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짜 일 vs 진짜 일 - 직장에서 제대로 성과를 내는 법
브렌트 피터슨.개일런 닐슨 지음, 송영학.장미자.신원학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직장인들을 직장을 다니면서 수많은 일들을 한다. 이 수많은 일들 중
가치 있는 일과 그렇지 않은 일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구분에 신경 쓰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일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완료하는 데에만 집중한다. 지금까지 나 또한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일에 가치에 대한 의문이 들 때는 있었지만 일 자체를 가짜 일이라고 구분 짓지는 않았다.
때문에 이 책을 처음 펼쳐 들었을 때 저자가 말하는 “진짜 일”, “가짜 일”에 대한 이야기가 낯설고 어색하게만 느껴졌다.
저자는 진짜 일을 조직의 주요 목표 및 전략에 중추적이면서 그에 정렬되는 일이라고 정의하고
반대로 가짜 일은 회사의 전략과 목표를 타깃으로 하지 않거나 그에 정렬되지 않은 일이라고 말한다.
막상 개념이 잘 잡히지 않는데, 보통 가짜일이라고 하는 것은 의미
없는 서류작업, 시간만 낭비하는 미팅, 알맹이 없는 교육
계획 등 이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가짜 일들은 낡고 진부한 프로세스와 고질적인 관행으로 인해 더 커지고, 이러한 가짜 일을 하는 사람들의 의욕과 능률 회사에 대한 헌신과 충성심을 사라지게 하며, 결과적으로 회사의 혁신과 성과 창출에 방해를 하는 지경까지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짜 일이 주는 폐혜에서 탈출하기 위해 먼저 가짜 일을 원인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들이 필요한데, “나는 틀림없이 진짜 일을 하고 있다고 확신하는가?” “나는 회사의
사명, 비전,목표,전략들에
대한 내일의 중요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가?”, 내 일은 중요한가? 어느만큼이나
중요한가? 왜 그런가” 등의 질문들을 통해 그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더불어 가짜 일의 증후 테스트를 통해 간단히 자신이 진짜 일을 하고 있는지 가짜 일을 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데 한번쯤 자기진단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렇듯 자신이 하는 일이 진짜 일인지 가짜 일인지 알아낸다면 다음으로 취해야 하는 행동은 바로 가짜 일에서 탈출하는
일인데, 가짜 일을 조장하는 추정을 멀리한다거나, 가짜 일에서
진짜 일로 방향을 전환하기, 고도의 유연성 갖기, 다른 사람들에게
가짜일에 대해 경고하기 등의 방법들이 있다.
다음으로는 진짜 일을 하는 것인데, 자신의 일을 진짜 일로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서 길 찾기, 소통을 통한 길 찾기, 팀이 진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등 개인에서 시작해 조직에서 가짜 일을 퇴출하고 진짜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있다.
사실 업무를 하다 보면 어떻게 보면 “가짜일”이기는 하지만, 상사나 조직의 필요에 따라 해야 하는 일들도 종종
발생한다. 때문에 과연 이러한 상황에서 진짜 일과 가짜 일을 구분하고 진짜 일을 해야 한다고 외치는
것이 현실성이 있는가 라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아무런 생각 없이 일을 하는 것이 아닌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진짜 일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는
것은 꼭 필요한 자세가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 과연 나는 가짜 일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고 진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로 삶아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