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깡깡이 (특별판) ㅣ 특별한 서재 특별판 시리즈
한정기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8월
평점 :
지은이 - 한정기
특별한서재
작가 한정기가 부산에서 살며 보냈던 사춘기 시절,
그 때를 바탕으로 1970년대를 재구성 한 장편소설이다.
나도 70년대 후반에 태어 났는데 책속에서처럼
'이렇게 살기 힘들었던가?'하고 옛날이야기 읽듯이 읽었다.
제목 '깡깡이'를 보고 대체 어떤 소리인지 그 정체가 참 궁금했다.
바이올린 연주를 하면 "깽깽이"라고 하기도 했고
엿장수의 가위 소리를 "찰캉찰캉"하기도 하는데
이 깡깡이는 어딘서 나는 소리일까?
부산, 바닷가에 살면 배들이 많을 것이다.
배 곯던 시절 아넥네들이 할 수 있었던 일,
바로 커다란 배의 녹슨 부분을 망치로 두드려 떼어내는 일이다.
"깡깡깡" 한 두 명이 두드려 대는 소리가 아닌
쇳소리가 하루 종일 울려퍼지고
저녁이 되면 온종일 휘둘렀던 지친 몸을 이끌고
시커먼 쇳가루와 시큼한 쇳냄새를 뒤집어 쓰고 왔을 우리네 어머니들...
바닷가에서 살아 본 적이 없어 어떤 풍경이었을지 상상만 했다.
부모가 일을 나가면 아이들은 어떠했을까?
천방지축 온 동네가 들썩이도록 뛰어다니고 고함을 치며
친구들과 하루해가 질 때까지 놀았다.
어른들이 없으니 그것이 위험한지 구분을 하지도 못한채
아이들은 마냥 호기심에 일을 저질러 버렸다.
자존심과 아이들이 즐겨 먹는 과자 한 봉지에 저지른 장난은 목숨이 왔다 갔다 했고,
형제를 잃어버릴 뻔 한 사건도 생기며
여기저기 깨져서 들어 오기 다반사인 아이들...
먹고 살기 바쁜 부모님, 각박한 세상살이에
아이들은 나름 잡초처럼 자라고 있었다.
먹고 살기도 힘든 세상에 든든한 가정의 중심이 깨진다면 어떻게될까?
맏딸 정은, 동식, 정애, 정희, 동우.
이 오남매를 둔 아버지는 배를 몰다가 고기잡이 배를 침몰시켜
벌금에 배를 운전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온다.
이를 무마하기 위해 애쓰는 어머니.
남편을 위해, 아이들을 위해, 살기 위한 그 몸부림 속에
얼마나 그 속이 타들어갔을까?
남편의 외도와 자신을 떠나버린 남편에
화도 나고 속상도 하고 서운하기도 했을 마음 여린 어머니의 마음은
몇 천 갈래, 몇 만 갈래로 찢어졌을것이다.
어머니는 강하고 위대하다고 했던가.
어머니는 다섯 자식을 위해 망치를 들었고
살기 위해 두드렸다. "깡깡깡깡....."
맏딸 정은이.
한창 뛰어 놀고 하고 싶은 일도 꿈도 많았을 6학년 어린아이이건만
부모님의 "우리집 살림 밑천" "든든한 딸" "네가 도와줘야지."라는
말을 듣게된다면 불만도 생기겠지만 맏딸로서 부모님을 위해
가족들을 위해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아마 과거엔 여러 형제들이 부대끼고 살아가고, 힘겨운 시대였기 때문에
부모의 기대와 어린 동생들을 돌보고 맏딸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자신의 꿈과 시간을 포기하는 일이 많았을 것이다.
나 역시 세남매 중 맏딸로 맞벌이를 하셨던 부모님을 대신해
동생들을 돌보며 지냈었다.
나는 딱 거기까지였다.
정은이처럼 중학교 입학을 포기하고, 어린 동생들을 돌보며,
살림을 맏아 발동동구르며 지내지는 않았다.
하~~ 만약 내가 정은이였다면 나도 그랬을까?
순순히 받아들였을까? 어른이 되어서 부모님을 원망했을까?
이해했을까?
정은이의 시각에서 바라본 억척스런 삶과 가족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자식은 부모를 닮는다고 했다.
어머니 역시 맏딸로서 포기하는 삶을 살았고 부당함을 알고 있었지만
맏딸로서의 역할을 정은이에게 어쩔 수 없이 강요하게 된다.
하지만 강한 어머니로서 정은이를 내버려 두진 않았다.
작은 희망의 씨앗을 심어주려 노력했던 어머니,
중학교 입학을 이야기 하며 정은이의 꿈에 힘을 실어주었다.
지금 생각하면 당연히 부모가 해야 할 일이지만
그 시대엔 무엇이 그리 힘들었을까?
치매에 걸린 어머니는 요양원에 계신다.
현재의 나는 그림을 그리고 전시도 한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이야기가 전개 된다.
마치 옛날 이야기를 하듯이.....
아버지는 떠나고 막둥이 동우를 잃어버리고
장남으로 기대를 했던 동식이는 결혼해서 해외로 이민가고,,
오남매를 여자의 힘으로 악착같이 길러냈던
어머니의 젊은 시절은 어디로 갔을까?
치매에 걸린 어머니는 현재가 아닌 과거로 날아간다.
젊었던 시절, 아빠와의 풋풋했고 모든 것이 아름다웠을
그 젊은 시절을 고집한다.
1970년대의 힘들었던 그네들의 이야기는 사실적이며 우리들의 이야기다.
다닥다닥 붙은 지붕을 맞대고 살았던 우리는 어려웠던 시절,
가족처럼 서로 도우며 친근하게 지냈다.
먹고 살기 바빴던 부모님, 그 청춘 뒤엔 무엇이 남았을까?
어린시절 지친 부모님의 뒷모습을 보며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과거로의 여행을 하면서 가족, 형제, 이웃, 그 시대의 모습을
느껴볼 수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