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수업의 즐거움 - 함께하기를, 궁금증을 참을 수 없는 아이들을 위한
김석주 지음 / 더블북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음 - 김석주

더블북

 

 

 

 지은이는 대안학교 교사로서 프로젝트의 즐거움과 배움에 대해 알게 되었다.

계획을 짜되 교사 중심이 아닌 아이들 중심이 되어

서로가 서로에게 배움을 주면서 배워 나가는 프로젝트 수업 방식의

장점에 대해 알려주려고 하는 것 같다.

 

 모둠끼리 팀을 이루어 한 주제를 가지고 여러 영역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긴 시간을 두고 아이들이 의논하고 체험하면서 배워가는 프로젝트를 한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참 다양하다.

"가족", "시장" "친구" "책" "개미" "강아지" 등 모든 것들이 수업의 주제가 될 수 있다.

다 알고 있는 것이지만 친구들과 모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할 수 있고 다른 의견에 경청을 하기도 하고 수용과 다툼에서도

배려하고 공평하게 하려는 기특한 마음도 엿볼 수 있었다.

 

 연령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시간도 방과후, 주말, 방학 등 상황에 따라

조절도 가능하며 수업 기간도 숨가쁘게 하지 않아도 좋다.

지은이가 교사로서 아이들과 직접 프로젝트 활동을 했던 수업을

사진과 함께 그 과정을 보여주어서 실제로 보는듯 재미있었다.

사진 속 아이들이 즐겁게 웃기도 하고 진지한 표정을 보니

즐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교사가 학교에서 하는 수업보다도

엄마로서 마음이 맞는 엄마들끼리 모여 아이들을 위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모습이 너무 좋았다.  

가정안에서도 아이들이 즐겁게 프로젝트를 할 수 있다면

나도 우리 아이들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쉽지는 않겠지만 작고 쉬운 것 부터 즐겁게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하고

나는 옆에서 조언과 바라봐주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아니, 엄마도 아이처럼 눈높이에 맞추어 함께 참여해도 좋을 것 같다.

 

 대안학교와 일반학교를 비교하는 부분에선 개인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부모가 원한다고 학교에서 모두 해주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가정에서 작은 학교가 되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매일 먹는 밥처럼 공부도 매일매일 재미있는 놀이가 되었으면 좋겠다.

다양한 공부 방법을 찾아보고 해보는 것도 나의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좋다면 일단 도전해 보자.

온라인 수업으로 긴 시간 가정에 있는 아이들을 위해

엄마와 함께 즐거운 놀이공부, 프로젝트에 한 번 도전해 봐야겠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