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이 책을 쓴 베케트는 정말 천재가 맞는거 같다.
1막을 읽고, 2막을 끝내고 나서야 진정 이 책의 가치를 알 수가 있었다.
밑에 글은 얼마전에 읽은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중 <고도를 기다리며>에 관한 글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우리의 일상생활이란 자기 자신의 내던져짐‘과 모든 것이 자기에게 맡겨짐‘ 에 대해서 언제나 불안해하고 염려하는 현존재가 시간 죽이기‘ 를 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사람들은 우선보통 남들이 살아가는 방식을 따라, 즉 평균적 일상성‘ 을 따라 살아갑니다. 대개 사람들이 그리하듯 자기 자신보다는 자기 밖의 세상모든 것에 대해 호기심 (die Neugier)‘ 을 가지며,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따라 잡담(das Gerede)‘을 하고, 그들을 따라 애매하게(Zweideutig) 행동함으로써, 서로서로 동질화 및 평균화를 꾀한다는겁니다. 그럼으로써 위안을 얻는 거지요.
하이데거는 ‘깊은 권태를 벗어나는 방법은 오직 하나, 곧 ‘실존(Existence)‘ 하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실존이란 다른 사람을 따라 말하고 행동하는 ‘세상사람‘ 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자신의 존재가능성 (Seinsknnen)‘ 을 기획하고 그것을 따라 산다는 것을 말하지요. 그는 이러한 행위를 기획투사(Entwurf)‘ 라는 용어로 표현했습니다. 기획투사는 단순히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는 말이아닙니다. 기획투사는 자신의 존재가능성에 스스로를 던져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듦으로써 자기 자신을 새롭게 구성하는 행위이지요. 한마디로 진정한 자기, 본래적 자기로 살아간다는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