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의학 입문 ㅣ 만화로 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6
주춘차이 지음, 장우창.백유상.정창현 옮김 / 청홍(지상사) / 2007년 2월
평점 :
주재춘선생의 만화로 읽는 중국전통문화총서 6번째 이야기가 한의학입문이다.
총 7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책을 꾸준히 읽어 준다면 일반 사람들 또한 어느 정도 한의학의 기본 틀이 잡히지 않을까? 한다.
역경, 황제내경, 그리고 한의학 입문을 읽어 보았다.
한의학을 전공하는 사람만 한의학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라는 법은 없다.
그렇다고 소위 말하는 돌팔이 의사가 되기 위해서? 읽는 것도 아니다.
뭐랄까? 궁금증이라고 할까?
실증의학인 서양의학과 변증의학인 한의학은 인간의 병을 고친다는 점에서는 똑같을지 모르나 근본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비슷한 부분도 많이 있겠지만 틀리 부분도 많이 있다.
먼저 서양의학은 과학에 근거를 두고 그 원인을 찾아내어 공격적으로 그 원인을 파괴하거나 고치는 의학이 발달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백신이나 외과 의술이 그런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한의학은 인간이 어떻게 자연과 상응하여 인체가 이루어지고 그 상응이 상생과 상극을 낳아서 인간 몸 속에 장기를 열어 보지 않는 이상 고칠 수 없으나 한의학은 공규라 하여 외부에 있는 다른 곳의 이상을 진찰하여 병을 고친다.
음양, 오행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설명하고 그 병리적 변화에 따라 치료법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의 몸에는 오장 육부가 있다.
이런 말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오장 육부가 타 들어간다고 들 한다.
그 말은 우리 몸에 중요한 부위가 극심한 스트레스로 힘들어 한다는 이야기와 마찬가지이다.
오장은 심장, 폐장, 비장, 간장, 신장을 이야기 한다.
우리 몸에서 중요하지 않는 장기가 없지만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가 오장인 것이다.
오장은 직접 에너지를 보관하고 인체의 신진대사를 조율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오장은 중요하며 오장은 오행과 맞물려 상생, 상극이 존재한다.
육부는 담, 위, 소장, 대장, 방광, 삼초를 이야기한다.
육부는 에너지의 흡수와 이동을 관장하지만 직접적으로 보관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오장에 들어 갈 수가 없는 것이다.
오장과 육부는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 오장 육부 중에 어느 한곳이라도 병이 생기면 다른 장기에도 병이 생길 수 있다.
인체에는 수많은 혈관들이 존재하는데 이 혈관들을 경락 경혈이라고 한다.
경락 경혈을 연구하고 공부하여 침이나 뜸으로 병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이다.
기혈 진액은 인간의 기를 이야기 한다.
실증의학에서는 기를 인정하지 않지만 변증의학에서는 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즉 보이지 않는 힘 곧 에너지를 기라고 이야기 한다.
한의학에서는 모든 병이 근원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사계절에 따라서 걸리는 병들과 각종 환경에 따라서 걸리는 병들을 철학적이고 그리고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한의학에서 진찰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오는데 문진, 망진, 문진, 맥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문진은 열이 있는가 없는가 머리와 몸의 상태는 어떠한지, 대소변은 어떤지, 또 먹은 음식이 어떠한가에 따라 질병을 찾아낸다.
두 번째 망진은 얼굴의 색깔, 눈의 상태, 그리고 피부의 상태를 보고 진단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또 다른 문진은 목소리, 호흡, 구취 그리고 구토의 상태에 따라서 진단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진맥이다. 진맥은 혈을 짚어보고 맥박의 종류에 따라서 병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진단하고 그 진단에 따라서 병을 확인하고 치료를 하는 것이다.
사실 한자를 잘 모르고 한의학에 대하여 생소한 나는 이 책이 쉽지만은 않다.
그래도 다른 책들보다 쉽게 풀이가 되어 있고 역경,황제내경등을 보면서 중국의 사상의학에 친숙해져서 그런지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았다.
이 책을 한번 보고 덮어 두기에는 아까운 책이다.
자주는 못 보더라도 시간을 내서 한의학 입문을 본다면 쉽게는 나의 병을 진단하고 또 예방할 수 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