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생활이 최고의 수행이다 - 리더를 꿈꾸는 직장인들을 위한 마음건강 피트니스
정해승 지음 / 헤르몬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의 퇴사 결정을 들은 나는 그의 무모한 도전에 대해 크게 화도 내고 설득도 했었다. 그런데도 결국 그는 자기의 결심을 바꾸지 않았고 모든 속세에서의 기득권을 버리고 한 명의 개인으로 돌아왔다. 이후 가끔 그와의 만남에서 친구가 하는 마음 공부에 대해 그 수행의 결과를 '들어주는'역할을 하곤 했다. (-9-)



보통 사람들은 비가 올 때면 왜 하필 오늘 비가 오는지에 대해 불만를 느낀다. 마이클은 비에 대해 부정적 생각이 떠오를 때면'참 아름답구나!' 비가 내리네.' 라고 생각을 바꾸는 것으로 내맡기기 실험을 시작했다. 실험 규칙은 간단했다.그저 '삶이 내게 가져다주는 사건들을 내 자아 너머로 나를 데려가기 위한 손님처럼 대하기'였다. 어떠한 결과가 나오더라도 그것에 저항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42-)



결론적으로 본다면 치유와 힐링의 목적으로 마음공부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과거와 미래가 심리적인 시간에 불과하며 현재의 삶이란 것도 이 심리적인 시간이 만들어 낸'삶의 상황'이란 것을 깨닫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좀 더 좋은 치유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97-)



분별심이란 말 그대러 '좋은 것,나쁜 것','예쁜 것,못난 것','착한 것',못된 것' 등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일체 유심조의 마음이 지어내는 것처럼 스스로 좋고 나쁜 것의 이름표를 붙이는 행위를 말한다. 그리고 이 분별심을 버리는 것이야말로 마음공부의 근본이 된다. 그런데 이 분별심에 대해 좀 더 공부하다 보면 곧 커다란 장벽에 부딪히게 된다.그것은 바로 '사물과 현상을 둘로 구별하지 않는 일원론','완벽한 둘로 구분하는 이원론'과 같은 좀 더 근본적인 개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159-)



속담 '참을 인 (忍) 자 세번이면 살인을 면한다'가 있다.직장 생활에서, 인간이 인간에게 회의감,분노, 좌절을 느낄 때가 있고, 자신이 생각한 대로 되지 않을 때,감정이 상하는 순간이 찾아온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하였던가, 평상심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뜻대로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직장생활에서, 승진에 누락되고, 일하던 책상이 갑자기 시라지면, 참을 수 없는 순간이 찾아온다. 열심히 일하여도, 그 결과가 신통찮을 때,나의 성과르 누군가 가로챌 때, 나타나는 여러가지 상황들이다.그런 상황에, 마음챙김,수행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 말하는 수행은, 마을을 챙기는 것이다. 치유와 위롤르 얻는다. 견디고,참아내고, 분별심을 버리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절제하고, 욕심을 비우고., 사색하며,산책하고, 명상하며,  유혹에서 휘둘리지 않으면서, 불편함을 참아내고, 선입견을 버리고, 성격을 죽이는 것, 감정을 절제하는 것 등등이 여기에 해당되고 있다.



결국 나는 마음공부를 잘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자아성찰,자기반성을 할 수 있다.사람를 오해하지 않는 것도 수행의 한 방법이다. 내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최고의 수행 중 하나이며,분별심을 버려야 한다. 옳고 그름에 따라서 살아가다 보면, 스스로 분별심에 갇햐 버리게 된다. 우리가 강조하는 도덕심,예절과 태도에 대한 생각도 마찬가지다. 분별심을 버리면 스스로 추해지지 않는다. 스스로 멘탈이 무너지지 않는다. 결국 내가 나를 위로할 수 있고, 마음 수행의 목적을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