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만 모르는 인생을 바꾸는 대화법 - 말 잘하는 사람들의 여덟 가지 공통점
스쿤 지음, 박진희 옮김 / 미디어숲 / 2021년 5월
평점 :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XgpwCMOz.jpg)
의견 발표나 선생님의 지시 사항에 대한 답변을 위해 사람들 앞에 설 때 갑자기 머리가 '새하얘진'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독자는 초등학교 때 단 한 번의 경험 때문에 이후 몇 년 동안 앞에 나가 발표할 때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쩔쩔매는 상황을 여러 번 경험했다. 발표 자체가 어렵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막상 앞에 나가 서기만 하면 말문이 막힌다. 어떤 말을 꺼내야 할지 생각했던 것도 막상 앞에 서면 까맣게 잊어버리거나 머리가 새하얘진 느낌이어서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다. 결국 체면만 잔뜩 깎인 채 되돌아 들어오는 수치스러운 경험을 여러 번 했다. 이후 집에서 책 읽을 때 몇 번을 소리내어 말하듯이 읽기도 하고, TV 녹화를 틀어놓고 강연하는 사람을 따라 연습하기도 했다. 어느 정도 해소는 됐지만 트라우마가 아직도 남아 가끔씩 당황할 때가 있다.
심지어는 대화 중 방금 전 한 말이 기억이 안 나 하던 말을 되풀이하는 바람에 사람들이 의아하게 쳐다보는 모습도 여러 번 보았다. 마음이 편안할 때는 이러한 증세가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갑작스레 나가서 말을 해야 할 때나 회의 중 방금 전 내뱉은 말이 기억나지 않아 오히려 상대에게 "내가 무슨 말을 하다가 얘기가 옆길로 샜지?" 하고 물어볼 때도 있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gcvVk94t.jpg)
이럴 때는 대개 그때그때 순발력으로 모면하기도 하지만 중요한 자리일 때는 한 번 깎인 체면을 만회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일상 대화, 발표, 마케팅, 설득, 회의 등 사회 생활에서 수없이 반복되는 이런 순간은 자신의 사회 생활과 일상 생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위기이기도 하고 기회이기도 하다. 말은 그만큼 우리의 생활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인이다. 글은 고칠 시간이 있지만 말은 다르다. 삶의 결정적 순간의 말하기는 중대한 기회를 가져다주기도 한다. 또한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천 냥 빚을 갚을’ 수도 있고, 말실수로 인해 작은 일을 오히려 크게 키울 수도 있다.
이 책 『당신만 모르는인생을 바꾸는 대화법』의 저자 스쿤은 독보적인 온라인 구독자 수를 보유한 중국의 대표적 말하기 전문가이자 전문 연설 코치다. 수백 회가 넘는 스피치 코칭과 연설을 진행하며 연구한 결과를 이 책 한 권에 담았다. 저자는 논리정연하면서도 감정에 공감하는 효과적인 말하기의 비법을 과학적인 접근법과 체계적인 연습에서 찾았다. 말 잘하는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점들을 찾아내 이른바 ‘8가지 LANGUAGE 법칙’을 완성했다. 유쾌한 설명과 한눈에 이해되는 재미있는 그림들, 구체적 사례를 가져온 팁을 통해,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말하기 법칙을 활용할 수 있으리라 독자는 믿는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2szNJToH.jpg)
책에 따르면 소통의 첫 단추는 논리와 감정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내용을 온전히 전달하는 데에 있다. 상황에 따른 대화의 목적을 기억하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쌓아 올린 후 사람들의 집중을 끄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상대방의 진심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표현 방법을 습득한다. 상대방을 오해하지 않고, 내 속을 끙끙 앓지 않아도 되는 말하기 기술들로 대화법뿐만 아니라 삶이 바뀌는 속 시원한 해결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독자가 한참 발표 트라우마에 시달릴 때 이런 말을 해주는 사람이 있었다면 빨리 치유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있다. 저자의 '말 잘하는 사람의 8가지 공통점'은 저자가 어느 날 영어 단어 빈칸 채우기를 하는 한 어린이의 책을 보다 우연히 'Language'를 보는 순간 떠오른 영감에 의해 창안된 것이라고 말한다. 어떻게 영감이 떠올랐는지 중요하지 않다. 다만 저자가 끊임없이 생각하던 '말을 잘해야 하는 직업'상 머릿속에는 늘 "어떻게 하면 말을 잘할 수 있을까"란 생각이 들어 있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eVn9Uwm7.jpg)
저자는 Language의 8글자를 말 잘하는 요인의 머리글자로 놓고 생각을 거듭해 8가지 단어를 만들었다. 각각의 글자(letter)를 머릿글자로 8개의 단어를 생각해내고 이를 말을 잘하는 사람들은 8가지의 공통점을 지닌 것으로 본 것이다. 조금 억지스럽게 들릴 수도 있으나 이를 배우는 독자 입장에서는 한눈에 읽고 외울 수 있어 고마운 일이다. 저자가 영감과 사유, 그리고 지식을 동원해 만들어낸 8가지를 이 책에서 하나씩 풀어 설명해주고 어떻게 8개의 능력을 키우는지에 대해서도 충실하게 알려준다. 강연 잘하는 '스피치 강사'다운 모습이다. 저자가 창안한 8가지 공통점은 곧 말 잘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 8가지로 보면 된다. 저자는 '말하기 법칙'으로 표현했다. 무엇이든 같은 뜻이고 8가지를 잘 익혀 반복 실천하면서 하나씩 하나씩 정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의 설명을 따라 책 속으로 들어가 '8가지 요인'을 정리해본다.
① 논리 (Logic)
우리가 하고 싶은 말을 배에 비유해 본다면, 입을 열기 전 마땅히 항로를 정해야 한다. 따라서 반드시 머릿속에서 먼저 정리한 뒤 말을 꺼내야 한다. 주제를 명확하게 정한 뒤 말하면 주제에서 벗어난 이야기는 하지 않는다. 특별한 목적이 없는 잡담도 때때로 필요하지만, 대부분 대화는 크든 작든 목적이 있다. 말하기에 앞서 차분히 '내가 진짜로 뭘 전달하고 싶은지' 맥락을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어느 누구도 한없이 지속되는, 맥락 없는, 오락가락 갈팡질팡하는 대화를 하고 싶진 않다. 말에 논리가 뒷받침된다면 간결하고 효율적인 말하기가 가능하고 이는 말에 무게를 싣고 설득력을 얻는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jK3mARHo.jpg)
② 유추 (Analogy, 비유)
어려운 말도, 장황한 말도 적절한 비유를 통해 상대방이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제대로 된 비유를 즉석에서 생각해낸다는 게 쉽지 않은 일임은 우린 경험으로 안다. 내공과 순발력이 결합돼야만 수준 있는 유추가 가능하고, 대부분 언어의 마술사들은 비유를 자유자재로 쓴다.
③ 장면 묘사 (Narrate a picture)
'매우' 즐겁다, '기차게' 재밌다, '너무' 맛있다... 좋다는 건 알겠는데 이런 부사의 남발은 말하는 이의 수준을 저하시키고, 상대방의 기억에 남기엔 뭔가 부족하다. 우리 선조들은 '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를 맛' 이런 식으로 묘사하지 않았던가. 오감을 공략해서 눈에 보일 듯, 손에 잡힐 듯 생동감 있게 구체적인 장면을 묘사하자.
④ 좋은 사례 (Good story)
똑같은 이야기를 다른 이에게 전달한다고 하자. A가 전달하는 것과 B가 전달하는 것은 같지 않다. 같은 얘기라도 전달자에 따라 결과값은 천차만별이다. 짧은 이야기라도 그 안에 '스토리텔링'을 담으려 노력하자. 그 사례나 이야기가 진심이 담긴 '나만의 것'이라면 금상첨화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fpn4vuTA.jpg)
⑤ 예측 불가 (Unexpected)
어떤 얘기라도 너무 뻔하고, 지루하면 재미없다. 졸리고 하품이 나고, 이야기가 어서 끝나기만을 바라서야 되겠는가. '상대의 허를 찌른다'라는 의미보다는 상대방이 다른 생각하지 않고 내 얘기에 최대한 집중하게 만들어야 한다. 현대인의 집중력은 초 단위라는 걸 기억하자. 때로는 연기자처럼 말의 톤도 좀 바꿀 줄 알고, 적당한 유머도 첨가된다면 상대방은 당신과의 대화를 즐거워할 것이다.
⑥ 질문 (Ask)
효과적인 질문 사용은 말하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질문은 소강상태에 빠진 대화에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상대방의 불명확한 표현을 정확하게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질문을 받는 사람은 생각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만들고, 엇나가는 대화를 다시 궤도에 오르게 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상대방의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바로 질문이다.
⑦ 이득 (Gain)
대부분 대화에는 노림수가 있다. 정보의 전달이든, 공감이든. 상대방이 대화를 불필요한 것으로, 나와는 상관없는 주제의 이야기로 느끼지 않으려면 상대의 이득과 연관 지어야 관심을 받는다. 대화할 때마다 무슨 이해득실을 따지나 할 수 있지만, 나의 시간도 상대의 시간도 소중하다는 점을 기억하자.
⑧ 공감 (Empathy)
대화를 하다 보면 논리적으로는 설득되는데 감정적으로는 수긍하지 못해서 기분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사람은 아무래도 감정의 동물인지라 서로 마음이 통해야 하고, 상대방 입장에서 상대의 기분을 느낀다는 생각으로 대화를 진행해 보자. 그러면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을 자연스레 들려주면서 공감도를 높일 수 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jnSgGkrN.jpg)
저자 : 스쿤
인터넷에서 온라인 스피치 수업을 진행하며 수만 팬들을 거느린 말하기 고수. 중국의 전문 스피치 교육 스튜디오 ‘후이신방’의 설립자이자 전문 연설 코치로서 그의 사명은 고객 개개인이 가진 언어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4년여 동안 현장에서 500회가 넘는 수업을 진행했고, 인터넷으로는 20만 명 이상의 수강생이 생겼다.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에게서 말할 때의 공통된 문제점을 발견했다. ‘말을 잘 못하는 사람’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의 종류가 8가지 법칙으로 정리되었다. 이는 ‘말을 잘하는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들의 언변이 뛰어난 이유는 8가지 법칙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책에 어떤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든 통하는 말하기 법칙 8가지를 담았다. 이 법칙만으로 말에 관련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지혜로운 말’ 소모임 창시자, 스피치 코칭 강사, 미국 직업훈련인증협회 직업 훈련사
- 온라인 연설 수업 IP, 독보적인 전국 온라인 구독자 수
- TEDx스피치 코치 및 초청 연사
- 2015년 미국 국제 스피치대회(Toastmaster) 중국 지역 스피치 대회 우승자
- 2017년 중국 대표로 세계 중국인 스피치 대회 참가, 3등 수상
역자 : 박진희
북경 칭화대학교를 졸업했다. 언어가 이루어낸 모든 것을 섭렵하기 좋아하며 생각을 말로 표출하면서 생기는 변화에 관심이 많다. 진심을 전하는 단어를 사랑하고, 진리를 표현하는 말을 아낀다. 그리고 감동을 주는 말의 여운을 즐긴다. 말이 가진 힘을 믿고 말하기도 예술이 될 수 있다는 신조로 공부를 이어가고 있다. 옮긴 책으로 『사랑한다면 거리를 두는 게 좋아』, 『40일만에 기억력 천재가 된다』가 있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c/b/cbj2020/sHHrKEdb.jpg)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