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피부 - 나의 푸른 그림에 대하여
이현아 지음 / 푸른숲 / 2022년 7월
평점 :
품절



 

글 쓰는 일을 하다 보니 그런지 첫 에세이인데도 소재에 거리낌없고 하고 싶은 이야기를 숨김없이 쓰다니 놀랍다. 이 책 『여름의 피부』는 에디터이자 라이터로서의 직업 때문인지 독자들의 시선을 놓치지 않고 글을 끌어가는 솜씨가 중견 작가 못지않은 느낌을 준다. 주제 의식이 뚜렷하고 평소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그림일기를 통해 쓰고 모아둔 것이 빛을 발휘한 모양이다. 저자 이현아는 이 에세이가 처음으로 낸 책이라고 한다. 작가로서의 첫 발을 내디딘 셈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유년과 여름, 우울과 고독에 관한 가장 내밀한 이야기를 '푸른 그림'을 통해 이야기한다.

저자는 에디터로 일하며 써 내려간 그림일기에서 자신이 모으는 그림들이 유난히 ‘푸른 기운’을 머금고 있는 것을 발견하곤 이 책을 썼다고 한다. 대중에게 친숙한 에드워드 호퍼, 피에르 보나르를 비롯해 소설가 제임스 설터와 줌파 라히리의 책 표지 그림으로 널리 알려진 던컨 한나와 에이미 베넷, 그리고 자신만의 고유한 색을 품은 세계 각국의 화가 스물네 명의 푸른 그림에서 위안을 담은 다양한 이야기를 길어 올린다. 4장으로 나눈 이 책은 우리의 사계(四季)와 닮았다. 아니, 어쩌면 담았다고 표현해도 틀리지 않을 것 같다. 모두 4장으로 나뉜 이 책은 1장 「유년-새파랗게 어렸던, 덜 익은 사랑」, 2장 「여름-모든 것이 푸르게 물들어가는 계절」, 3장 「우울-사람의 몸이 파랗게 변하는 순간 죽음, 병, 멍, 그리고 우울」, 4장 「고독-비밀과 은둔과 침잠의 색」으로 구성됐다.

 


 

오래도록 '그림 바라보기’를 취미로 둔 저자는 잡지사 에디터로 취재차 세계 곳곳을 다닐 때도 늘 곁에 그림을 두었다. 저자의 그림 사랑은 대단하다. 조지아 오키프의 발자취를 따라 미국 서부로의 로드 트립을 계획하고, 소설가 제임스 설터의 표지 그림으로 유명한 화가 던컨 한나를 만나기 위해 뉴욕으로 날아가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림을 바라보고 모으는 것을 너머 꾸준히 그림일기를 쓰던 작가는 문득 자신이 모은 그림들에는 ‘푸른 기운’이 담겨 있음을 발견한다. 이 책은 작가가 언젠가 글을 통해 나누고자 마음속에 품어 두었던, 그만의 시선으로 바라본 푸른 그림에 관한 이야기다.

저자는 작가의 말 「써내려 간다는 것」을 통해 푸른 그림에 대해 밝히고 있다. "널찍하고 두툼한 노트 한 권을 샀다. 그림을 골라 인쇄하고, 가위로 오려, 왼쪽 페이지에 흐르는 대로 생각을 적었다. 일기와는 다른 종류의 고백이 두서없이 그곳에 쌓였다. 토트를 반절쯤 채우니 그것들이 되레 말을 걸어왔다. 나를 낚아챈 그림 속에는 공통된 색이 잇었다. 그것은 구체적인 이름을 붙일 수 있는 하나의 색이라기보다는 '푸른 기운'에 가까운 어떤 것이었다. 실제로 푸름은 손안에 쥘 수 없는 색이다. 다만 시선을 멀리, 그리고 높이 가져가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멀리 있는 산, 거리와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하늘과 바다, 그 너머의 수평선과 지평선. 그곳에 펼쳐진 푸름은 우리가 다가갈수록 뒤로 물러난다. 투명하게 사라진다. 푸름은 여기와 거기의 사이에, 그 거리 속에 존재하며, 바라보고 가까워지려는 시도 속에서만 유효하다."(p.14)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이러한 푸른색들은 책에 나오는 다양한 화가들의 작품에서 만나볼 수 있다. 피에르 보나르, 조지아 오키프, 루시안 프로이드, 던컨 한나, 호아킨 소로야, 밀턴 에브리, 가브리엘레 뮌터 등 이들이 캔버스에 칠한 푸른색을 바라보다 보면 저자가 이야기하는 손안에 쥘 수 없는 푸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그 안에 담긴 감정까지도. 푸른색은 그것이 가진 정서와 이미지가 정 반대편에서 움직이는 독특한 색이다. 예를 들면, 몽상가적인, 내밀한, 고독한, 멜랑꼴리한 등의 우울한 감정의 반대편에는 파릇파릇하다, 청량하다, 시원하다, 푸른 바다, 시린 하늘 등의 싱그러운 이미지가 있다. 푸른색은 가끔은 초록빛을 띄기도 한다.

블루와 그린 사이에 걸쳐진 그 오묘한 색을 에메랄드그린(에매랄드 빛을 띤 아름다운 녹색), 청록색(푸른색을 띤 초록색), 코발트블루(녹색을 띤 짙은 파란색)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초록색뿐이랴. 보라색과 회색 그 어느 사이에서도 푸른색은 존재한다. 이런 푸른색이 가진 오묘하고도 복잡한 스펙트럼은 저자에게 글을 쓰는 영감이자 원천이다. 이들 푸른 기운이 생성해내는 감정적 충돌은 다양한 감정선을 인정한다. 하나의 시선으로 붙잡을 수도 없고, 붙잡히지도 않는 감정들의 다변화. 일견 모순적이고 알 듯 말 듯한 푸른색은 어쩌면 가장 불확실했던 날들, 가장 고독했고 결핍되었다고 느꼈던 그 시간들이, 나를 돌아보고 이해하는 가장 귀중한 시간이었음을 깨닫게 만든다.

 


 

저자가 푸른 그림을 매개 삼아 들려주는 이야기들 역시 우리가 어렴풋이 느꼈던, 제대로 형언하지 못한 답답한 감정들을 소회하게 돕는다. 실타래처럼 꼬인 마음의 퍽퍽함을 누군가는 알아주었으면 하고 바라는 모순된 그 마음들…. 저자는 이런 마음을, 꼭 이해하는 사람이다. 푸른색은 복잡하다. 가끔은 속내를 비치지 않는 미지의 인물을 보는 듯해 속상한 기분마저도 든다. 저자의 말처럼 “투명하게 사라져 버린다.” 은둔과 비밀의 색이지만 한편으론 가장 투명하다. 우울한 색이라고들 하지만 가장 깊고 따뜻한 색이기도 하다. 푸른 그림들만 모아 놓은『여름의 피부』를 읽다 보면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복잡한 색의 균열이 오히려 우리 내면의 혼란스러움을 인정하고 위로를 건넨다. 푸른색의 기운을 잘 이해하고 해석한 저자가 푸른 그림의 바닥에서부터 써 내려간 이야기가 우리의 불안과 고독을 다독여주기 때문이다.

화가 피에르 보나르는 늘 관찰자로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상을 살피며 어느 누구의 것도 아닌 자신만의 블루를 완성했다. ‘가장 고독하고 고독한 자’라고 불리던 독일의 화가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는 작품 안에 자기만의 서늘한 푸른 세계를 건설하고, 고유한 초상을 만들어냈다. 저자는 “나이와 상관없이 여전히 모난 구석을 가진 사람들. 뾰족함을 연마하거나 닳지 않도록 애쓴 이들. 그런 예술가들이 좋아서, 이들이 지켜낸 뾰족함으로 무언가를 꿰뚫는 송곳을 만들었으면 해서, 그들에 대한 글을 계속 쓰고 싶은 걸지도 모른다”(p.168)라고 썼다.

 


 

이 책 『여름의 피부』는 그런 예술가들을 이해하고, 또 강퍅한 삶에 위안을 건네는 가장 내밀한 색 ‘블루’를 이해하려는 시도다. 그중 ‘푸른 그림’에 관한 가장 첫 번째 책이다. 1장 「유년, 새파랗게 어렸던, 덜 익은 사람」은 유년기에 겪었던 상실, 그리움, 애도의 시간들, 그리고 어린 시절 배워 몸에 꼭 익힌 태도와 습관의 기록이다. 에드바르 뭉크, 발튀스, 호아킨 소로야, 던컨 한나의 그림에서 찾은 푸른 그림들이 작가의 유년 시절 편린을 불러낸다. 누군가를 좋아할수록 내가 싫어지는 감정들, 가진 적 없지만 마치 가진 것처럼 꾸며대는 어른 아이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어떻게 하다가 내가 전봇대를 켜는 일을 맡게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나는 그 아래 푸름을 익혔다. 거기 서서 불을 밝히는 법을, 바라보는 법을, 기다리는 법을 배웠다. 그 모든 것들이 푸름 속에서 일어나고 또 내 안에 있다는 걸 느꼈다.” (p.36)

2장 「여름, 모든 것이 푸르게 물들어가는 계절」에선 여름이 주는 청량감, 홀가분함, 뜨거움과 서늘함의 대치가 푸른 그림에 담겨 있다. 나신이 된 자신을 내려다보는 루치타 우르타도(p.75)의 그림에서 비로소 나로 살아가는 생의 기쁨을, 보는 이마저 깊은 잠으로 초대하는 것만 같은 푸른 여인의 모습은 피에르 본콩팽(p.118)의 그림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이외에도 이어지는 글과 그림을 읽고 감상하다 보면 태양이 내리쬐는 어느 해의 여름, ‘여름의 수행원’(p.122) 자격으로 이름 모를 나라의 미술관을 돌아다니는 저자와 함께 양지와 그늘을 옮겨 다니며 푸른 그림을 감상하는 기분을 만끽하게 된다.

 


 

3장 「우울, 사람의 몸이 파랗게 변하는 순간(죽음, 병, 멍, 그리고 우울)」에서는 가장 잘 알려진 푸른색의 상징성 ‘우울’에 관해 이야기한다. 우울증을 앓았던 저자의 고백에서 독자는 현대인이 겪는 불안감을 마주한다. 나, 자신에게서 도망치려는 자의 자리가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은 것도 저자가 겪은 경험이 우리의 상황과 그리 다르지 않아서다. 폴 델보(‘나에게서 달아난 자’ 151쪽)의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건, 도망자의 자리는 어느 누구의 자리도 아닌 우리 모두의 자리라는 것이다.

“어쩌면 나는 다른 무엇도 아닌 나에게서 도망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한참 내달리다 뒤를 돌아보면 그곳에는 나에게서 달아난 나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오로지 나밖에 없는 풍경은 폐허나 다름없다.”(p157~158)

4장 「고독, 비밀과 은둔과 침잠의 색」은 고독에 관한 내밀한 이야기다. 독립해 자신만의 방을 꾸린 저자의 친구 ‘홈 오브 라벤더 걸’(p.198)에게는 소박하게나마 자신의 고유성을 지켜나가는 안정적인 고독감이, 저자가 브루클린의 어느 숙소에선 잠시 맞이한 혼자만의 시간(p.204)에는 은밀하고 비밀스러운 고독감이 배어 있다. 성실하게 자신의 세계를 일궈낸 사람만이 뿜어낼 수 있는 풍요로운 고독감은 어떤가. ‘어떤 저녁 식탁’(p.175)은 오래도록 자기 자신으로 살기 위해 노력한 한 사람이 뿜어내는 우아한 고독감이 곳곳에 스며 있다. 이들이 어째서 존경심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한꺼번엔 불러일으키는지 빌헬름 하메르스회의 그림을 빌어 알려준다.

 


 

“여름에는 새로운 단어를 껴안을 수 있는 몸을 갖게 된다. 여름이 나를 통과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어떤 것이든 안으로 흘러들어와 나를 간지럽히도록 내버려둔다. 눈꺼풀 위로, 손톱 아래로, 등줄기로, 양 뺨으로.”(p.76)

 

“내가 그 식탁에서 배운 것은 어떤 종류의 풍요로움이었다. 많은 세계를 품어본 사람만이, 또 여성만이 가질 수 있는 것. 금전적인 부유함이 아니라 지적인 윤택함으로 빛나는 것. 그날 이후 좋아하는 사람들을 만날 때면 이 저녁 식사를 떠올린다. 온기와 냉기가 적절히 오가고, 단정한 음식과 와인이 오르고, 내가 아는 세계로 타인을 가두지 않고, 가본 적 없는 곳으로도 멀리멀리 데려가는 장면을 그린다. 언젠가는 그 식탁을 관장할 수 있는 사람으로 늙고 싶다는 소망도 슬쩍 올려두면서.”(p.182)

 

저 : 이현아

 

에디터, 아트 라이터. 1990년 충주에서 태어났다. 인터뷰, 칼럼, 에세이 등 예술에 관한 다양한 글쓰기를 한다. 그 중에서 2017년부터 노트에 쓰고 있는 그림일기를 가장 아낀다. 매거진 《어라운드》에서 에디터로 커리어를 시작해 퍼블리, 젠틀몬스터를 거쳤다. 지금은 IT 회사에 UX라이터로 일한다. 남산 아래서 남편과 두 고양이 말테, 미쭈와 살고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