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나카츠카 아키라 지음, 박맹수 옮김 / 푸른역사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제목에서도 느껴지듯이 첫인상부터 강렬하다. 마치 작전명같기도 하다. 저자인 나카츠키씨는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1894년 경복궁 점령사건 때 일제가 자행했던 만행들을 역사적 사료로 조목조목 따져가면서 비판하고 있다.

사실 경복궁 점령사건은 우리나라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교과서에서 잠깐 연표나 한 두줄로 나타났다가 사라진 사건이다. 내가 고등학교 때만해도 경복궁 점령사건은 대략 이러했다.

‘1894년, 일본군은 조선에 주둔하고 있던 청의 군대가 조약을 아기고 계속 조선에 눌러앉아 조정을 간섭하기 시작했다. 이에 화가 난 일본군은 청군과 마찬가지로 계속 조선에 주둔해있다가 결국엔 경복궁에 쳐들어가 고종을 사로잡았다.‘

언뜻보면 마치 청나라가 잘못한 것처럼 보인다. 일본은 이에 맞대응했으며 경복궁 점령도 순전히 우연에 따라 일어났다고 말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생각을 완전히 뒤집어 놓는다. 그는 당시 군부 기밀문서를 조사하면서 경복궁 사건이 결코 우연이 아니며 예전부터 철저히 계획해 실행한 하나의 ‘작전‘ 중 하나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사건이 일어난 후에 반발하는 조선 측에게 일본은 어이없는 답변을 한다.

˝첫째로, 일본의 경복궁 점령은 조선의 근대화를 위한 일본의 배려차원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두번째로, 경복궁의 직접적인 원인은 우리나라 군이 먼저 발포했기 때문이먀 경복궁 점령은 지극히 우발적이었다.˝

이런 어이없는 주장에 나는 헛웃음이 나왔다. 동시에 이런 어처구니 없는 답변이 현재의 일본의 ‘누구 누구‘씨가 생각나서 ‘일본은 참 세월이 지나도 변함이 없구나‘라고 느꼈다.

아무튼, 저자는 이런 일본측 입장을 반박하는 근거로 일본 육군 참모 본부가 공식적으로 펴낸 ‘일정청사‘를 증거로 들어 일본의 경복궁 점령 사건이 ‘조선 정복‘이라는 뚜렷한 목적과 주도면밀한 계획하에 진행되었음을 주장한다.
정확한 사료와 작전계획까지 첨삭해 설명하는 그가 매우 존경스러웠다.

왜 일본은 과거의 잘못을 사과하지 않은걸까?
이런 물음은 아마 우리나라 사람뿐만 아니라 당시 일제의 피해를 받은 다른 국가들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물론 저자만큼 훌륭하고 개념있는 일본인도 있겠지만 나머지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게 현실이다. 지금도 정부가 직접 나서서 역사를 위조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곳이다. 책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일본의 제국주의 열풍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나이다. 때문에 그만큼 우리도 역사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한다. 아마 일본은 우리가 이런 문제에 지쳐서 떨어져 나가길 기대하고 있는 건 아닐까?

아래의 밑줄은 저자가 역사를 알아가는 사람들을 위해 쓴 글이다. 이 말을 일본의 역사를 왜곡하는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싶을 지경이다.

모든 권력은 과거를 자기 정당화에 이용하려고 한다. 정당화에 어울리지 않는 과거를 억압하며, 잘 어울리는 과거만을 문맥에서 떼어내 과장하고, 역사를 허구로 바꾸는 일도 서슴지 않는다.
권력이 행하는 이러한 과거 재단에 대해 역사가는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인가. 권력의 정당화에 봉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지 모른다.

사실, 어제까지 역사가는 자신의 의지로 또는 강제로 ‘사관‘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학문으로서 역사에 걸맞는 공헌은, 정치적 정당화를 위해 왜곡되어진 역사적 진실을 복원하고, 나아가 권력의 역사적 정당성을 물어 권력을 초월하는 통찰을 미래를 향해 제기함으로서, 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역사 감각과 비판 정신 등이 뿌리내릴 수 있게 함을 보태는 일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