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현대문화센터 세계명작시리즈 1
제인 오스틴 지음 / 현대문화센터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편견은 내가 다른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게 하고, 오만은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할 수 없게 한다.˝

방금 연애 소설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이 책을 보았다.
사실 이 책을 읽은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처음 읽었을 땐 내가 갓 고1이었을 때였다. 그리고 성인이 된 지금에 이르러서야 다시 한 번 읽게 되었다. 사람은 자라면서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성숙해나간다고들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 읽었을 땐 느낄 수 없었던 것들이 이해갔고 이로 인해 내가 그때 얼마나 어렸는지 다시끔 깨닫게 되었다.

처음 읽었을 때(고1) 나는 그저 주인공인 리지(엘리자베스)와 다아시가 안 좋은 첫인상으로 인해 갈등을 겪다가 마지막에서야 잘못을 깨닫고 진정한 사랑에 골인하는 내용으로만 생각하고 그 이상의 큰 감명을 받지 못했다. 여느 로멘스 소설과 다름 없다고 느꼈었다. 그런데 몇 년이 지나고 다시 읽어보니 리지와 다아시의 관계 뿐만 아니라 빙리와 제인, 키티, 리디아, 콜린스와 같은 주변 사건과 연관지어 이 작품의 특징인 세심한 설정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다. 어째서 이 작품이, 작가인 제인 오스틴이 영미 제일 위대한 작가 2위로 손꼽혔는지 이해갔다.

감명깊었던 첫번째 이유는 꼼꼼한 등장인물들의 성격과 그 묘사였다.
대사와 설명들이 엄청난 문장의 길이를 자랑하지만 막힘없이 술술 읽혀졌다. 예를 들어 똑똑하고 분별력있는 제인과 리지를 보면 소설 속에서 그 성격을 흔들림없이 확연히 보여줘 200년이 지난 우리들도 충분히 그렇게 느껴질 정도다. 그와 반대로 분별력 없고 위선적 인물들의 모습도 마찬가지여서 행동만 봐도 ‘아~ 이런 사람이군‘이라는 생각이 든다.

두번째로, 빈틈없이 꼬리를 물고 일어나는 사건들이다.
이 작품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거의 소소하고 자잘하지만 수없이 일어난다. 첫 장면조차 부자인데가 미혼인 빙리씨가 베넷 가족들이 사는 곳에 이사 오는 사건이다. 이렇게 사건들이 꼬리를 물고 연관되어 스토리가 막힘없이 진행됨과 동시에 사건에 휘말린 등장인물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성장하는지 보여준다.

세번째론, 현대인들도 충분히 공감가는 스토리와 교훈이다.
이 작품의 주제이자 주인공인 리지와 다아시의 갈등과 사랑은 각각 오만과 편견으로 발생한다.
리지는 주변사람들의 평판과 그의 무뚝뚝한 태도와 인상으로 그가 매우 ‘오만‘하다고 판단한다. 만난지 얼마되지 않았음에도 말이다. 이게 바로 ‘편견‘이다. 그리고 다아시는 무뚝뚝하고 쾌활하지만 결단력이 없는 빙리의 의사를 대신 정해주는 등 자기 주장과 고집이 강하다. (게다가 1년에 몇 억이나 버는 엄청난 부자에 지체높은 가문의 외동아들이다!) 그리고 재산도 없고 무례한 베넷 가족을 무시한다. 이게 그의 ‘오만‘이다.
그러다 알 수 없는 끌림으로 리지를 사랑하게 된 다아시가 그녀에게 고백했다가 그의 성격을 비난하고 매몰차게 거절한 리지에 의해 자신이 얼마나 무례하고 ‘오만‘했는지 알게 되고, 리지 역시 다아시의 솔직한 고백과 달라진 행동으로 인해 자기가 얼마나 ‘편견‘을 가지고 그를 봤는지 깨닫게 된다.
그들의 이러한 행보는 연애뿐만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관계에서도 흔히 일어니는 일이며 이 소설에선 이와 관련된 중요한 교훈을 보여준다.

누군가는 이 작품이 당시 시대 상황이 전혀 보이지 않으며 가난한 여자가 부잣집 남자에게 시집가면서 ‘신데렐라 스토리‘라고들 하지만 그 대신 가정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이보다도 깊고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은 드물다. 또한 리지와 다아시의 사랑도 중요하지만 이 소설은 주위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이 함께 어우러져 진행되는 스토리이기 때문에 ‘신데렐라 스토리‘라 하기엔 좀 무리인 것 같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이 소설을 읽고 감명 있게 읽었다면 제인 오스틴의 다른 소설인 ‘이성과 감성‘, ‘노생거 사원‘ 등등을 추천한다. 그리고 다른 작가의 소설을 읽고 싶다면 브론테 자매의 ‘제인 에어‘나 ‘폭풍의 언덕‘ 등도 있으니 궁금하면 한 번 읽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