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나라 - 영국 선생님의 5개국 학교 탐사기
루시 크레헌 지음, 강이수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지음 - 루시 크레헌

옮김 - 강이수

지식의날개

 

 

 "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나라" 이 나라에 천재, 똑똑한 아이들이 많다는건가?

타고난 머리를 가진 아이들도 있지만  자극을 주고 영향을 주며

모든 아이들의 공부머리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교육제도가 있기 때문에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테스트에서 평균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직업이 교사인 루시는 PISA 테스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나라들을 돌아보며

그 교육의 현장을 체험하고 교육학적 분석을 통해 그 나라의 교육을 소개한다.

 

 읽기, 수학, 과학능력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핀란드, 일본, 싱가포르, 상하이, 캐나다를 방문하여 그 나라의

교육제도에서 얻는 득과 실, 장점과 단점에 대해 소개했다.

유럽과 아시아에 속한 나라들로 역사와 문화, 교육제도방식은 모두 다르지만

교육강국이라는 어떤 공통분모가 있을 것이다.

 

 교육제도는 내 개인의 힘으로 변화를 시킬 수 없는 것이기에

나라마다의 교육제도에 대해선 꼼꼼히 읽되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읽고 생각을 했다.

아이들을 위한 좋은 교육제도가 뒷받침되고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

교사의 전문적이고 열정적인 역할, 아이의 의욕이 맞물렸을 때

좋은 교육적 결과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핀란드>

 "오늘 충분히 놀고 왔나요?" 어린이집 앞에 쓰여진 문구이다.

유아때는 충분히 놀고 상상하고 호기심대장이 되는 것이

창의력, 사고력, 판단력, 관찰과정과 결과를 유추해나가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핀란드에선 특징적으로 우수 교육에 노출시키기, 특별한 지원정책(특수교사),

아동복지팀,  하나의 주제를 완전히 이해하고 넘어가기,

유토리교육(여유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감하는 것은 학교 진도에 맞추기 위해 빠르게 나아가기 보다는

잠시 멈춰서서 뒷쳐지더라도 완전히 주제를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초등과정에서 단단한 밑받침과 기둥을 세워 뒀을 때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으로 그 기둥에 멋지게 살을 붙일 수 있다.

 

 <일본>

 일본은 엄격한 통제, 단체생활의 중요성, 예의바른행동을 강조한다.

일제치하에 있었던 우리나라 곳곳에서 그 잔재를 볼 수 있다.

통일된 교복과 똑같은 헤어스타일, 애국조회등만 봐도 알 수 있다.

뭐, 요즘은 자율화로 조금씩 바뀌고 있긴하다.

요즘은 자기중심적, 이기적인 성향들이 많아 조금은 배려심과 남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일본인들의 메이와쿠문화(폐끼치지 않기)가 필요한 것 같기도 하다.

단체생활, 강압적인 간섭과 규칙들로 학생들이 조금 거부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것을 참고 인내하는 것을 배움으로써 어떤 어려운 일도 참아낼 수 있다는 것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피그말리온효과. 교사가 아이들에게 기대하는 만큼 아이들이 성장한다는 것이다.

가정에서도 아이가 잘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기대와 말을 해 준다면 좋을 것 같다.

 

<싱가포르>

능력주의 교육제도로써 장단점을 설명했다.

어릴 때부터 잘하는 것을 찾아 그 능력을 키워줌으로써 그 분야의 능력자가 되는 반면

그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파이싸움 -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중국>

 노력을 칭찬하는 교사와 부모의 역할이 눈에 띈다.

성장보다는 과정을 더 칭찬하고 아이들 성장형 사고 방식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문제를 풀 때 맞은 답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그 답을 이끌어낸 풀이 과정을 칭찬하면 아이는 과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풀이 과정에 도전을 할 것이다.  

중국 역시 한 단원을 충분히 이해하고 넘어가는 수업을 하고 있다.

부족한 부분은 꼭 채우면서 완전히 이해하고 넘어가야 함을 알려준다.

 

 

 <캐나다>

교육약자 맞춤형 제도이다.

모든 계층의 아이들이 똑같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핀란드처럼 보충수업도 하고, 고등학교엔 상담교사가 있어

정신건강, 아이의 근항, 공부에 대한 상담을 하면서

세세한 부분까지 챙기는 모습이 보인다.

청소년 자살이 늘어나면서 학교에 상담사가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 아이가 다니는 초등학교에도 상담사가 있어

고민을 들어주거나, 아이의 문제행동, 심리에 대해 상담을 하며

부모와도 상담을 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도 보인다.

아이들을 위한 이런 노력들이 건강한 아이들을 만들 수 있는 것 같다.

 

 서양인으로서 아시아의 문화와 교육에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모두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기 보다는 함께 참여하고 보고 듣고 질문하면서

점차 그 나라의 문화나 교육제도를 이해하며 분석하는

열정적인 루시 교사의 모습이 보기 좋았다.

뭐, 무조건 좋다고 다 따라하다가는 교육제도가 이리저리 흔들리며

오히려 혼돈을 야기시킬 것이다.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잘 맞는 교육제도를 기반으로

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나라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정에서도 아이에 대한 관심과 올바른 공부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고,

부모의 가치관 확립과 긍정적인 응원이 필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