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의 비밀 - 사람의 마음을 얻어 내 편으로 바꾸는 노구치 요시아키의 비밀 시리즈
노구치 요시아키 지음, 김대식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좋은 질문은 훌륭한 결과물을 창조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사람간의 관계에서 신뢰룰 가져다 주는 마중물 역할도 한다.(p5)

질문력에는 논리적 사고를 비롯해서 개념사고,전략적 구상력,문제의식,주인의식,거시적 환경 지식,시장 환경 지식 등 다양한 요소들이 응집되어 있다(p16)



이 두 문장이 바로 질문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질문을 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 게 해 주는 문장이었다..여기에는 질문을 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얻으려는 목적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질문을 통해서 어떤 것을 해결할 뿐 아니라 의도치 않은 것을 함께 얻을 수도 있다..


어릴 적 5살 꼬마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질문이 왕성하다는 걸 알 수 있다.앞에 보이는 무언가에 대해서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하는 모습은 귀여움 그자체이며 질문을 하지 않는다면 어딘가 아이의 정신 발달 능력이 이상이 있는건 아닌지 의심을 하게 된다..


물론 나 자신 또한 어릴 때 주위사람이 귀찮아 할 정도로 질문을 많이 하였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점점 커 나감으로서 질문을 안 하게 된다..이렇게 질문을 하는 양이 줄어드는 것은 무언가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 일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며 특별히 질문을 하지 않아도 불편한 것이 없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학교에서 집에서 사회에서 질문을 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는 걸 알 수 있다..사람을 만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일 수록 질문에 대해 더 많이 관심을 가지게 된다..


질문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청과 공감이었다..상대방의 말을 들어주는 것 그리고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 함으로서 그 사람의 마음을 열 수가 있으며 질문을 통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게 된다..그리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것이 질문이었다..


질문이 쓰여지는 대표적인 곳이 상담하는 곳이라는 걸 알 수 있다..의사와 환자 사이에서 환자가 어디 아픈지 그리고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알아 내려면 의사는 먼저 환자에게 질문을 해야만 한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환자의 마음을 여는 것이며, 환자가 쉽게 이야기 하지 못하는 것까지도 찾아내야 하는 것이 의사가 하는 일이다...이렇게 함으로서 환자는 자신이 가진 병을 알수 있으며 치유할 수가 있다..


이처럼 질문은 상담을 하는 곳 이외에도 경영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경영에서 필요한 것은 고객의 니즈를 알아내는 것이다..고객이 무엇을 필요로 하며 어떤 것에 대해서 불편함을 느끼는지 알아내려면 질문을 통해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으며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이처럼 질문은 우리 삶 곳곳레 쓰여지며 학교에서 공부를 하는 것 쭌 아니라 자신이 일하는 곳에서도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으며 질문을 통해서 자신이 모르는 것들을 스스로 찾아 나갈 수가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