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매살인
한스 올라브 랄룸 지음, 손화수 옮김 / 책에이름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외국 추리 소설을 읽을때면 한글로 번역된 책 뿐 아니라 원서를 같이 찾는 버릇이 있었다..원제목은 어떤지 그리고 표지는 똑같은지에 대한 궁금증...이소설의 표지는 노르웨이에 출간된 원서와는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었다...이 소설의 원제는 노르웨이어로 katalysatormordet 이었다..



그동안 알고 있었던 북유럽 나라의 작가 중에는 요네스뵈와 M.J 알리지 ,페터 회와 같은 작가들을 알고 있으며 그들의 소설 안에서 느낄 특유의 느낌은 바로 차가움과 섬짓함이었다..같은 느낌의 추리소설이라도 소설 속에 등장하는 전체적인 분위기는 대부분 얼음으로 뒤덮힌 북유럽 소설 속 배경 속에서 이유모를 추위를 느낄때가 많았으며 스산함과 섬짓함은 배가 된다는 걸 알 수 있었다..그리고 소설 속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박진감 넘치는 이야기 보다는  서서히 이야기가 진행되는 정적인 분위기가 북유럽 소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물론 이 소설 또한 그런 느낌을 느끼게 된다...


스메스타의 리요르 역에 나타난 한 여인.그 여인은 육상선수처럼 누군가에게 쫒기는 듯 달리면서 전철문을 두드리게 된다..그러나 그 전철은 여인의 코앞에서 전철문이 닫기게 되고 그녀는 총상을 입고 죽은 채 발견하게 된다..이 여인의 이름은 마리에 모르겐스티에르네 였으며 그녀는 2년전 행방불명된 팔코의 약혼녀였다..


마리에의 죽음의 순간을 모두 코앞에서 본 크리스티안센 경감은 이 사건을 직접 수사하게 된다..그리고 주변인물들을 하나하나 추적하게 된다..그리고 그녀의 주변인물들이 나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청년사회당에 몸담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수사의 방향은 이렇게 주변인들을 중심으로 풀어 나가게 된다..


이 소설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딸 마리에가 죽었음에도 아버지 마틴의 모습에서 슬픔을 느끼지 못한다는 점이었다..어쩌면 마틴 스스로 그 슬픔을 억누르려고 햇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단서들을 하나 하나 모으면서 수사를 하지만 결정적인 도움을 줄수 있는 목격자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다..그 목격자는 바로 요세 요한슨이었으며 눈이 안보이는 장님이었기 때문이다..



소설을 읽으면서 느끼는 것은 살인사건이 일아나서 수사를 하게 되면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었다..이 소설 속에서는 청년사회당이었던 팔코의 행방불명과 2년뒤 리요르 역에서 죽어야 했던 미리에의 연결고리, 마리에의 주변인물 미리암, 크리스티네, 안더스, 트론 입센 뿐 아니라 그들의 부모님들 또한 이 살인사건과 연결지어서 생각하여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그리고 언제나 추리 소설은 우리가 생각하였던 그 예상에서 한참 벗어난다는 걸 알 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