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젤라스트와 돈키호테(Agelast and Donquixote)

- 신의 웃음소리에 귀 기울일 줄 아는 우리는.... 

 


인간은 생각하고 신은 웃는다.(Mann Tracht, Un Gott Lacht.)” - 유대 격언

 

 

이 유대격언에서 신(God)은 왜 웃고 인간은 생각한다는 것일까? 한 번도 신의 웃음소리를 들어보지 못한 인간들, 제깟 것들이 생각해봐야 진리 근처에도 이르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지 못하기에 결코 듣지 못할 웃음소리다. 신의 웃음이란 이렇게 초라하고 왜소하며 편벽한 인간의 생각에 대한 반응이다. 진리란 명확하고 모든 사람이 같은 것을 생각해야하며, 자신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과 똑같은 존재라고 확신하는 멍청이, 획일화되고 고착된 통상적 생각에 매몰된 공허의 인간은 웃을 줄 모른다. 유머감각이란 쥐뿔도 없으며, 다른 사람들 앞에서 짐짓 진지함을 과시하려든다. 우리들은 그때 웃는다. 그 맹목의 무지가 드러나니까 말이다.


이러한 인간들을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아젤라스트(agelast)’라 부른다고 한다. 아젤라스트들은 자기 믿음이 명확한 진리이기에 다른 사람들은 그것에 일치된 동의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세상사와 인간 개체란 것이 그렇게 생겨 먹은 것이던가? 사람들을 향해 팔을 쳐들고 삿대질을 하며 굴종을 강요하는 괴성을 질러대는 아젤라스트틀이 모든 다양성의 목소리를 짓누르고 거짓과 위선의 획일화된 가치와 질서를 진리라고 종용하는 형국이다. 이제 남은 것은 예술뿐이다.

 

그 잘난 입으로 방종의 헛소리를 일삼으며 전문가랍네 하던 인간들이 자취를 감추고, 아젤라스틀이 설쳐대는 현실에 찍 소리도 내지 않는다. 아니 내지 못하는 것일 테다. 은폐되었던 더러움이 압수수색이란 폭력적 수단에 의해 드러날까 두렵기 때문일 것이다. 문학, 미술, 연극, 영화 등 예술이 남은 보루다. 아젤라스틀은 예술을, 특히 희극과 패러디와 아이러니를 이해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웃지 못하는 존재들인 까닭이다. 마침 페러디 문학의 결정판인 돈키호테를 읽고 있었으니 이처럼 맞춤의 대상이 어디 있을까싶다.

 

스페인 문학 연구자인 안영옥 교수는 돈키호테에 관한 해설서에서 돈키호테가 출현 할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인간의 자유와 사회정의가 무엇인지 모르고 생각과 노동이 죽음의 덫인 나라,

이런 모순투성이의 스페인 현실에 대다수 지식인들은 눈감고 잘나가던 자신들의

펜을 꺾었지만, 세르반테스는 그 현실을 미학으로 투영하여 인간다운 세상을 열어 보인다.”

- 돈키호테를 읽다, 75P, 열린책들, 2023.2 초판 3쇄에서

 

400년 전, ‘순수 기독교인의 피라는 종교적 믿음과는 다른 순수 피에 의한 인간 구별의 획일화된 잣대가 모든 인간과 사회를 짓누르던, 정치와 종교 권력이 자기 검열을 강요하던 지옥 같은 시기에 출현한 희극적 소설이 역사의 시간을 돌고 돌아, 다시금 그 상식을 뒤엎은 웃음의 의미를 새롭게 새기게 한다. 단 하나 권력의 목소리만을 들으라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양상은 결국 사회구성원 개인들의 존재 정립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나아가 개인을 부정하는 지경으로 치달을 태세다.

 

때문인지 온라인 연결망의 각종 채널들에는 패러디와 유머의 말과 영상들이 증가한 듯하다. 또한 SF, 환상, 꿈과 현실의 경계를 오가는 문학작품들이 늘고 있다. 현실을 모방하는 리얼리즘의 체험 묘사를 기반으로 하는 예술작품은 아젤라스틀의 쉬운 표적이 되어 블랙리스트에 오르내리게 될 것을 아는 이유일 것이다. 돈키호테가 활약해야할 비극의 시간이 된 것이다.

 

정교하게 구성된 현실에 대한 환상을 통해 전혀 그럴듯하지 않지만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세계로 들어가는 꿈과 현실이 통합된 초현실의 세계가 자꾸 열려야 하는 당위의 시대인 것이다. 돈키호테를 읽다보면 그 유치함과 서투름으로 주인공의 고양된 야망이 끊임없이 무너지는 장면들과 수없이 마주하게 된다. 작품은 이렇게 표면적 이야기에서는 패배적이지만 웃을 줄 아는 독자는 이것이 패러디임을 안다. 그 잘난 질서 수호자들인 기사들을 우스갯거리로 삼아, 기존 가치와 체계를 전복시키는 최고의 수단인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는 것을. 상식(Common sense)이라 따르라는 그것을 뒤엎는 이 패러디와 아이러니의 역설에서 희극성이 발생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희극성, 유희적 세계이다. 예전에는 보이지 않는 미로의 성격을 가진 권력이라 했지만, 오늘날에는 훤히 유리창처럼 내부가 보이는 노골적이고 천박한 권력이기에 우리는 큰 소리로 웃기가 더 수월해졌다. 신의 웃음은 반박이며, 저항이요, 가소로움에 대한 혐오의 조소이다. , 쿤데라는 이런 말을 했다. 아이러니는 비록 우리를 화나게 하지만 그것은 빈정거리거나 대들어서가 아니라 세계를 애매하게 보여주어 확실성을 빼앗아버리기 때문이라고. 그래, 미술, 소설, 시 등 예술은 그 이름값을 하는 한 아무리 명쾌해도 결코 쉽지 않은 것이니 웃음과 아이러니, 환상의 세계는 아마 지금 절대 필요한 요소일 것이다.

 

사회집단의 상호 소통이나 영향의 주고받음은 바로 이웃하고 있는 존재 사이로부터 시작해 급격한 속도로 파급되어 전체 구성원이 동기화된다고 한다. 의식하지 못하지만 동물을 포함한 우리 인간은 상호 연결된 진동자처럼 동기화되어 거대한 웃음소리로 아젤라스틀을 질식시킬 수 있다. 돈키호테가 땡기고, *상전이(相轉移)가 유혹하는 시절이어서인지 객쩍은 상념을 적어봤다. 우리들은 찌르레기들의 가을 하늘 저 화려하게 펼쳐지는 공중군무의 변화처럼 순식간에 동기화되어 새로운 세계로 도약할 수 있다. 돈키호테처럼 행동하자. 모두 함께 크게 웃으면서... 

 

) 상전이(phase transition,相轉移)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이 온도와 압력 등 외부변수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액체인 물이 0도에서 고체인 얼음으로 변하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상전이는 모든 물질을 비롯한 인간사회와 같은 복잡한 구조도 얼마든지 다양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자연의 가장 창조적인 혼돈상태임을 상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