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의 이동 - IT 기술과 인구변화가 만드는 업의 소멸과 탄생
신상진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직업들은 최근 20년 사이에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일자리의 질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취업의 기준 또한 달라지고 있다. 여기서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변화로 인하여 달라지는 우리의 직업의 모습에서 알아본다면 이 책을 이해하는 데 조금은 도움이 될 듯 싶다..


과학기술의 발달...지금 현재 문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타자기를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컴퓨터의 발달로 인하여 타자기는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문서를 찍어내고 있으며 다양한 서식이 인터넷에 나와 있음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문서를 쉽고 편리하게 작성할 수가 있다..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다양한 직업이 생겨나고 그로 인하여 또다른 직업이 사라지거나 대체되고 있다는 걸 알 수 가 있다..


사회의 변화로 인한 직업의 이동...IMF 이후 우리 사회에 불어닥친 것은 직업의 고용안정성 저하이다...고용시장의 불안으로 인하여 언제 잘릴 지 모르는 대기업의 고용상황..그로 인하여 같은 능력을 가진 이들은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대기업보다 직업의 안정을 가져다 주는 공무원이나 교육직을 선호하게 된다..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직 또한 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점점 더 비선호 직업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걸 알 수가 있다..


이렇게 직업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현재의 모습에 대해서 직업의 이동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사람들이 그 직업을 선택하고 이직을 하는 그 기준이 무엇인지 담겨져 있다..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대표적인 기준은 돈과 고용 안정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 성취도나 이직 기회가 쉬운지 어려운지,,근무환경은 어떤지에 따라서 직업의 선호도 또한 달라진다고 할 수 있으며 교육직의 선호도가 낮아지는 이유는 고용 안정성은 보장 되지만 부모님과 학생의 생각의 변화로 인하여 근무환경이 악화됨으로 인하여 생기는 직업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기 때문이다..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좌거와 현제의 직업의 이동 방식이 현재와 미래 사이에도 연결 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과학기술이라 할 수 있는 3D 프린터를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여러직업이 통합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기존의 기술이 새로운 기술로 대체되는 경우 과거의 직업은 사라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