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침내, 고유한 나를 만나다 - 나에게 질문하는 순간 관계가 풀리는 ‘자아 리셋’ 심리학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8
김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나의 자아를 안다는 것. 나의 무의식을 알아차리는 것, 나아가 타자와 관계까지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면 삶이, 마음이 조금은 편안해질꺼 같다.
욕망은 대상에 대한 탐심 같지만 실은 언어의 속성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는 존재로서 언어를 통해 사회제도, 법, 인간관계를 정의하고 만들면서 세계와 관계를 갖는다. 그런데 언어 자체는 사물을 기호로 바꿔 소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말하는 존재‘인 인간은 늘 근본적 결핍을 느낄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아는 언어를 총동원해 눈앞에있는 사과를 설명해도 사과 자체를 부족함 없이 묘사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욕망이 생길 때 언어를 통해 그것을 요구의형태로 표현하지만 막상 자신이 지목한 대상을 얻으면 새로운 욕망이 생겨난다. 바로 이것이 욕망의 원인인 근본적 결여다. 특정한 대상의 결여가 아니라 언어가 주는 근원적 한계를 인간은 결여로 느끼면서 대상을 통해 헛되이 이것을 채우려 한다. 라캉은 이런 결여를 대상의 결핍과 구분해 존재 결여라고 부른다. - P105
욕망이 개인적인 것인지, 사회적인 것인지, 그리고 물질적인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었는데, 결국 욕망은 관계에서 나오는 것이다. 나와 나의 관계가 중요하듯이 욕망은 나와 나의 관계이기도 하고, 또한 욕망을 인정해주는 타자에 대한 관계도 포함한다. 그렇기에 이 욕망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나의 욕망을 인정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의 욕망과 타자의 욕망은 불일치하기도 한다. 만약에 타자의 욕망과 나의 욕망이 불일치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타자가 아니라 자아일 것이다. 그러나 자아조차도 우리한테는 낯선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모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물며 타자와의 관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내가 원하는 것을 타자가 잘못 이해할 수도 있고, 아니면 타자가 나의 욕망을 충족시켜주었으나 나는 ‘이게 아닌데...‘라고 반응할 수도있다. 타자의 욕망은 우리의 욕망을 촉발시키는 출발점이 될지는 모르나 타자의 욕망 자체가 절대적인 답은 아니기 때문이다. - P111
자유는 내가 무언가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나스스로 나의 삶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그런데 현대 신자유주의는 무언가 만들 수 있는 실존적 자유를 자꾸 선택의자유로 바꾸어놓는다. 돈이 많으면 선택도 많아진다. 세련된사람, 아름다운 사람은 이런 선택을 한다고 제시하면서 그와같은 선택을 하지 않으면 마치 잘못된 삶을 사는 것 같은 생각을 들게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자 전체의 존재성이 드러나는 가장 극명한근본 기분이 불안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인간은 실존적 존재이기에 늘 현존재로서 실존에 대해 기투쇼, 현재를 초월해 미래로 자기 자신을 내던지는 실존의 존재 방식) 해야 하는데, 그런 것들에 대한 자유의 가능성을 차단해버리고 그냥 세상이 원하는 대로 그때그때 맞춰 사는 것을 세인(das Man)의 삶이라고 이야기 한다. 한마디로 세속적인 사람을 말한다. 세인의 삶에 매몰될 때 사람은 불안을 느낀다 - P1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