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 아리스토텔레스의 말 - 현대인들의 삶에 시금석이 될 진실을 탐하다
이채윤 엮음 / 읽고싶은책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역, 아리스토텔레스의 말

2500년 시대를 뛰어넘는 최고의 자기 계발서!

여기서 초역이라 함은 원문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뽑아서 번역한 것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형이상학> <영혼에 관하여> <시학> 중에서

현재를 살아가는데 시금석이 될 만한 말들만 모아서 정리한 책이다.

Ⅰ. 행복에 대하여

Ⅱ. 영혼과 중용에 대하여

Ⅲ. 친구에 대하여

Ⅳ. 사랑과 쾌락과 아름다움에 대하여

Ⅴ. 철학이란 무엇인가?

Ⅵ. 정치란 무엇인가?

Ⅶ. 인간 행동에 대하여

Ⅷ. 일과 삶에 대하여

Ⅸ. 젊은이와 교육에 대하여

Ⅹ. 시와 예술에 대하여

10개의 장으로 나눠서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현실적인 답을 주고 있다.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다재다능함이 부럽다.

이 책 속에서 관심이 갔던 말들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나온 아리스토텔레스의 말들이었다.

행복에 대해, 사랑과 쾌락에 대한 말들.

- 자기 자신의 행복이 최고선이다.

- 행복은 궁극적으로 자족적인 것이다.

- 친구는 제2의 자아이다.

- 쾌락과 고통은 삶 전체에 뻗어 있고 인간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쾌감을 느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초역본을 읽었으니 이제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의 자리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2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984BOOKS 『아니 에르노 컬렉션』 중 「남자의 자리」

1984년, 아니 에르노의 두 번째 책, 《남자의 자리》로 르노도 상을 받았다.


아니 에르노가 기억하는 남자, 아버지의 자리를 서술한 책이다. 소설이라고 해야 할지 에세이라고 해야 할지 아리송하다. 한 방송에서 아니 에르노는 "아버지의 존재로 소설을 쓰는 것은 일종의 배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소설을 쓰면 인물을 창조하게 됩니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이 책은 미화가 없다. 없는 것을 있다고 하지 않는다. 사실을 바탕으로 한 단조로운 글쓰기가 되었다. 1940년 생 아니 에르노가 기억하는 아버지의 삶은 <그는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농가의 일꾼이었던 할아버지의 자식으로 태어나서 공장 노동자로 살다가 같은 노동자였던 어머니를 만나 카페 겸 식료품점을 차렸다. 그는 노동자보다 상인이기를 원했고, 쾌활한 사람이었으나 부부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 미술관 같은 곳은 가본 적이 없었다. 사는 데 책이나 음악 같은 것은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그의 삶은 물질적 필요에 얽매여 있었다. 그는 다만 자기 자리를 지켰다.> 기억의 보탬도 뺌도 없는 한 남자의 삶, 그가 살아온 자리. 이 삶이 전부다.


소설도 에세이도 아닌 <남자의 자리>는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나의 아빠를 아니 아버지를 다시 떠올려 보게 하는 힘이 있다. 스펙터클한 모험도 없고 반전도 없고 사건, 사고도 없다. 버석버석 소리가 날 듯 엄청 건조하다. 그 누구도 도망칠 수 없는 절대 진리. 누구나 죽는다는 명제 앞에서 남아 있는 자들에게 어떻게 기억될 것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큰 질문을 던져주는 책이다.


아니 에르노가 본 남자를 나도 보고 있었다.

20년 후에 나의 아이가 이 책을 읽는다면 그 아이도 그 남자를 보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과 바다>, 쿠바, 낚시, 모히또, 권총 자살!

헤밍웨이 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이다.

헤밍웨이는 전쟁의 한가운데서 본 것들을 명확하고 냉철하게 관찰하고 전쟁으로 말살된 개인의 가치, 인간의 존엄성, 개인과 인류와의 관계, 자유를 위해서 인류 전체에 대한 굳은 연대의식의 중요성과 전쟁을 반대하는 그의 생각들은 <무기여 잘 있거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책에 실린 기사들 중에서 <당신을 위한 누군가의 죽음> 중 "아주 잘 나온 사진 아닌가? / 그저 아주, 확실히, 죽어 있는 모습이었다. / 우리가 또 다른 전쟁의 시작을 묵인한다면 사진 속의 모습이 바로 당신의 모습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를 읽고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지금 미얀마에서 벌어지고 있는 군정 쿠데타를 어떻게 봐야 할까?

스페인과 상관없는 헤밍웨이, 조지 오웰 등 유명한 사람들, 지식인들이 스페인 내전에 참가하게 만들었던 그 마음을 지금 사람들은 갖고 있을까?

클로징으로 <작가가 되고 싶다고 찾아온 청년에게>는 글 쓰는 작가로서의 헤밍웨이를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첫째, 진실을 써라. 헤밍웨이는 누구보다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자신이 직접 보고 겪지 않은 것을 쓰면 곧 바닥이 드러난다고 믿었다. 작가의 상상력 또한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믿었다. 그는 말했다. “경험으로 배우는 게 많아질수록 더 진실에 가깝게 상상할 수 있다.”

둘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라. 헤밍웨이는 다른 사람 머릿속에 들어가는 연습을 해보라고 권유한다.

“작가로서 누구를 판단하라는 게 아냐. 사람을 이해하는 게 작가의 역할이지.”

톨스토이부터 헨리 제임스까지 그가 읽었던 작품들을 나는 다 읽을 수 있을까?

<노인과 바다>부터 다시 읽어봐야겠다.

그의 작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페이퍼로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이문영 지음 / 페이퍼로드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고대사'에 꽂혀서 선택한 책이었다.
고조선에서 발해 건국까지 우리 고대사의 다채로운 수수께끼를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고대사를 차근차근 설명하는 책이 아니라 각 시대에서 오해하고 있거나 잘 모르는 일화들, 또는 잘 알고 있다 해도 그 의미에 대해 새로운 해석들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주류로 인정받고 있는 역사학계의 해석만을 따라가기보다는 저자의 과감한 해석이 보인다.
역사는 살아남은 자의 기록이다.
그래서 역사에는 하나의 진실, 하나의 진리만 있는 것이 아니다.
과거의 기록을 살펴서 사건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틈새를 사이비 역사가들이 유사역사학이라는 세계를 만들기도 하는데,
우리만 잘났다고 하는 인종주의적이고 배타적인 세계를 조심하라고 한다.
학교에서 국사, 세계사로 따로따로 역사를 가르칠 것이 아니라 하나로 합쳐서 지구의 역사를 가르쳤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같은 시간에서 지구가 어떻게 돌아갔는지 알았으면 좋겠다.
띠지에 있는 배달의 민족'이라는 말은 허구다.
배달이라는 말은 대종교의 1909년 1월 15일 <단군교 포명서>에서 나온 것이다.
신비로움을 더하고자 단군이라는 용어를 집어넣은 것 같다고 한다.
맥락 없이 등장한 '배달의 민족', 요즘 광고에 사용되면서 더욱 각인된 말이다.
의자왕과 낙화암에 대한 일화에 대해서도 삼천궁녀라는 자극적인 표현만 회자되고 있다고 꼬집어주고 있다.
'하룻밤에 읽는'에 속지 마시길!
매일매일 까먹을만하면 다시 펼쳐서 읽는 역사 속 에피소드를 맘껏 즐기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대 채석장 시리즈
필립 라쿠-라바르트.장-뤽 낭시 지음, 조만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석장시리즈 중에서 가장 어려운 책이었다.

아는 단어가 하나도 없다.

연극이 이런 것이었나? 내가 보고 즐겼던 연극이 이리도 어려운 문제이었던 것인가? 하는 자괴감도 들었다.

'대화'란 철학에 낯설지 않은 형식이고 연극에는 본질적인 형식이다.

연극이냐 무대냐

연극이든 뭐든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모든 것은 종합예술이다.

똑같은 공연은 있을 수 없다.

 개의 대화가 처음으로 함께 출판되었다.

두 대화는 서로 긴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졌지만,

그 목표는 언제나 두 대화 상대자 사이에서 새롭게 토론을 시작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토론은 필립 라쿠-라바르트의 죽음으로 중단되었다.

[무대]

장-뤽은 무대화를 선호 / 필립은 오직 독서만 옹호

장-뤽은 항상 형상화를 요구하는 방향 / 필립은 항상 형상의 소멸 지향

[대화에 대한 대화]

장-뤽 낭시는 현시되지 않는 현시라 부름

필립 라쿠-라바르트는 현시의 현시라 부름


#무대 #문학과지성사 #채석장시리즈 #필립라쿠라바르트 #장뤽낭시 #조만수옮김 #리투함시도 #리투지원도서 #리투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