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더헤드 ㅣ 수확자 시리즈 2
닐 셔스터먼 지음, 이수현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2월
평점 :

그 꽃을 짓뭉개느니 나의 존재를 끝내리라. / p.11
유토피아와 영생의 삶에 대해 늘 호기심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은 막상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유토피아는 단어 자체로 현실 세계에서는 어디에도 존재하는 않는 이상의 세계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후에 영혼이 벗어나지 않는 이상 절대 닿을 수 없는 곳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영생 또한 생명 연장을 위해 과학적인 노력들이 조금씩 나오고 있지만 인간은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진리인 듯하다. 그러나 그 단어들이 참 궁금하다. 과연 그것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이 책은 닐 셔스터먼의 장편소설이다. 수확자 시리즈로서 첫 번째 책이었던 수확자를 너무 재미있게 읽었다. 심지어 SF 소설 자체를 조금 어려워하는 편인데 그럼에도 전작은 참 많은 흥미를 주었으며, 인상 깊은 작품으로 남았다. 그런 의미에서 마무리 짓지 못한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너무나 궁금했기에 두 번째 이야기인 작품도 그냥 넘어갈 수 없었다.
수확자가 수습생이었던 시트라와 로언의 이야기에 맞추어 진행이 되었다면 이번 시리즈는 인간에게 영원을 주는 슈퍼컴퓨터 선더헤드 세계를 다루고 있다. 수확자가 인간에게 죽음을 선사한다면 반대로 선더헤드는 인간들에게 영생을 선물해 준다. 모든 인간들은 선더헤드의 지배를 받게 되어 영원히 살아가지만 수확자에게 선택이 된다면 죽게 되는 것이다. 첫 번째 시리즈에서 수확자가 된 시트라의 이야기와 함께 고더드라는 인물이 다시 등장하면서 새로운 사건을 담고 있다.
역시 두 번째 시리즈도 흥미로웠으며, 전편보다 더 두꺼운 페이지 수를 가지고 있음에도 이 역시 순식간에 읽을 수 있었다. 수확자에서는 시트라와 로언, 고더드, 퀴리 등 다양한 수확자들의 이름들이 조금은 낯설게 느껴졌는데 이번 선더헤드에서는 그 이름들이 참 반갑게 느껴졌으며, 익숙하다 보니 더욱 빠른 시간에 이를 완독할 수 있었다.
읽으면서 한 가지 부분이 가장 인상 깊게 다가왔다. 수확자에 대한 도덕성이었다. 영생의 삶을 사는 인간들을 수확하는 사람들이 과연 어떠한 그런 행위 자체가 정당성이 주어지는지에 대한 의문이었다. 물론, 어떻게 보면 주어진 일이기에 행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수확하는 순간에 인간에 대한 존엄성을 지켜주고, 무겁게 해내야 한다고 여겼다.
그런 점에서 인간에게 죽음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던 아나스타샤는 여전히 긍정적으로 보여졌다. 적어도 수확을 당하는 사람 자체를 인정해 주는 방법은 아니었을까. 전편 수확자에서의 퀴리가 떠오르기도 했었다. 선더헤드가 다루는 그 세계에서는 죽음을 통해 인간의 개체 수를 조정해야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겠지만 그 일을 처리하되 그들의 죽음으로 이끄는 사람으로서의 죄책감과 양심을 가지고 있는 듯했다.
반대로 고더드는 부정적으로 보여졌다. 이는 전편에서도 어렴풋이 느껴졌지만 어디까지나 쾌락과 단순한 재미로서 사람을 수확하는 행위이기에 수확자라는 지위로서도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와중에 그가 곧 종교가 되어 따르는 사람이 많아지고 권력에 도전하는 부분은 참 씁쓸했다.
선더헤드와 수확령에는 큰 위기가 닥쳤고, 이는 해결할 문제이기도 하다. 수확자와 선더헤드에게 벌어진 사건들로 손에 땀을 쥐게 했다. 그리고 인간의 죽음과 선악, 권력, 양심이라는 주제들을 깊게 생각하게 만들었다. 덕분에 마지막 편인 종소리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가 생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