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토리 도토리야 아이노리 세계 그림책 14
미야니시 타츠야 지음, 도담 옮김 / 아이노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그림 - 미야니시 타츠야

옮김 - 도담

아이노리

 

 

 

  "토리토리 도토리야, 나의 소원은~~~~~다!"하고 주문을 외우면

뭐든지 들어주는 마법의 도토리가 있다면 나는 어떤 소원을 빌까?

그런데 마법의 도토리가 내것이 아니고 다른 사람의 것이라면 어떡하지?

과연 게으름뱅이 왕자와 고양이는 어떤 소원을 빌지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자.

 

 정말 손하나 까딱하지 않는 게으름뱅이 왕자가 어느 날,

고양이가 마법의 도토리로 커다란 생선을 만들어 내는 걸 보게 된다.

도토리에 소원을 빌면 무엇이든지 들어주는 도토리를 얻게 된 왕자는

소원을 비는 방법을 알아낸 후

고양이에게 하나의 도토리만 주고 멀리멀리 뻐~~엉!!!

그리고 궁에 있는 신하들을 모두 밖으로 내보내버린다.

봉투에서 하나씩 하나씩 도토리를 꺼내어 필요한 소원을 빌고

손하나 까딱하지 않고 아주아주 편하게 지내게 된다.

그런데 왕자는 도토리가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는 걸 알고는 있을까?

흠....  소원을 제대로 빌고는 있는걸까?

저렇게 욕심부리다가는 벌을 받을 것 같은데 어쩌지?

 

 자신의 마법 도토리를 다 빼앗기고 한개만 받은채

쫓겨난 고양이는 대체 어떤 마음일까?

어디에 쪼그려 앉아 야옹야옹 울고 있는 건 아닐까?

아니면 왕자를 혼내 줄 좋은 방법을 생각하고 있을까?

고양이는 마법의 도토리를 어디서 얻은 걸까?

 

 

 

  알쏭달쏭 재미난 마법 도토리 이야기를 읽으며 궁금증도 마구마구 생긴다.

왕자와 고양이는 마법 도토리로 어떤 소원을 빌고 그 결말이 어떻게 끝맺을지

너무너무 궁금해진다.

이솝우화처럼 재미와 교훈을 담은 이야기다.

봉지 한가득 마법의 도토리를 가진 왕자와 단 한개의 도토리를 가진 고양이 중

누가 가장 행복함을 느끼게 될까?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해 만족 할 줄 알아야 할 것 같다.

 

  '제 버릇 개 못준다.'라는 속담처럼 게으름뱅이 왕자는

마지막에 벌을 받는 듯하지만 그 벌을 오히려 좋아하는 것 같다.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왕자는 권력을 이용해 다른 사람의 것을 빼앗았다.

아무리 내가 갖고 싶다고 해도 힘과 권력으로 남의 것을 빼앗아서는 안된다.

이 책의 결말을 봤을 때 왕자와 고양이는 자기 만족을 하는 것 같다. ^^;;

 

 큼직큼직한 그림을 들여다 보는 것도 재미있다.

홀쭉한 몸에 왕과 신하들 생김새가 모두 비슷하다.

지위는 다르지만 왕자, 신하, 국민들 모두 평등하다는 의미인 것 같다.

혼자서 즐기는 왕자의 모습에서 점차 외로움을 느끼는 왕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모두가 서로 의지하고 더불어 살아갈 때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 같다.

 

 어느날, 마법의 도토리가 떼구르르 굴러서 

내 앞에 짜잔 나타난다면 멋진 소원을 빌어보자.

"토리토리 도토리야, 나의 소원은~~~~~!"

 

 

 *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