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섬돌에 쉬었다 가는 햇볕 한 자락
장오수 지음 / 지식과감성# / 2019년 12월
평점 :
시(詩)를 읽는 독자들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
독자들이 시를 읽는 이유는 각각 다르겠지만 마음의 평온을 위해 읽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응축된 언어로 형상화된 시어들의 아름다움은 물론 시의 내용이 인간의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한 감정에 울림을 주기 때문이다.
또 시인의 시 세계에 들어 있는 이른바 시심을 엿볼 수 있는 것도 독자들에게는 관심을 모으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특히 공감하는 시인들의 시에 천착하고, 시인의 눈을 빌어 내 마음을 투영시킬 수 있어 시가 좋다.
<섬돌에 쉬었다 가는 햇볕 한 자락>은 책의 제목이기도 하고 시집 속 시 제목이기도 하다.
제목에서와 같이 어렸을 때 추억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이 시집 속 대부분의 시가 우리 일상과 비슷하게 닮은 것이 많아 유독 관심이 간다.
시인의 추억을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이유다.
삶은 고달픈 것이지만 지나고보면 아름답고 행복한 기억으로 가슴속에 남아 있다.
시인은 그런 눈을 가졌다. 그것을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시인은 '작가의 말'을 통해
한 편의 글을 세상에 내놓는 마음은
언제나 부끄러움이다.
말들이 다 빠져나간 허허로움을
다시 채우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또 다른 말들이 필요할까.
라고 읊조린다. 겸손함과 시에 대한 열정을 드러내고 있다.
시인은 낙담과 절망이 횡행하는 이 시대에도 언어적 아름다움을 끊임없이 모색하는 존재이다.
<섬돌에 쉬었다 가는 햇볕 한 자락>은 자연과 사람, 도시, 동물, 그리고 시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들을 느낄 수 있는 시집이다.
‘돌아볼 무엇이 그리도 남아 떠나지 못하’는 많은 이들에게, 62편의 시들은 ‘섬돌 위 햇볕 한 자락’처럼 잠깐의 쉼이자 위로가 돼 준다.
한 몸 건사하기도 힘든데
자기 허리 휘는 줄도 모르고
그 많은 새끼들 다 끌어안고 사는
늙은 애비
먼저 철든 나라도
입 하나 덜어줘야지
모두 잠든 새벽
홍시 하나
툭
떨어진다
- 「홍시」 중에서
서울 구로공단이 언젠가부터 지식산업센터로 변화하고 그 안에 있던 공장 근로자들은 떠나고 대신 IT 연구원이나 직원으로 채워졌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나라의 성장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공장 근로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외로움이 더해졌을 시기이다.
시인은 그들의 마음도 어루만져 주고 있다.
혼자 피었다 시드는 장미처럼 그들의 화려했던 시절을 떠올려 주며 그들의 외로움을 이해해 주고 있는 것이다.
시인은 우리 일상생활의 모든것에 의미를 부여하여, 사람이 아닌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준다.
항상 곁에 있고, 항상 쓰고 있지만 그들에게 고마움을 느끼는 것은 거의 없는 「수건」은 시인의 마음에서는 고이 간직하고 싶은 물건이다.
그래서 시인의 시들은 더욱 친근하고 마음 한켠에 고이 모아두고 싶어진다.
초코파이로 이렇게 감동을 줄 수 있을까.
시를 읽다 보면 시인이 아내를 대하는 태도를 볼 수 있다.
얼마나 사랑하며 아끼는지 몇 자 안 되는 시를 통해서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주름살은 힘듦과 고달픔을 나타낸다.
하지만 그 안에서 사랑을 볼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사랑하는 만큼 늘어나는 주름살, 그래서 더욱 아내의 주름살이 사랑스러워 보였나보다.
아이들과의 소원해진 관계도 시로 풀어준다. 그 시 안에서도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다.
방문은 늘 그곳에 같은 모습으로 있지만 아이들이 커가면서 아이들과의 관계도 소원해지며, 그로 인해 아이들의 방문을 여는 것조차 힘들다.
방문은 그렇게 점점 두꺼워지고 조용해지는가 보다.
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감동이 시집을 덮고 나면 더욱 따뜻하게 남아 있다.
이 시집의 장점이자 특징이다. 쉬운 말을 쉽게 쓰는 것이 시인의 재주 아닌가.
시의 제목처럼 따스한 햇볕 한자락 쐬고 있는 나의 모습이 그려져 더욱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 시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