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 속뜻 금강경 - 전광진 교수가 풀이한
전광진 지음 / 속뜻사전교육출판사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독자는 아무 종교도 갖고 있지 않다. 그래서인지 아직 어떤 종교의 경전을 한 번도 완독해본 적이 없다. 예를 들면 『성경』이나 『금강경』이 그것이다. 그러나 시도는 해본 적이 몇 번 있다. 얼마 못 가 중도에서 포기했다. 성경도 그렇고 금강경도 그 책 중의 하나이다. 첫째는 읽어 흥미를 못 느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이다. 물론 읽고 또 읽는다든지, 모른다면 아는 분에게 물어서라도 해석을 얻어 계속 읽을 수는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읽어야 할 의무로 읽은 책이 아닌데, 모르는 것 투성이인데, 신자도 아닌데 굳이 그렇게까지 하며 읽을 필요를 못 느꼈기 때문에 결국 시도만 하다 그쳤다.
이 책 『우리말 속뜻 금강경』은 '금강경'을 우리말로 속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고 읽기 쉽게 정렬해 놓았기에 『우리말 속뜻 금강경』이라 이름지었다고 밝힌다. 금강경이 어려운 경전이란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속뜻을 알고 보면 금강경은 결코 어려운 경전이 아니라고 단언한다. 저자는 왼쪽 페이지에 배치해 놓은 우리말 본문은 1시간 안에 다 읽고 다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옆 오른쪽 페이지에 있는 원문과 대조해 보면 이해가 더욱 쉽다고 설명한다. 독자가 이 책을 이번에야말로 완독해보겠다고 나선 이유는 '쉽다'는 말고 '분량이 많지 않다'는 점 때문이다. 불교 경전이 다 어렵거나 두꺼운 것은 아니겠지만 초보자들이 대하기에는 두껍거나 어려우면 이내 포기한다. 여러 번 경험이 있는 독자로서는 좋은 기회로 여기고 차분하게 읽을 생각이다.
'금강경'을 처음 시작한 독자로서는 금강경이 어떤 책인지는 알고 들어가야겠기에 두산백과사전의 힘을 빌어 개요를 파악하기로 했다. 두산백과에 따르면 금강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반야경이라고도 한다. 인도 사위국을 배경으로 제자 수보리를 위하여 설한 경전으로, 한곳에 집착하여 마음을 내지 말고 항상 머무르지 않는 마음을 일으키고, 모양으로 부처를 보지 말고 진리로서 존경하며, 모든 모습은 모양이 없으며 이렇게 본다면 곧 진리인 여래를 보게 된다고 하였다. 이 경은 현장(玄?)이 번역한 《대반야경》 600권 중 제577권의 능단금강분(能斷金剛分)과 같은 것이나 《대반야경》이 성립되기 이전에 이 부분만 독립된 경전으로 유통되었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이 사실은 일찍이 인도에서 무착(無着)과 세친(世親)에 의해 그 주석서가 저술되고 중국에서도 구마라습(鳩摩羅什)에 의해 번역서가 나온 이래 다른 많은 번역서가 나온 데서도 알 수 있다. 이 경은 산스크리트 원본도 현존하며 한역 6가지 외에 서장역도 있으며 최근에는 영어·독일어·프랑스어 등으로도 번역되어 서양학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경전이다. 또한 이 경에 대한 주석서는 인도 ·중국 ·한국 ·티베트 등에 걸쳐 800여 가지가 된다고 하며 불교의 모든 학파를 막론하고 이 경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였다. 그것은 바로 이 《금강경》이 적절한 분량으로 읽기도 쉬우면서 깊은 대승불교의 진수를 드러내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도 '금강경'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신봉되었던 대표적인 불경으로 『금강반야경』·『금강반야바라밀경』이라고도 한다. 이 경전의 범어 원전의 사본은 티베트·중국·한국·일본에 전하고 있으며, 한역본은 402년에 요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 외에 7종이 있다. 선종에서도 중국선종의 제5조인 홍인 이래 특히 중요시되었고, 제6조 혜능은 이 경문을 듣고 발심하여 출가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의 불교유입 초기에 전래되었으며, 고려 중기에 지눌이 불교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입법(立法)을 위해서 반드시 이 경을 읽게 한 뒤부터 널리 유통되었다.
이 경은 공한 지혜로써 그 근본을 삼고, 일체법무아(一切法無我)의 이치를 요지로 삼았다. 공의 사상을 설명하면서도 경전 중에서 공이라는 말이 한마디도 쓰여지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대승과 소승이라는 두 관념의 대립이 성립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과도기적인 경전이라는 데서 더 큰 의미를 가진다. 경의 해석과 이해를 위해서 인도의 무착은 18주위로 과판(科判)하였고, 천친은 27단의(二十七斷疑)로, 중국 양나라의 소명태자는 32분(三十二分)으로 나누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소명태자의 분류를 따르고 있다. 32분 중 이 경의 중심사상을 담고 있는 분은 제3·4·5·7·10·18·23·26·32분이다.
제3의 대승정종분에서는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되 내가 저들을 제도하였다는 관념이 없어야 하고,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의 4상이 있는 이는 보살이 아니라 하였다. 제4의 묘행무주분에서는 집착함이 없이 베푸는 무주상보시를 하도록 가르쳤다. 제5의 여리실견분에서는 32상을 갖춘 부처의 육신이 영원한 진리의 몸인 법신이 아님을 밝히고, 참된 불신은 무상이라고 설한다. 특히, “무릇 있는 바 상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니, 만약 모든 상이 상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고 한 유명한 사구게가 수록되어 있어 더욱 중요시된다. 제7의 무애무설분에서는 부처의 설한 바 법이 취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닐 뿐 아니라, 법도 아니요, 법 아닌 것도 아니라 하여 여래의 설법에 대한 집착을 끊게 하였다.
또 제10의 장엄정토분에서는 청정한 마음으로 외적인 대상에 집착함이 없이 ‘마땅히 머무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낼 것’을 가르친다. 이는 혜능 및 여러 고승들을 깨닫게 한 유명한 구절이다. 제18의 일체동관분에서는 부처가 모든 중생의 차별적인 마음의 움직임을 모두 알고 있음과 과거·현재·미래의 마음은 가히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 제23의 정심행선분에서는 진여법이 평등하여 아래위가 없는 것이 온전한 깨달음이며 여래의 선법임을 밝혔다. 제26의 법신비상분에서는 여래를 형체에 얽매어 보지 말 것과 “만약 형색으로 나를 보고, 음성으로써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니, 결코 여래를 보지 못한다.”는 사구게를 설하고 있다. 제32의 응화비진분에서는 일체의 유위법이 꿈·환영·물거품·그림자와 같고 이슬이나 우뢰와 같음을 관해야 한다고 하였다.(한자는 독자 생략)
책의 표지 별도 띠지에 「추천의 말씀-석가모니」라고 적은 제 14분의 일부를 여기에 적어본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능히 이 경을 받들어 독송한다면,
여래인 내가 부처의 지혜로
그 사람을 다 알고
그 사람을 다 보나니,
그들 모두 무량무변한 공덕을 성취하리라.”
若有善男子, 善女人, (약유선남자, 선여인,)
能於此經, 受持讀誦, 卽爲如來, (능어차경, 수지독송, 즉위여래,)
以佛智慧, (이불지혜,)
悉知是人, 悉見是人, (실지시인, 실견시인)
皆得成就無量無邊功德. (개득성취무량무변공덕.)
책 뒷 부분에 역저자는 「금강경 국역 후기」를 통해 "금강경은 읽고 외우는 독송만으로도 무량 공덕을 성취할 수 있다고 부처님께서 11차례나 직접 말씀하셨다"고 전하고, "금강경 독송으로 무량한 공덕을 짓자면 경전의 뜻을 아는 것이 첫걸음이자 지름길이다"고 강조했다.
저자 : 전광진
성균관대 중문학과 졸,
국립타이완사범대(NTNU) 문학석사,
국립타이완대학(NTU) 문학박사
경희대학교 중문학과 조교수, 부교수(1992-1996)
성균관대학교 중문학과 부교수, 교수(1997-2020)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학장 (2013-2014)
현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속뜻사전교육연구소 소장
주요 저작: 속뜻시리즈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 (2007)
『속뜻풀이 초등국어사전』 (2010)
『우리말 속뜻사전 앱』 (2019)
『우리말 속뜻 논어』 (2020)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