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숨에 이해하는 자유론 클래식 브라운 시리즈 2
김요한 지음 / 생각정거장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2010년 한국에 마이클 센델이 쓴 '정의란 무엇인가 ' 가 출간된 적이 있었다..그 책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정의가 무엇인지..그리고 두가지 이상의 선택의 순간에 자신에게 닥칠때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정의로운 행동인지 그것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책이었다..그 책을 읽은 사람이라면 존 롤스의 정의론과 제레미벤담의 공리주의에 대해서 알 수 있다..그 제레미벤담의 공리주의는 존롤스의 정의론에 영향을 주었으며 존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는 걸 알 수 있다..


이처럼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와 존 스튜어트 밀의<자유론>이 그 당시에 하나의 철학으로 부각되었던 것은 그 당시의 유럽 사회가 기독교와 정부의 권력으로 인하여 서민들의 삶이 점점 더 피폐해졌기 때문이며 프랑스 혁명으로 인하여 유럽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었다..그로 인하여 시민들은 정부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을 키워나갔으며 왕정을 무너트렸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당시 유럽 사회를 이해할 수가 있었다..그리고 유럽 사회에서 이 책이 출간된 그 당시 이 책이 유럽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수가 있었으며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영국의 그 당시 모습과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이 가지는 그 가치에 대해서 함께 알 수가 있었으며, 이론에 대해서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여기서 존 스튜어트밀이 말하는 자유란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면..그건 기독교의 영향에 놓여져 기독교 교리는 바로 진리라는 그것에 대해서 탈피하자는 것이었다..기독교와 교황의 권위에 눌려있었던 유럽사회의 과거 행해졌던 많은 박해들을 열거하면서 자유가 억압되었던 지식인들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지동설을 주장한 갈릴레오와 다윈의 종의 기원은 지식인들의 자유를 억압하였던 유럽의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물론 소크라테스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자유가 억압되었던 과거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표현의 자유가 주어진 지금의 상황..그러나 현재는 도리어 자유로 인하여 더 많은 갈등과 다툼이 생겨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국가는 권력과 제도라는 이름으로 시민들을 통제하려 한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자유의 억압은 또다른 갈등으로 이어진다는 걸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