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태양계를 만들어 과학 품은 전래 동화
이지민 지음, 김윤정 그림 / 풀빛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 - 이지민

그림 - 김윤정

풀빛



 

과학 품은 전래 동화라는 타이틀을 보자 '해품달'이 떠 올랐다. ^^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토끼전

해와 달이 된 오누이

흥부와 놀부

혹부리 영감

요술 맷돌

설문대 할망, 6가지 전래 동화 이야기가 나온다. 


 전래동화를 읽으면서 한 번도 과학이 숨어 있다고 생각하지 못했다. 

대체 전래 동화에 어떤 과학이 숨어 있다는 건지 정말 궁금했다.  

토끼전을 재미있게 읽고 나서 관련 된 과학 이야기를 읽자

아하! 하며 어떤 과학이 숨어 있는지 느낌이 팍 왔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읽어주고 나서 어떤 과학 주제가 나올지

이야기와 연관 지어 예측해 보기도 했다. 

엄마 입장에선 다양한 과학들이 팍팍 예측 되었다.

아이들 역시 나름의 과학을 다양하게 생각하고 말했다. 




 전래 동화는 우리가 익숙한 내용들이다.

7살 막둥이도 한편을 다 들을 수 있는 이야기로 간결하게 나온다.

단지 이야기 속에 내가 알고 있는 내용과 조금 다른 부분이 나오기도 해서

아이가 "이야기가 다른데?"라고 말하기도 했다. 

같은 제목이지만 지역에 따라 또는 출판사에 따라 

이야기가 조금씩 다름을 이야기 해주었다. 


 내가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이유는 뭘까?

그림이 한 몫 하는 것 같다. 

과거와 현재가 함께 공존하면서 재미있고 생동감 있게 표현된 삽화가

만화를 보는 듯 재미있다. 

주인공들의 익살스러운 표정과 동작이 재미를 준다. 


 전래 동화가 품은 과학 두 가지!

토끼 전이 품고 있는 과학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을 해 보았다.

- 육지 동물은 왜 물속에서 숨을 쉬지 못할까?

- 바다 동물은 왜 땅 위에선 숨을 쉬지 못할까?

- 거북이는 왜 땅에서도, 물속에서도 살 수 있을까?

- 간을 먹으면 정말 아픈 곳이 나을까?

- 간을 넣어다가 뺄 수 있을까?

- 우리 몸 속에는 어떤 기관들이 있을까?

- 우리 몸 속의 기관들은 어떤 일들을 할까?

등등 다양한 궁금증들을 이야기 했다. 

토끼 전에서는 소화 기관에 대한 과학 이야기가 나온다. 

재미있고 커다란 그림과 함께

짧고 간결하게 설명을 해 놓아서 저학년 아이들도 읽고 이해하기 좋은 것 같다. 

막둥이에겐 그림을 보며 더 간결하게 설명을 해 주니 나의 몸에 대해 궁금증을 가졌다.


 과학 내용을 들여다 보면

초등 교과 과정과 연계된 것들이 많이 있다. 

익숙한 전래 동화를 이용해 읽기에 흥미를 주고

과학까지 이끌어 내어 흥미를 주니 1석 2조이다. 

이렇게 다양한 분야가 서로 연계되어 있으니 오히려 더 생각을 넓히게 만드는 것 같다.

음, 또 다른 전래 동화에는 어떤 과학이 숨어 있을지 궁금하게 만든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