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 - 식물의 마음으로 읽어내는 관계의 소리
김지연 지음 / 북스고 / 2021년 3월
평점 :
이 책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의 제목이 이채롭다. 누가 한 말인가? 저자가 한 말인가, 아니면 다른 사람이 창문을 열어주라고 부탁을 하는 건가. 마치 말을 거는 듯한 대화체의 제목이 인상적인 이 책은 꽃, 나무 등 식물과 대화를 하는 저자의 일상을 기록한 책이다. 단순한 일상 기록이 아니라 식물과 나눈 대화를 일기처럼 기록해둔 내용을 정리해 책으로 펴냈다. 저자 김지연이 좋아하는 꽃과 나무 등 식물과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기록한 에세이다.
저자는 평소 식물 기르기가 취미라고 할 만큼 식물과 함께 하는 일상을 보낸다고 한다. 남편, 아이, 친구 등과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식물의 생태와 특징에 빗대어 기록하였다. 처음에 등장하는 라벤더를 들이고 ‘잘’ 키우고 싶어 풍부한 물과 적당한 햇빛과 넘치지 않는 관심을 주었지만 라벤더는 결국 말라 죽었다. 그 이유가 물도 햇빛도 아닌 ‘새로운 공기’에 대한 필요를 채워주지 못해서였다고 한다. 그래서 라벤더가 저자에게 한 말로 이 책의 제목을 삼았다. 우리 삶에도 이렇게 새로운 바람, 환기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다.
꽃과 나무를 좋아하고 사랑한다고 모두 식물을 키우지는 않는다. 그러나 관심이 있고 좋아하는 사람은 비좁은 집안 어디에선가 화분을 들이고서라도 꽃이나 나무를 기르는 사람들이 많다. 자신이 직접 기르면 애정도 더 갈 것이고 꽃에 대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니 분명 좋은 일이다. 그러나 식물은 물만 준다고 잘 자라는 것은 아니다. 특히 어떤 식물은 물을 너무 많이 주면 오히려 죽는 경우도 있다. 또 어떤 식물은 아무 이유 없이 자라지 않고 결국 죽는 바람에 식물을 키우는 사람의 마음도 아프게 하기도 한다. 속상할 일이어서 적잖은 스트레스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식물의 좋은 점은 하찮은 불편함과 다소의 스트레스를 주어도 키우는 보람을 찾을 수 있다. 꽃을 피우기도 하고 향기도 내주며, 꽃을 피우지 않은 식물은 나름대로 아름다움과 푸른색으로 집안 분위기를 한껏 생동감 있게 바꿔주기도 한다. 또 미세먼지가 사회문제로 등장한 이후부터는 푸른잎 식물이 정화작용을 잘 한다고 인기를 한몸에 받기도 한다. 특히 요즘처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도 면역력을 높이는 식물도 있다고 해 세간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직접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현대인들의 가슴이 삭막해지고 환경도 오염됐다는 반증일 수도 있다.
간혹 식물 키우기가 귀찮아 인테리어 용품으로 판매되는 조화를 사다 걸거나 화분에 받쳐 기르는 것처럼 위장(?)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식물은 보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조화는 금세 싫증이 나고 기르는 재미도 못 느끼기에 수명이 오히려 생화보다 짧은 것 같다. 독자는 먼지라도 끼면 아낌없이 버리는 경우를 자주 보았다. 또 저자처럼 식물에서 영감을 받거나 대화를 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도 없는 조화다. 쓰임새가 한정돼 있기 때문에 한 번 쓰면 버리는 일회용품쯤으로 간주된다.
저자는 꽃과 식물 이야기를 하며 우리의 삶의 교훈도 많이 얻는 것 같다. 일상이 스트레스인 현대인들이 ‘잘살아 간다'는 것은 지친 삶 속에서 자신만의 힐링의 요인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 힐링의 요인이 저자에게는 꽃과 나무, 식물이요, 자연이다. 이 책은 저자가 겪은, 그리고 앞으로 겪어 갈 모든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다. 식물마다 다른 삶의 방식을 택하듯 주어진 조건과 환경에 불평하지 않고 나름의 길을 묵묵히 견뎌내고 있는 식물의 자세에서 인생의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저자는 생각한다. 하나의 정답이 아닌 자신의 답을 만들어 가는 식물을 보며 저자가 공감한 깊은 울림을 독자는 이 책을 읽으면서 공감하며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지금 관계로 힘든 모든 사람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건네는 저자의 마음을 읽는다.
이 책에는 3장 26개의 소제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개의 소제목에 하나의 꽃(식물)이 나오니까 모두 26개의 식물과의 대화인 셈이다. 대화가 아니면 저자의 독백일 수 있고 사유일 수 있으니, 대화든 독백이든 상관없이 식물에게서 많은 삶의 모습을 끌어내 우리들의 삶에 대입하고 사유하고 지혜를 터득해가는 저자의 삶의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삭막해져만 가는 도시, 그 중에서도 아파트 생활이 거의 대부분인 도시인들은 식물에게 영감을 받을 일도 별로 없고, 식물이 주는 위안도 느낄 수 없이 살아간다. 이 때문에 정서적으로 메마르고 점점 팍팍해지며 스트레스는 쌓여만 간다. 따뜻하게 위로하고 내 펴이 돼서 위안을 주는 가족끼리 관계가 좋은 가족은 다소 힐링도 되고 스트레스도 해소될 수 있겠지만 도시는 점점 가족과도 함께 살기를 허락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해간다. 직장 때문이기도 하고, 가족과의 관계가 멀어서 그럴 수 있고, 사회 분위기가 개인 생활의 엄격한 보호 분위기여서 더욱 그렇다. 그래서 기를 써서 좁은 집안에 화분이라도 들여 식물 기르기를 할 터이다. 자주 돌보지 못해 말라 죽어가는 것을 보면 더 스트레스를 받을 텐데도 식물과 떨어질 수 없는 인간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관계’ 없이 살 수는 없다. 하지만 그 관계라는 것은 생각보다 힘들 때가 있다. 생각처럼 인연으로 이어지지 않거나 갈등이 생기고, 오해를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결국 그 관계를 통해서 우리는 성장하고 삶의 해답을 얻기도 한다. 『바람에 흔들리게 창문을 열어주세요』는 꽃과 나무, 식물과 인간관계를 기록한 이야기다. 저자 김지연은 식물을 보며 자신의 내적 갈등에 대한 해답을 찾았다고 한다. 식물마다 원하는 환경이 다르다 보니 식물의 마음을 읽으려 애쓰면서 식물의 모습과 닮은 나와 사람들의 관계를 떠올렸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길에 핀 꽃 한 송이 풀 한 포기마다 서려 있는 이야기를 지나칠 수 없었고 그들의 이야기를 이 책에 담았다고 밝힌다.
“강렬하게 피어난 포인세티아에 자신의 약점을 극복한 수기가 담겨 있었습니다. 강인하게 피어난 솜다리 꽃에 열악한 환경을 받아들인 인내가 고여 있었습니다.가냘프게 피어난 맥문동에 부족한 조건을 메워준 지혜가 녹아 있었습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저자 : 김지연
다시 돌아가고 싶은 순간이 있어서, 미리 가 보고 싶은 시간이 있어서 글을 쓴다. 글은 나를 과거로 또는 미래로 데려다준다. 그리고 한 번 더 살 수 있게 해 준다. 글로 삶을 미리 그린 뒤 그 선을 따라가기도 한다. 무엇보다 지금이 순간을 담을 수 있게 해 준다. 오늘도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삶을 글로 겹쳐 살아간다. 글이 곧 나이고 내가 곧 글이란 생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연세대학교 어학당에서 한국말을 가르쳤다. 〈월간문학〉 수필 부문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한국문인협회 회원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