 열강들의 간섭이 있었고 이는 여행자이자 제 3자였던 바르텍의 눈에 쉽게 들어왔던 것이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이들(이방인)의 새로운 점을 알게 되었는데, 철저히 제 3자 이자 이방인인 이들이 당시 조선에 꽤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외교 경험이 많았던 사람이었지만 책에서 볼 수 있듯이 이렇게 지대한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있을 줄은 생각조차 못했다. 게다가 그들에게 어느정도 공감가는 점도 있었다. 특히 조선의 탐관오리나 부패한 관리들을 비판하는 그의 말은 지금의 사람들에게도 충분히 공감할 만하다. 비록 조선 사람들의 천성이 게으르다니, 교통 제도도 엉망이라든지, 중국의 속국이라는 말에는 마음이 아팠지만 어디까지나 외국인의 시선이며 어쩌면 그것이 진정 사실일지도 모르기에 달게 받아들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현장에 있었던 사람이 쓴 글이기에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해 적은 그동안의 다른 책들보다 신빙성이 높아 당시 조선의 상황을 더 잘 알 수 있었다.

잘 생각해보면 역사라는 것도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서 읽으면 그것 또한 역사 왜곡이 될 수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이 책에서 유일한 단점이라고 하면 관련 사진이 거의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