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알고, 바로 쓰는 빵빵한 초성퀴즈 우리 아이 빵빵 시리즈 6
박빛나 지음, 현상길 감수 / 풀잎 / 202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글, 그림 - 박빛나

감수 - 현상길

도서출판 풀잎

 

 

 

 초성이란 음절의 구성에서 처음 소리인 자음 (국어사전)

초성게임이 한창 유행을 하고 아이들도 즐겁게 했다.

두 사람 이상이 모여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단어의 초성을 제시하면 초성에 맞는 모든 단어들을 모두 말할 수도 있으며

단어의 초성을 제시하고 힌트를 주어 한개의 단어만 맞칠 수도 있다.  

[바로 알고, 바로 쓰는 빵빵한 초성퀴즈]

초등학생들이 즐길 수 있는 초성게임인 것 같다.

 

 흰 우유 묘한이가 전학을 오면서 맛난 빵 친구들이

초성게임에 흥미를 갖고 즐기기 시작하면서 모두 퀴즈 캠프에 참여하게 된다.

묘한이가 진행하는 초성게임을 즐기면서 승부욕이 불타오르고

승패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된다.

스토리를 읽으면서 중간중간 나오는 초성게임초성 끝말잇기가 나와

빵친구들과 함께 푸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자리에 앉아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션을 수행하면서

게임을 하니 지루할 틈이 없다.

마치 런닝맨과 1박 2일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ㅎㅎ

 

 동식물, 음식, 문화, 역사, 위인, 명승지, 과학기술, 가족, 사회등의

어휘 문제상식 문제들이 있어 배운 것을 떠 올려 볼 수 있고,

모르는 것은 새로 알게 되는 게임식 어휘학습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1장 ~ 5장까지 200개의 초성 문제가 나온다.

묘한이가 힌트를 1~2개정도 알려주고

친구가 정답을 외치며 결정적인 힌트를 말해준다.

힌트를 듣고 곰곰이 생각해며 초성을 들여다보면 답이 금방 떠 오르게 된다.

혹시 아이가 갸우뚱 하면 엄마가 옆에서 좀 더 힌트를 주는 걸로

아이가 답을 찾아 낼 수 있도록 했다.

초성게임의 답이 알쏭달쏭하거나 맞는지 확인해 보고 싶다면

정답도 있으니 확인해 보자.

 

 

 

 길을 걸을 땐 초성게임을 하자고 하던 셋째가

책이 오자마자 책상에 앉아 펼쳐 놓고 초성게임을 시작했다.

"쉽네!"라고 말하며 시작하던 아이가 한국의 역사에서 막히는지

언니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초성게임을 하면서 아이가 어느 분야를 잘하는지 잘 안되는지를 알 수 있어

부족한 부분을 좀 더 채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었다.

 

 

 

 혼자서 초성게임을 할 때 보다는 여럿이 모여 게임처럼 하면 더 재미있다.

한 사람이 문제를 내고 한 사람이 답을 맞히면서 번갈아 했다.

책을 다 끝내고 나선 팀별로 하자, 가족 초성게임을 하자 등

놀이를 계획하기도 했다.

책 이외에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를 이용해  문제를 만들기도 했다.

초성게임을 하면서 어휘력, 사고력, 상식을 키울 수 있었다.

 

 초성게임을 하면서  이것이 어느 분야에 속하는 단어인지

떠 올리며 단어와 연관된 내용들을 아는 만큼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아는 것은 가르쳐 주고 모르는 것은 배운다. ㅎㅎ

캐릭터들이 빵인데 모양이 다 비슷비슷해서 구분이 잘 안되어 아쉬웠다.

캠프에서 먹고 자는 것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하는 모습이

좀 과하다 싶긴 했지만 끝으로 가면서 흐믓하게 마무리 된다.

경쟁에서 이기는 기쁨도 있지만 승패에 상관없이 친구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좋다는 것으로 퀴즈캠프를 마무리 한 것이 보기 좋았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