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만점 초등 글쓰기 - 읽고 쓰기 힘들어하던 아이가 180도 바뀌는
황경희 지음 / 예문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음 - 황경희

예문

 

 

 "세 줄 이상 써본 적 없는 아이들......"이라는 말이 마음에 와 닿았다.

우리 아이들 역시 그러하기 때문에 고민이 많기 때문이다.

글은 읽지만 쓰기는 정말 단순 그자체이며 살이 없어 빼빼 마른

뼈다귀 글만 항상 내미는 편이다.

조금만 더 이야기를 나눌라치면 "아항~~~!! 싫어!"

조금만 더 생각한 부분을 쓰자 하면 "이거면 됐어!"하며

자기만족으로 끝을 내버린다.

 

 작가도 아니고 논술에 재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엄마가 읽어도 '흠~~~~ 이게 대체~~~~ 어쩌지?' 하고

심각한 고민을 하게 만든다.

20년차 논술교사로서 아이들이 즐겁게 글쓰기 활동을 하도록 만든

노하우를 알려준다니 안 읽을수가 없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글 쓰는 재미를 알려주자는 생각에 열심히

형광펜으로 밑줄 치며 읽었다.

 

 글을 쓰기 위해선 필요한 글감이 풍부해야 한다.

아는 만큼 쓰는 것 처럼 책도 읽고,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며,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아는 것이 많아졌을 때 풍부한 글쓰기를 할 수 있다.

지은이가 말한 것처럼 이것이 바로 인풋이 있으면 아웃풋이 된다는 뜻이다.

글 쓰기전 아이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준비도 하고

대화를 하면서 아이의 생각을 키워준다면 글쓰기가 수월할 것 같다.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글쓰기를 즐길 수 있도록 마음을 사로잡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 아이가 쓴 글을 읽고 감동한다.

- 논술의 4법칙을 활용한다. (수업준비, 배려하기, 가랑비에 옷 젖기, 하이믹스)

- 아이의 언어로 솔직하게 쓰도록 한다.

- 자기들의 언어로 쓰도록 한다.

- 재미있는 유머를 장착하도록 한다.

 

 아이의 읽고 쓰고 말하는 수준 높이는 비결

- 쓰기, 읽기, 말하기를 연결하라.

- 어휘와 재미를 연결하라

- 관심과 주제를 연결하라

- 논리와 마음을 연결하라

 

 지은이는 절대 문법이나 틀린글자등을 찾아 채점하지 말라는 것에 공감한다.

또한 어른의 입장에서 여기저기 손을 댄다면

아이는 결고 자기 생각을 표현하지 않을 것이다.

써봤자 어차피 어른이 고칠거라는 생각에 대충쓰거나 쓰기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그래서 나도 한동안 틀린 글자를 올바르게 고쳐보도록 했으나 요즘엔

일단 무조건 써 보도록 한다. 받침이 틀려도 문맥이 틀려도 꾹 참고......

 

 교사가 제시한 것을 아이들이 따르기도 하고,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제시하고 수업을 이끌기도 하며 역할을 바꾸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매개체나 그림, 책, 경험등을 바탕으로 재미있고 흥미있는 주제로

다양한 글쓰기를 하며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글쓰기로 유도를 한다.

자신이 재미있고 흥미있는 것을 하라고 한다면 마다하는 사람 없을 것이다.

 

 두꺼운 책읽기 또한 난관이다.

커다란 그림으로 가득했던 책에서 글밥이 깨알만하고 쪽수가 늘어난 책을

읽으라고 하면 책을 좋아하는 아이들 빼고는 고개부터 흔들것이다.

이 또한 지은이의 노하우가 담겨있다.

비하인드스토리 알려주기, 책과 아이들의 연결고리 찾기로

두꺼운 책 읽기도 두려워 하지 않게 만드는 노하우를 알려준다.

 

  관심 연결 글쓰기 주제로 현실과 직결된 문제인 코로나 19,

한번쯤은 해봤을 선의의 거짓말,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안주하며 살 것인가

울타리 밖으로 나의 꿈을 찾아 떠날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안겨 줄

마당을 나온 암탉, 돈과 관련된 이야기, 미술 등

아이들이 쓸 수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소개하고 있다.

확실히 쓰기 활동 전에 자신이 읽은 것을 충분히 대화하고,

조사를 통해 주제를 정확히 인식을 한다면 글쓰기는 잘 이루어질 것 같다.

 

 

 

 이야기 중간중간에 "실전! 연결 글쓰기"가 있다.

아이에게 동시를 써보도록 했더니 제목이 사과이다.

그런데 '다른사람이 부러웠다, 때도 쓰고 설득도 했다'라는 말이 의아했다.

'사과를 사달라고 떼 쓴적이 있던가?'

그러다 마지막 문장 ' 한 입 베어문 사과'를 보고 아하! 하고 외쳤다.

한동안 사과 핸드폰이 갖고 싶어 이야기했다가 못갖게 되고

다른 핸드폰을 사용했다. 그러다 핸드폰 고장으로 결국 아이가 원하는

사과핸드폰을 갖게 되었는데 그걸 경험으로 쓴 동시였다.

자신의 경험을 로고인 사과에 비유해 쓴 동시였다.

 

 

 

 지은이가 책의 제목으로 다양한 글쓰기를 할 수 있다고 해서 생각해 냈다.

자신이 가장 관심이 가는 책을 골라 와서 오행시를 지어보도록 했다.

3학년인 아이는 꾸미는 말도 없었고 내용이 부드럽게 이어지진 않았지만

나름 첫글자가 들어가는 문장을 만들기 위해 애썼다.

또한 "녀"라는 글자로 시작되는 단어찾기가 힘들자

"녀""너"로 대체했음을 밑에 써서 자기 나름의 글쓰기를 완성했다.

 

책을 읽는 동안 아이들에게 간간히 글쓰기를 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짧은 미션에 아이들도 큰 부담없이 했다.

지은이처럼 아이들이 즐겁게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노력한 것처럼

그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나 역시 많이 노력하고 시도해 봐야겠다.

세줄 글쓰기에서 자신의 생각을 글 쓰기로 끝없이 펼칠 수 있는

기적을 경험해 보도록 해야겠다. ^^

 

* 출판사로부터 도서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