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HhH
로랑 비네 지음, 이주영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 책 제목을 처음 봤을 때 개그 책인 줄 알았다.
제목이 HHhH 라니, ‘히히히히(?)‘
아무튼, 내 예상과 다르게 이 책은 매우 심오하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세계대전 때 활동했던 악명 높은 나치의 고위 간부인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암살에 관한 책이다.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역사에 관심이 많은 나도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다. 


그렇다면 작가는 하필이면 왜 하이드리히를 주목했을까?
나치라 하면 히틀러가 더 유명했을 텐데 말이다.
그 답은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알 수 있는데, 
나치의 모든 잔혹한 일에는 하이드리히가 빠짐없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책 속 내용은 특이하게도 에세이와 역사 소설을 합쳐 놓은 듯한 전개를 보인다.
심지어 작가는 이 책을 쓰기 위해서 하이드리히 암살사건에 관한 자료라는 자료는 몽땅 찾았다고 한다.
그만큼 이 책의 완성도는 높다.

읽다 보면 하이드리히의 무시무시한 권력욕과 잔혹함에 놀란다.
이는 제목에 잘 나타나있다.
˝H(히믈러의) H(두뇌는) h(하이드리히라고) H(부른다)˝
여기서 작가의 센스가 드러난다.
하이드리히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당시 독일의 손안에 있던 체코와 슬로바키아인들 사이에서 
‘금발의 야수‘라 불렸을 정도라고 악명 높았다고 한다.

그런 그를 암살하려는 가브치크와 쿠바시, 이 둘은 현대로 말하자면 특수 부대원들이다.
그들이 벌이는 암살 장면은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양상을 띄고 있다.
하이드리히를 향해 총을 쐈으나 총알이 날아가지 않아 당황하던 가브치크,
폭탄 파편에 맞으면서도 하이드리히가 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도망치지 않고 끝까지 상태를 확인한 쿠바시.
이 둘은 결국 죽음을 맞이하지만 덕분에 나치는 엄청난 손실을 입게 된다.
이들의 모습을 보면 옛날 일제강점기의 독립투사들이 떠오른다.
그들도 이런 이런 느낌이었을 것이다.

훗날 체코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박물관을 만들어 총격전 당시의 장소와 자료들을 전시하며
관광객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고 한다.
이런 모습은 우리나라와 매우 대조적이었다.
우리나라에도 이와 관련된 기념관이 많지만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우리들도 독립군이나 독립운동자, 위안부에 대한 전시와 홍보를 많이 했으면 하고
이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일본의 만행과 그들의 뻔뻔함을 알았으면 한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전쟁에 관련된 책을 잘 출판하지 않는 우리나라 특성에 비해 희귀하고,
아주 잘 짜여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