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가출생활자와 독립불능자의 동거 라이프 ㅣ 그래도봄 플라워 에디션 (오디오북) 1
권혁란 지음, 석미라 외 낭독 / 그래도봄 / 2021년 11월
평점 :

엄마의 딸에 대한 뒤늦은(?) 깨달음. 이 책 『가출생활자와 독립불능자의 동거 라이프』는 이렇게 시작한다. "딸들과 오랜 친구라는 생각을 오래 하고 살았다." 그러나 거대한 착각이었음을 뒤늦게 깨우친 엄마의 딸들에게 못다한 얘기를 이젠 글로써 풀어낸다. 이 글은 그동안 엄마로서, 딸로서 산 삶에 대한 결산이자 앞으로의 예산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붙여진 떨칠래야 떨칠 수 없는 운명임을 '가출생활자'와 '독립불능자'로 표현할 만큼 엄마는 깨어 있는 사람이란 느낌이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 페미니스트를 자처한다. 잡지 IF(이프)의 편집장으로서 생활하기도 했다. 글 쓰는 게 생활이자 자신의 신념인 페미니즘을 굽히지 않는 신념이기도 하다. 비혼주의자인 딸과의 생활, 치열한 삶을 사는 모습 등을 담아낸 책이다.

앞서 말한 대로 이 책은 엄마와 비혼주의자 두 딸이 ‘따로 또 같이’ 살아가는 이야기다. 여기에는 무언가 되고 싶었지만 되지 못한, 무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나답게 사는 법’을 찾아가는 여정이 담겨 있다. 이와 함께 이 책에서는 부동산 폭등, 데이트 폭력, 저출산, 여성혐오 등 우리 사회의 문제도 함께 짚어나간다. 저자는 딸들에게 “하루하루 그냥 잘 사는 것이 나에게 가장 충실한 태도라는 것, 그게 나한테 가장 잘 대해주는 거라는 것을 잊지 말라”고 말한다. 편견과 관습이라는 이름의 수많은 강펀치를 견뎌낸 한 페미니스트 엄마와 비혼주의자 딸의 자력갱생 에세이는 이 겨울 훈훈하고 강렬한 에너지를 독자에게 불어넣어준다.
엄마와 딸의 관계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와 사뭇 다르다. 아버지와 아들은 서로 말을 많이 하지 않은 채 침묵만으로도 대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침묵을 잘못 이해해 간혹 어긋날 결과를 가져와도 서로를 북돋아준다. 그러나 어머니와 딸은 침묵으로 대화하다가 딸을 위해 무한 희생하는 어머니나 딸에게 자신의 묵혀둔 감정을 쏟아내 상처받은 딸의 이야기도 주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가출생활자와 독립불능자의 동거 라이프』는 여타 모녀의 관계에서 한 발 더 나가 ‘따로 또 같이’ 행복을 찾는 모녀의 연대기가 담겨 있다. 내추럴 본 페미니스트로 거듭난 엄마와 90년대생 딸들은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를 끊임없이 고민한다. ‘나다운 인생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엄마와 딸의 현실적인 답이 이 책 곳곳에 녹아 있다.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거실에 방을 하나 더 만든다든지, 경제적 독립을 위한 장기계획과 자신만의 여행법을 찾아가는 색다른 지혜를 보여주기도 한다.

1장에서는 저자가 가부장적 사회에서 결혼과 출산, 육아를 거치며 왜 페미니스트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 왜 늘 독립을 꿈꾸는지를 풀어놓는다. 2장은 시댁과 결혼이라는 굴레, 구순 엄마를 보낸 딸, 지금을 살아가는 세상 모든 딸들에게 보내는 편지가 담겨 있다. 3장에서는 평범하지 않은 엄마로서의 미안함, 4장에서는 분노와 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딸들에게 일러주는 이야기를 적었다. 5장에서는 결국 인생의 해답은 내 안에 있으므로 나만의 방식대로 찾아가라는 이야기로 마무리한다. 또한 저자는 이 책에서 여성혐오, 저출산 문제, 데이트폭력, 부동산 문제, 취업전쟁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짚는다.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거리두기로 각자의 삶을 인정하고 지지해주는 새로운 가족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저자는 어머니와 친구의 죽음, 세상과의 편견에 맞서며 나만의 방식으로 삶을 일구어간다. 막내딸인 저자가 엄마 제사를 지내고, 가족을 위해 아빠가 요리하고, 비혼을 주장하는 딸과 함께 살아가며 이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삶을 일구어간다. 엄마는 아낌없는 사랑으로 딸들이 홀로 설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리고 그 딸들은 세상을 떠도는 여행자로, 한국어 교사로, 작가로 다양한 삶의 결을 쌓아온 저자의 끊어진 경력, 끊긴 돈, 끊어진 인간관계를 이어준다.
딸들 덕분에 이어지고 기워지고 때워져서, 이 세상의 한 사람의 몫을 해내게 만들어주었다. 여자에서 엄마, 엄마에서 다시 여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인정하고 지지해준 덕분이다. 한집에서 서로를 키우고 돌보고 있는 셈이다. 이들의 연대가 의미 있고 아름다운 이유다.

저자는 직장에서 힘들어하는 딸들에게 ‘인생에는 틈이 있기 마련이야, 일일이 다 메꾸고 반응하려는 것은 미친 일이야. 너희들이 어떤 사람이 될지는 너희가 정하라’고 이야기한다. 각자 나답게 사는 법을 찾는 것이 진정한 독립, 진정한 행복을 찾는 것이라는 의미다.
더 나아가 90년대생에게 전하는 직장에서의 마음가짐, 인생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조언도 전한다. 저자는 어머니와 친구의 죽음, 세상과의 편견에 맞서며 나만의 방식으로 삶을 일구어간다. 막내딸인 저자가 엄마 제사를 지내고, 가족을 위해 아빠가 요리하고, 비혼을 주장하는 딸과 함께 살아가며 이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삶을 일구어간다. 엄마는 아낌없는 사랑으로 딸들이 홀로 설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리고 그 딸들은 세상을 떠도는 여행자로, 한국어 교사로, 작가로 다양한 삶의 결을 쌓아온 저자의 끊어진 경력, 끊긴 돈, 끊어진 인간관계를 이어준다.

이 책에서 두 딸의 엄마는 딸들 덕분에 이어지고 기워지고 때워져서, 이 세상의 한 사람의 몫을 해내게 만들어주었다. 여자에서 엄마, 엄마에서 다시 여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인정하고 지지해준 덕분이다. 한집에서 서로를 키우고 돌보고 있는 셈이다. 이들의 연대가 의미 있고 아름다운 이유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세상이 좇는 행복의 가치보다 ‘나답게 사는 법’을 고민하는 이들에게 터닝포인트가 되어줄 수 있다고 독자는 생각한다. ‘나의 삶은 나의 것, 너의 삶은 너의 것’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우리 사회의 가까운 장래에 텍스트로 삼을 만하다.
저자 : 권혁란
한 여자의 여섯 번째 딸로 오십 년, 두 딸의 엄마로 삼십 년을 살았다. 페미니스트 저널 〈이프〉에서 일하면서 많은 글을 썼으며 책을 만들었고 피메일 게이즈(여성적 시선)로 세상을 보면서 겹겹의 미늘을 벗어났다. 여러 사람과 같이 《엄마 없어서 슬펐니?》, 《나는 일하는 엄마다》를 썼고, 혼자로는 심장의 속도로 걸어온 천 일간의 치유 여행 《트래블 테라피》, 존엄하고 아름다운 이별에 관해 묻는 애도 일기 《엄마의 죽음은 처음이니까》를 펴냈다. 딸들과 함께 돌아가신 엄마와 병아리 나리와의 사랑의 기억만을 골라내 그림동화책 《다섯 번 다시 태어난 병아리 나리》를 만들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