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조용필 노래를 배경으로 한다.
이 희곡은 조용필로 시작해서 조용필로 끝난다.
우선 부제로 붙은 ‘말하라 그대들이 본 것이 무엇인가를’은 조용필 10집(1989년) part 2에 실린 조용필의 노래 제목이다. 조용필에 대한 존경을 담아 만든 오마주이다.
“2000년 전후 언제쯤이었던 것 같다. 조용필을 글감으로 뭔가를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그 많은 시간을 조용필과 보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순서였던 것 같기도 하다.”(23P)
이런 연유로 이 희곡의 배경음악은 모두 조용필의 노래다. “이 희곡의 절반은 조용필이다. 그렇게 생각하고 글을 썼다.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이 희곡은 불가능하고, 밋밋하기 이를 데 없는 절대 빈곤이 되었을 것이다.”(51P)
희곡의 부제로 쓰인 <말하라 그대들이 본 것이 무엇인가를>에서부터 〈서울 1987년〉, 〈상처〉, 〈애상〉, 〈정의 마음〉, 〈바람이 전하는 말〉, 〈그 또한 내 삶인데〉 등 희곡 본문에 직접 등장하는 곡이 13곡, 〈킬리만자로의 표범〉, 〈Q〉, 〈생명〉 등 길게 짧게, 여러 방식으로 인용된 곡이 12곡, 모두 25곡의 조용필 노래가 글감으로 쓰였다.
희곡의 처음 시작은 〈상처〉이고, 희곡이 절정에 이를 즈음엔 〈서울 1987년〉과 <말하라 그대들이 본 것이 무엇인가를>이 울려나온다.
“조용필이 없었으면 이 희곡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열두 살 어린이 때부터 좋아했던 나의 가수, 조용필에 대한 감사와 존경을 담고 싶었다.”(37P)
셋째, 일기 혹은 기도문이다.
작가는 책날개에 자신을 이렇게 소개한다.
“오래 전 사회학과 예술경영을 공부했고, 지금은 북한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북한문학 중에서 특별히 소설 쪽에 관심이 많다. 대학졸업 후 한 직장에서 25년을 근무했다. 성실하게 일했다. 장삼이사, 평범한 직장인이었다. 그런데 2015년, 저 위쪽에서 시작된 배제리스트가 내려와 닿은 맨 끝단, 거기에 내가 있었다. 내 인생계획에는 없던 기이한 만남. 배제 지시를 거부하지 못했다. 사람들은 나를 적폐라고 불렀다. 그래서 필명을 적폐로 했다. 하지만 문자 그대로 적폐(積弊)로 하면 사람들이 놀랄까봐 한자(漢字)를 바꿨다. 붉을 적(赤), 비단 폐(幣), 붉은 비단이다.”
작가의 이야기대로, 2015년 배제리스트 사건 당시, 배제리스트가 내려와 닿은 맨 끝단, 그곳에 그가 있었다.
배제리스트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며, 2016년, 2017년, 2018년, 배제리스트로 대한민국이 들썩일 때, 저 위쪽 명령을 지시한 사람들이 재판정을 오가고 감옥으로 갈 때, 관련 기관들도 큰 몸살을 앓았다.
배제리스트 실행기관, 실행자로서, 모두가 죄인이었던 시절, 작가에게 글쓰기는 도피처, 피난처였다고 한다.(56P)
이 책은 그 기간 동안의 기도문, 참회문이다.
“살아오면서 너무도 많은 빚을 졌다. … 남은 날들, 빚진 얼굴들에게 이 빚을 갚으며 살아가겠다.”(278P)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